View : 1024 Download: 0

제6차 및 제7차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육과정 비교 연구

Title
제6차 및 제7차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육과정 비교 연구
Authors
박혜진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는 정보화· 세계화의 세기로, 그것은 단순히 20세기와 시간적으로 연장선상에 있는 세기만이 아니라, 사회 구조의 급속한 변화와 함께 개개인의 삶의 양식과 의식도 완전히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하는 세기이다. 이러한 변화는 교육 분야에도 미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시스템과 교육과정을 준비하여 우수한 인적자원의 확보로 사회나 국가의 생존을 위한 번영의 지름길이 되도록 해야한다. 이와 같이 새로운 세기에 요청되는 인적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서, 교육의 목적과 내용, 그리고 그 방법에까지 새로운 방향과 틀을 요구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 제7차 교육과정 개정이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정의 원리에 의거하여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을 비교 논의하면서 개정된 제7차 고등학교 지리교육과정 중 「한국지리」교과를 중심으로 내용 및 특징을 모색하고 개선 방안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 지리교육과정의 변천과 일본과 프랑스의 지리교육과정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그리고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에 관한 필수적인 자료들을 검토·분석·종합하여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중 지리영역인 「한국지리」교과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자료는 「제6차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해설」과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등이며 이와 관련된 논문을 참고로 하였다. 고등학교 제6차 및 제7차 「한국지리」교육과정의 비교·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편제의 영역면에서, 제6차 교육과정에서 「한국지리」는 사회과의 전 영역을 포괄하고 기초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는 공통필수 과목인 공통사회의 지리영역에 포함되었다. 비록 「한국지리」라는 과목명은 사라졌지만, 공통필수 과목이었다. 그러나 제7차 교육과정에서 「한국지리」는 공통필수 과목이 아닌 심화선택 과목이 되었다. 둘째, 목표의 영역면에서, 제6·7차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이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목표는 거의 비슷하다. 그러나 7차 교육과정은 6차에 비해 우리나라 지역의 변화와 특성을 동적으로 파악하려 하였고, 북부 지역의 이해를 통한 국토 통일의 의지를 강조하였다. 기능적 측면의 목표와 비교해 보았을 때, 「한국지리」과목이 심화선택 과목인 만큼 지리 정보에 대한 구체적 활용의 표현과 지리학의 기본 개념과 지리적 법칙을 응용한 지리적 사고 능력의 배양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가치·태도와 관련된 목표에 있어서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환경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확립과 지역 간 협력을 추구하는 태도 육성에 중점을 두었다. 지역구조 형성 작용의 자연·인문 환경간의 종합적인 상호 작용 파악, 문제해결능력 및 탐구능력 배양, 국토애와 통일 의지의 고취 등은 6·7차 교육과정 모두에서 공통으로 제시되었다. 셋째, 내용 체제의 영역면에서, 7차의 「한국지리」는 6차에 비해 대단원수와 중단원의 수가 줄어듦으로써 양적 축소가 이루어졌다. 제7차 교육과정의 「한국지리」내용은 6차에 비해 '정보화 사회와 지리정보'의 내용을 강화하였고 또한 통일에 대비한 학습을 위해 북부 지역의 특색이 상세히 다루어져 있다. 내용 조직에 있어서, 6·7차 모두 계통지리 중심에 지지가 섞여있다. 마지막으로 평가 영역면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서 지리 영역의 평가는 목표·내용·방법과의 일관성을 이루고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각 교과마다 성취기준을 근거로 설정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평가의 방법에 있어서, 6·7차 모두 객관식 지필 검사를 지양하고 서술형 주관식 평가와 태도 및 관찰 평가가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특히 6·7차의 평가를 행동영역 중심으로 비교해 본 결과 6차는 단순한 개념의 이해를 중심으로 했으나 7차에서는 단순한 개념의 이해뿐만 아니라 일반화의 원리를 도출해 내는 과정까지도 평가하려 한 점이 기존의 평가와는 다르다. 이러한 평가를 위해서 그동안 시행해오던 결과 중심의 양적 평가 대신 학습의 수행 과정에 대해 질적인 평가를 시도하는 수행평가가 시행되고 있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에서 지리과는 수준별 교육과정이론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개인차에 특히 유의하여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앞의 내용을 토대로 지리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지리의 역할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는 방향에서 내용이 선정·조직되어야 한다. 둘째, 의도하는 지리적 사고와 안목이 길러지도록 적절한 수준의 지역지리 지식이 선정되어야 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하고 흥미로운 학습방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좋은 사례 중심의 지리교육과정이 되도록 교육과정이 편성되어야 한다. 넷째,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한 제도적 기준 등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우리의 현실에 대처하고 국제 사회의 상호 공존에 동참하기 위해 국제이해교육, 환경교육, 가치교육, 통일교육 등은 더욱 더 보충되어야 한다. 여섯째,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 함양을 위해 필요한 민족 주체성의 확립과 통일에 대비하는데 기초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한국지리」과목이 선택과목에서 필수과목으로 전환되어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venth geography curriculum for high school education compared with the sixth curriculum. To this end, researcher conducted theoretical examination on the change of Korean geography education and geography education process of Japan and France. And, after examining and analyzing the material of the sixth and seventh education curriculum, researcher compared and analyzed 「Korean geography」in high school' sociology subjects. The main materials are 「The sixth high school sociology education curriculum」and 「The seventh sociology education curriculum」and other theses are referr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sixth curriculum 「Korean geography」was included in geography of general sociology encompassing all fields of sociology subjects and dealing with the fundamental contents. Though the subject name of 「Korean geography」disappeared, that was common compulsory subject. However, in the seventh curriculum 「Korean geography」became not a compulsory subject, but a selective one. Secondly, though the basic directions of the 6th and 7th curriculum revisions differed, their goals are had much in common. However, the seventh curriculum was intended to grasp changes and features of our terrain dynamically and express the will of national unity by understanding of the northern parts compared with the 6th curriculum. Compared with the functional point, the 7th curriculum put priority on the ability to utilize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contemplate on the basic concept of geography. Furthermore, the right point of view on the environment and cooperative mind were exaggerated in the 7th curriculum. The understanding of mutual activities between nature and humanity, ability to solve the problems and explore somethings, love of the motherland and will to the national unification were all presented in both the 6th and 7th curriculums. Thirdly, 「Korean geography」 in the seventh curriculum was reduced in quantity compared with the 6th curriculum, strengthening the content of 'information society and geography information' and dealing with the features of northern parts in detail against the unification era. Lastly, the evaluation in the 7th curriculum focused on the consistency in goal·content·method and must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based on the level of achievements. And, both of 6th and 7th curriculums turned back on the multiple choices test in assessment method and harmonized essay test and the observance of attitude. Especially, the comparison of 6th and 7th curriculum revealed that while 6th curriculum focused on only understanding of concept, 7th curriculum evaluated the principle of generalization besides that. For this evaluation, instead of quantitative one which had been conducted so far, the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 is attempted nowadays. Furthermore, as the 7th curriculum selected education procedure theory of level, personal differences must be considered in evaluation. Finally, I added some suggestions for future geography education : First, geography should be an obligatory subject for High School students, for it is rel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and the preparation for unification, Second, the unit of geography information in detail besides the simple concepts of terms or type listing. Third, it is needed to classify the world centering on Korea. Fourth, to cope with the problems we have and to take part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much more about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nvironment, value, unification should be added. Fifth, in the composition of contents in geography not the arrays of explanation in encyclopedia but good examples of contents are desirable. Sixth, research of theme concerned with the real life must be mad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