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지영-
dc.creator박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8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9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1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913-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성 정체성(gender identity) 형성과정에서성차별과 성역할 고정관념의 문제가 기독교교육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 대해 비판하고 여성신학의 온전한 인간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긍정적인 성 정체성 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성과 과제를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 1장에서는 본 논문의 서론으로써 기독교교육이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긍정적인 성 정체성 형성을 위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위한 기독교교육의 비판적 성찰과 여성신학의 온전한 인간성 이해를 통해 기독교교육의 과제와 방향성을 제시하며 본 논문의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밝혔다. 제 2장에서는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성 정체성 이해를 위해 성 정체성의 의미를 살펴보고 전통적인 이론과 여성주의 관점에 따른 성 정체성 형성 이론을 통해 성 정체성 형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성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주는 부모, 교사, 대중매체 등 주요 요인 분석을 통해 성 정체성 형성과정에서의 성차별과 성역할 고정관념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고등학교 여학생들의 성 정체성에 대한 인식 현황을 살펴보고 성 정체성 인식의 문제도 제기해 보았으며 성 정체성 형성에 대한 문제제기와 그 대안으로 여성심리학에서의 양성성 이해를 살펴보았다. 제 4장에서는 기독교의 성서와 교회사에서 나타난 여성에 대한 이해와 성역할을 통해 성차별과 성역할 고정관념의 문제를 살펴보고 성서를 중심으로 하는 기독교 교육 과정의 문제점과 비판적 성찰의 부재를 비판하여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긍정적인 성 정체성 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제 5장에서는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긍정적인 성 정체성 형성을 위해 비판적 성찰을 통한 기독교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여성을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남녀간의 차이를 넘어 온전한 인간성을 제시한 여성신학의 관점이 교육 목표 및 교육 교재에 반영되어짐으로써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자신의 경험을 비판적 성찰을 할 수 있는 기독교교육 커리큘럼 개발 과제와 방향성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으로써 제 6장에서는 논문 전체의 연구 내용을 종합해보고 논문의 의의 및 한계를 통해서 앞으로의 계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는 것으로 본 논문을 마친다.;This study has a purpose to criticize the problem that fixed concept of sterotyped gender roles and sexism, which are problems raised in the process of forming gender identity, and to grope for the direction and the task of Christian education for forming positive gender identity through understanding full humanity of feminist theology.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ion of this study, and it raises the question if Christian education plays a role for forming a positive gender identity of girl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It also suggests the direction and the task of Christian education through critical self-refl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full humanity of feminist theology. The second chapter, I look at the meaning of for understanding gender identity girl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and it also examines theories of gender identity following traditional opinions and the feminist point of view and the process of forming gender identity. The third Chapter, I look at the problem of sexism and the fixed thoughts of sterotyped gender roles through process of forming gender identity by analysing main factors of affecting such as parents, teachers and the mass media, and it also raises the problem of recognizing gender identity through the present status of girl students' recognition of gender identity. Hereby, it raises a problem of the forming of gender identity and examines understanding of psychoiogical androgyny in feminist psychology. The fourth chapter, I examine the problem of sexism and the fixed thoughts of sterotyped gender roles through understanding of gender roles and women written in the Bible and the history of church, and criticizes the problems of Christian education and the absence of critical reflection through the curriculum based on the text of the Bible to suggest the necessity of Christian education for forming positive gender identity of girl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The fifth Chapter, I suggest the task and the direction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of Christian education that enables self-reflection of one's own experience and it also stresses that the point of view of feminist theology that suggests full humanity by positive understanding of women overcoming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The conclusion, the sixth chapter, I generalize the study contents overall and finishes this paper b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continuous study through the meaning and the limits of this pap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1. 문제제기 및 연구 목적 = 1 2. 연구 방법 및 범위 = 5 II. 성 정체성 이해 = 6 1. 성 정체성의 의미 = 6 2. 성 정체성 형성에 관한 이론 = 9 1) 전통적인 이론 = 9 2) 여성주의적 이론 = 12 3. 성 정체성 형성 과정 = 17 1) 성 정체성 형성 과정 - (출생~아동기) = 17 2)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성 정체성 형성 과정 = 19 III. 성 정체성 형성과정 문제 = 22 1. 성 정체성 형성과정의 주요 요인 = 22 2. 성 정체성 형성 과정의 문제 = 26 1) 성차별과 성역할 고정관념의 문제 = 26 2) 고등학교 여학생의 성 정체성 인식 이해 = 30 3) 성 정체성 형성 과정의 문제와 성 정체성의 인식의 문제 = 32 3. 양성성을 통한 인간 이해 = 34 IV. 성 정체성 형성에 있어서 기독교교육의 문제 = 39 1. 기독교에서의 문제 - 성차별과 성역할 고정관념 문제 = 39 A. 기독교 전통에서의 문제 = 39 1) 성서 = 39 2) 교회사 = 43 2. 성 정체성 형성 과정과 기독교교육의 문제 = 47 A. 성차별과 성역할 고정관념의 문제 = 47 B. 비판적 성찰의 부재 = 51 V. 성 정체성 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역할에 관한 제언 = 55 1. 여성신학을 통한 새로운 통찰 - 온전한 인간성에 대한 이해 = 55 2. 기독교교육에서의 성 정체성 형성을 위한 과제 = 61 A. 문제제기와 비판적 성찰을 통한 기독교교육 = 61 B. 긍정적인 성 정체성을 위한 교육커리큘럼 개발과 방향성 = 67 1) 교육목표와 교육목적 = 67 2) 교육교재 = 68 3) 교수 - 학습 과정 = 70 4) 교육의 장 = 75 VI. 결론 = 78 참고문헌 = 82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24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 고등학교 여학생의 성 정체성 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종교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종교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