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6 Download: 0

상담과정에서 상담자-내담자 언어반응 상호작용 유형분석

Title
상담과정에서 상담자-내담자 언어반응 상호작용 유형분석
Authors
김봉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와 내담자의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상담자의 언어반응이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며 내담자의 언어반응과 관계하여 두드러진 경향성이 있는지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심상담자와 내담자의 언어반응 분석을 실시하였다. 25개의 실제 상담사례 축어록을 수집하여 Hill(1981)의 상담자, 내담자 언어반응 유목척도를 사용하여 상담자, 내담자 언어반응을 평정 하였다. 평정자로는 4명의 상담심리전공 대학원생이 참여하여 각 사례당 2명이 평가하였으며, 언어반응의 내용단위로 나누어 평정하도록 하였다. 상담자, 내담자 각각의 언어반응을 유목화한 후 빈도가 높은 반응들에서 선행 상담자 언어 반응⇒후속 내담자 언어반응 쌍과 선행 내담자 언어반응⇒후속 상담자 언어반응 쌍을 찾아내었다. 그리고 선행-후속하는 언어반응들간에 서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자료분석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초심상담자들의 경우, 주로 한정질문, 개방질문, 재언급, 반영 반응이 많았다. 그리고 내담자들의 경우, 단순반응, 기술, 경험 반응이 많이 나타났다. 초심상담자들의 언어반응 후에 나타나는 내담자 반응과의 관계를 보면 한정 질문⇒단순반응, 한정질문⇒기술, 개방질문⇒기술, 개방질문⇒단순반응, 재언급 →단순반응, 재언급→기술로 나타난다. 전반적으로 상담자의 언어반응 유형에 관계없이 단순반응, 기술 반응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내담자의 반응 후에 나타나는 상담자 반응 또한 제한되어 있어서 단순반응⇒한정질문, 단순반 응⇒개방질문, 기술⇒한정질문, 기술⇒개방질문, 기술→재언급의 형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심상담자들이 실제 상담에 임했을 때, 내담자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얻어내거나, 자신을 탐색하고 문제해결을 지향하도록 이끄는 부분에서 많은 부족함을 보이리라는 것과 상담의 전략이나 전체적인 흐름을 가지고 임하는 것이 잘 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초심 상담자가 상담상황에서 어떤 언어반응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음으로써 이들에게 어떠한 방향으로 상담 실제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것인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는 목적으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 novice counselor verbal responses are and if there are more remarkable tendency between counselors and client's reciprocal verbal responses during at counseling sessions. For the purpose the verbal responses of novice counselors and of clients are analyzed. 25 verbatims were collected analyzed using Hill's counselor-client verbal response category system. 4 graduate school students coded the verbal responses in each 2 cases. Every verbal responses were analyzed by unit of meaning. After categorizing, each sample was divided two types in a response of high frequency. One was a first counselor verbal response⇒after client verbal response, the other was a first client response ⇒ after counselor verbal response. This article was to study if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first-after verbal response. The result of analyzing data are same as next. In the case of novice counselors, they mainly had closed question, open question, restatement and reflection responses a lot. And clients had simple response, description, experiencing responses a lot. The relationship in client's response after novice counselor's response were mainly closed question ⇒ simple response, closed question→description, open question ⇒ description, open question→simple question, restatement simple response, restatement→description. Generally this study had simple response and description without regarding to the type of counselor's verbal response. Finally this study show that when novice counselor had a counsel, they could have a lock of collecting information from client of leading client to search themselves and to solve their problems. As well as this study show even though novice counselors have counseling even though novice counselors have counseling strategy or general flowing in counseling, they may not always success i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get the base information about how educating novice counselo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