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7 Download: 0

한국과 중국의 중학교 지리영역에서의 환경교육 내용 비교 연구

Title
한국과 중국의 중학교 지리영역에서의 환경교육 내용 비교 연구
Authors
윤재옥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인류가 해결해야 할 5가지의 기본과제로 핵문제의 해결, 인종차별 문제의 해결, 종교 대립의 해소, 인권침해의 추방, 그리고 환경문제의 해결을 들고 있다. 이중 앞의 4가지 문제는 해결 의지만 있다면 곧바로 그 효과가 나타나고 원점회귀가 가능한 것이지만 환경문제는 그렇지 않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다행히 대개의 국민들이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자각하고 있으며, 경제발전 속도를 늦추더라도 환경문제를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여기고 있다. 또한 수많은 환경민간단체들과 함께 정부도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대개의 노력들이 사후대책에 그치고 있어 근본적 해결에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敎育'이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근본 대책으로 부각되어졌다. 이에, 학교에서는 관련교과를 통해 분산교육을 실시하였고 더 나아가 6차 교육과정부터 중·고등학교에 '환경'과를 독립·신설하였다. 그러나 입시위주의 교육풍토로 인한 선택률 저조로 학교 환경교육은 장애에 부딪히고 있고 관련교과를 통한 분산교육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고 하겠다. 지리과는 환경과가 독립하기 전까지 생물과와 함께 환경교육에 가장 중요한 관련 교과로 인정받아 왔다. 관련교과를 통한 분산교육이 절실한 지금, 인간과 관련하여 보다 종합적으로 환경문제를 다룰 수 있는 지리과를 통해 환경교육이 보다 강화되어야 마땅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등학교 지리교육에서의 환경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밝히고, 이를 통한 개선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현재 7차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는 중학교 사회1 교과서의 지역지리를 중심으로 한 지리 영역과 중국의 중학교 지리 교과서를 비교·분석하였다. 중국은 역사적·지리적으로 한국과 매우 밀접한 나라로, 베이징-서울-도쿄를 연결하는 이른바 베세토(BeSeTo)의 역할과 협조가 점점 더 중요해질 것임을 생각하면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하는 나라이다. 특히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볼 때, 서풍계에 속해 있는 한국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이웃나라인 만큼 중국의 환경교육에 대한 연구는 무엇보다 시급한 문제라고 하겠다. 연구를 위해 한국과 중국의 중학교 사회(지리) 교과서 6권을 선정하였으며, 내용, 활동, 삽화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교과서에서 환경교육 내용 분석은 '①자연환경, ②인공환경, ③인구, ④산업화/도시화, ⑤자원, ⑥빈곤/전쟁, ⑦환경오염, ⑧자연재해/환경변화, ⑨환경보전과 대책, ⑩환경위생, ⑪환경윤리, ⑫ESSD, ⑬건전한 소비생활'의 13개 영역으로 구성된 분석틀을 사용했다. 이 13개의 영역을 다시 '환경의 구성', '환경문제의 원인', '환경문제', '환경보전 대책 및 실천'의 4개의 대영역으로 그룹화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내용을 통한 환경교육은 한국과 중국이 전반적으로 비슷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 모두 '자연환경'과 '인공환경' 영역이 전체 환경교육 관련내용의 절반을 넘었고, '환경문제의 원인' 및 '환경문제'와 관련한 영역들의 내용 비중도 대체로 비슷했다. 그러나 '환경보전 대책 및 실천' 교육과 관련해서는, 한국이 '환경위생'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데 대해, 중국은 '환경보전과 대책', 'ESSD'를 제외하고는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지 않아 양국이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한국도 단원별로 교육 내용의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나 문제로 지적되었다. '환경보전 대책 및 실천'과 관련한 영역들 중에는 세계지리 단원을 통해 더욱 교육적 효과를 볼 수 있는 내용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세계지리 교육에서는 '환경보전과 대책' 이외에는 내용이 전혀 다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둘째, 학생 활동을 통한 환경교육에서는 양국이 어느 정도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중국은 전체 활동 수에 대한 환경교육 관련 활동 수의 비율 면에서는 한국보다 1.5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영역간 편차가 심하고 '환경보전 대책 및 실천' 교육과 관련해서는 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균형성 면에서는 한국에 훨씬 못 미치고 있었다. 한국은 중국에 비해 비교적 다양한 영역에 걸쳐 환경교육 관련 활동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여전히 '환경보전 대책 및 실천' 교육과 관련해서는 부족함이 많았고, 각 영역 안에서도 일부의 주제만을 강조하는 편향된 모습을 보이고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삽화자료를 통한 환경교육은 한국과 중국이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다. 한국이 비교적 다양한 삽화자료를 통해 여러 영역에 걸친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는데 대해, 중국은 '자연환경'과 '자원'에만 삽화가 집중하고 있고 삽화의 질도 상당히 떨어져 시각자료를 통한 환경교육에 많은 문제를 드러냈다. 게다가 한국은 환경교육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환경윤리'와 관련한 삽화가 잘 제시되고 있어, 삽화가 지리 환경교육을 위한 보조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중심적인 역할까지도 충분히 해내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지리교과를 통한 환경교육은 한국이 보다 균형 있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용, 활동, 삽화 모두에서 '환경보전 대책 및 실천'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우리의 지리 환경교육의 현실을 다시 돌아보고 보다 체계적으로 환경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리교과가 환경교육의 대표적 분산교과로서 역할을 다하기 위해 다음의 몇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지리교과에 맞는 환경교육 분석틀을 새롭게 구성해야 한다. 지리과를 통해 가르칠 수 있고 또한 반드시 가르쳐야 할 환경교육 내용을 뽑아내어 새로운 분석틀을 만들고, 이에 따라 지리 환경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가르칠 수 있어야 겠다. 둘째, 보다 현실적인 지리 환경교육이 되기 위해서 ESSD와 같은 현실성 있는 교육과, 환경교육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올바른 환경관 정립 교육이 보다 강조되어야겠다. 셋째, 환경교육이 지식보다는 가치·태도 교육과 보다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생각할 때, 학생의 직접적인 활동을 통한 환경교육이 더욱 강화되어야 하겠다.;The interest in the environmental problems has magnifie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ccordingly, even though environmental class was newly established as a selective subject in the 6th education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decentralized education through the relevant subjects is not still dwindling. Before environmental class was newly made, geography had been recognized, along with biology, as the most important subject in environmental education. When decentralized education through relevant subjects is more important than ever, we should enhanc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geography which could deal with the environmental problem general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importance of geography as a decentralized subject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will be found out through '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geography education'. Secondly, researcher shed light on the problem of geography, environmental education by investigating into the sit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eek the measure of it. To that end, researcher analyzed geography sections of social studies 1 texts in the middle school to which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was being applied and chose the chinese geography texts as comparative materials. China, suffering from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has also had interest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out school class and conducted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the subjects of science, geography. etc. Two nations' six volumes of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geography) text books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and researcher analyzed these books, subdividing contents, activities, and illustrations. The analysis of the text books is composed of 13 parts. ① natural environment, ② artificial environment, ③ population ④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⑤ natural resources, ⑥ poverty/war, ⑦ environmental contamination, ⑧ natural disaster/environmental change, ⑨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device, ⑩ environmental hygiene, ⑪ environmental ethics, ⑫ ESSD, ⑬ sound consuming life. After the analysis of text books, researcher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Korea and China have the similar level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contents. This research shows that both nations should further enhance the 'measure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practice'. Especially, Korea lags behind China in the world geography. Secondly, the analysis of activities shows that China is 1.5times as high as Korea is in the ratio of activities related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However, in the case of China, the variation in each section is severe and few activities have been done in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practice education. Even though Korea makes efforts in more various fields than China does, it still lacks in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practice' education. And it shows biased features focusing only on some topics in each section, which need fixing. Thirdly,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lies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illustrations. While Korea conduct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n various fields through illustrations, China focuses only on illustration related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and resources. And the quality of illustrations are very coarse, which reveal many problems in environmental education capitalizing on visual materials. This research shows that Korea has conducted the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the core of environmental education, relatively well through the illustration. Overall, Korea has more balanced and systematic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geography class. However, now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gap with China, the underdeveloped nation in environmental education, we should look back on the reality of geographical environmental education and make more efforts to conduc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re systematically. Researcher suggest the following things based on this research to make more desirable environmental education in geography. Firstly, the analyzing frame fitting for geography should be constructed newly and we must compose the contents and teach the pupils according to that frame. Secondly, we must put emphasis on such education related with measures and practices as ESSD, which is called the most realistic alternative. Thirdly, considering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uts priority not so much on mere knowledge as on view and attitud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activities must be further enhanc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