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문희수-
dc.creator문희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7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5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0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511-
dc.description.abstract편두통은 개인적으로 환자들의 삶의 질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생산성 감소는 사회경제적으로도 큰 손실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질환이다. 편두통발작이 있을 때 뿐만 아니라 발작사이의 정상인 기간에도 일반적인 안녕(well-being)에 장애가 있을 수 있고(Dahlof et al 1995; Breslau et al 1992; Henryk-Gutt et al 1972), 더구나 불안증, 우울증과 같은 정신과적 질환이 편두통 환자에서 더 흔하다는 것을 감안해 보면(Merikangas et al 1988; Stewart et al 1989; Breslau et al 1991; Breslau et al 1992) 정서적(emotional), 신체적(physical), 사회적인(social)면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는 객관적인 이상소견을 보이지 않으면서 주관적인 동통이 문제가 되는 질환이기 때문에 편두통으로 받는 고통의 정도를 포함한 전반적인 삶의 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어렵다. 따라서 객관적인 척도가 있어야 환자의 삶의 질을 정량화 할 수 있고 치료에 대한 반응을 비교·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편두통 환자들의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서 Migraine-Specific Quality of Life (MSQoL)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고 정상 성인뿐 아니라 내과· 외과환자 등 비정신과에 내원하는 환자의 불안평가에도 널리 사용되는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를 이용하여 편두통 환자들이 느끼는 불안감이 MSQoL에 어느 정도 반영되는지를 조사해 보았다. 연구자는 2001년 8월 1일부터 2001년 10월 31일까지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두통클리닉에 내원한 두통환자 중 국제두통학회(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IHS)에서 제정한 편두통 진단기준에 맞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경과 전문의가 두통 환자들과의 면담과 신경학적 검사를 통해 직접 평가한 후 설문지에 답하게 함으로써 환자들의 두통정도 및 두통과 관련된 삶의 질과 불안척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환자는 65명으로 평균연령은 41.1세(±11.6)였으며 56명(86%) 이 여자 환자이었고 전조성 편두통과 비전조성 편두통의 비는 1:4였다. 환자들의 편두통 발작빈도는 평균 한 달에 4.2회(±3.3)였으며 편두통 유병기간은 평균 13년(±8.9)이었다. 두통이 지속되는 시간은 평균 26.5시간(±20.9)이었고 편두통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을 계속할 수 없다고 보고한 환자가 42명(64.6%)이고 일상생활에 제한을 받는 평균기간은 8.2시간(±15.1)이었다. 2. 대상환자 중 50명(76.9%)이 편두통이 시작되면 증상치료제를 복용하였고 치료제로는 단순 진통제의 사용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카페인 성분을 포함한 진통제, 에르고타민 복합제재, 트립탄제재, 감기제재 순이었다. 또한 의사에 의해 진단 받지 않고 약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가 27명(41.5%)이었고 두 가지 이상의 약제를 혼합복용하고 있는 환자도 19명(29.2%)이나 되었다. 3. MSQoL의 Cronbach’s alpha값은 0.93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각 영역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한 결과, 상관계수는 0.67에서 0.81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4. 편두통의 빈도가 증가할수록 MSQoL의 점수는 감소하였으며 (F (2, 65)= 6.16, p<0.01), 편두통과 동반되는 증상이 많을수록 MSQoL의 점수는 감소하였다(F (3, 65)=3.82, p<0.01). 5. MSQoL은 우리나라에서 기존의 타당도가 검증된 Migraine Disability Assessment (MIDAS)의 장애정도뿐 아니라(r=-0.59, p<0.01) MIDAS의 두통 지속일수와 음의 상관관계(r=-0.38, p<0.01)를 보여 MSQoL로 측정한 삶의 질 평가에서 낮은 점수를 보일수록 두통의 장애정도는 심하고 두통기간은 긴 결과를 보였다. 6. 편두통 환자의 MSQoL과 불안정도를 측정하는 STAI의 총점을 Pearson 상관분석을 한 결과 음의 상관관계(r=-0.47)를 보였다( 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MSQoL은 우리나라에서 편두통으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들의 일상생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타당성 있고 신뢰성 있게 평가할 수 있는 도구이며, 연령과 성별에 상관없이 편두통의 장애정도와 불안정도까지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질환특이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Recurrent, and often unpredictable, migraine attacks with symptoms of headache, photophobia, phonophobia, nausea and vomiting significantly interfere with daily functioning and productivity of patients with migraine. But the subjective nature of headache and the lack of physical findings have left clinicians without an objective standard by which to judge the impact of headache either on individual patients or on society. Quality of life (QoL) measurement represents an important tool for evaluating both effect of migraine and its response to treatment and has recently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The MSQoL is composed of 25 questions across 3 domains: (1) role-function preventive, (2) role-function restrictive, (3) emotional fun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SQoL(Migraine-specific quality of Life) in Korean migraine patients. Participants, migraineurs from the Migraine Clinic of Samsung Medical Center, were screened using the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migraine criteria prior to enrollment through direct interview. This survey included the MSQoL, MIDAS(Migraine Disability assessment) and STAI(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ixty-five migraineurs were recruited. Based on the interview, the average attack frequency was 4.2(±3.3) attacks per month. The length of time subjects had had migraines was 12.8(±8.9) years on average and the average time before respondents felts migraine-free was about 26.5(±20.9) hours. Almost 64.6% of the participants was not able to continue with daily activities and the average time taken off work reported was 8.2(±15.1) hours. 2.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using abortive medication to an attack of migraine, but the many patients (29.2%) used polypharmacy. Anti-inflammatory agents were used most frequently (47.7%) and use of caffeine containing analgesics was reported by 35.4%, ergot by 24.6%, triptan by 9.2%, and common cold medication by 7.7%. 3. For the MSQoL, Cronbach’s alpha, which is used to analyze internal consistency, was 0.925, suggesting that the item being analyzed is tapping into a single concept. 4. Frequency and number of accompanying symptoms were predictive of the MSQoL. Higher frequency of migraine per month and number of symptom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lower quality of life score. But, we found quality of life to be independent of gender and age. 5.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SQoL scores and the MIDAS score (i.e., the degree of disability) was seen (r=-0.585, p<0.01). Similarly,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SQoL scores and the duration of headache was also observed (r=-0.38, p<0.01). The pain intensity of MIDAS had a poor correlation with the MSQoL score. 6. Althoug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SQoL and the STAI scores (r=-0.471, p<0.01),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IDAS and the STAI scor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SQoL is a reliable and valuable migraine-specific quantitative tool to assess the degree of quality of life in Korean migraineurs, and has the potential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migraineur’s disability and anxiety level. In conclusion, the MSQoL has acceptabl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an be used to estimate long-term outcome of migraine therapy in Korean popul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II. 연구 대상 및 방법 = 5 III. 연구결과 = 8 IV. 고찰 = 18 V. 결론 = 22 참고문헌 = 24 부록 = 27 ABSTRACT = 3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17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인 편두통 환자에서의 MSQoL(Migraine-Specific Quality of Life)설문조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3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