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란-
dc.creator이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3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0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351-
dc.description.abstractToday mass media play an important role as a tool for the socialization of the children, and the use of the mass media become an everyday practice for the children. Considering the large number of studies on the topics of children and mass media, it is surprising to find that the detailed and realistic information on children's use of mass media is still insufficient. Together with the lopsided attention to the television, the alienation of children, based on the stereotyped idea, from the studies of their use of mass media was responsible for the above problems. The presumption that the whole children could be viewed as a single group, without the clear distinction among toddler, school children, and juvenile, also undermined the success of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to overcome the aforementioned shortcomings I adopted a different view and a new methodology for the in depth investigation of the use of mass media by children. At the beginning of this thesis the motivation for the study of children and mass media was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ization of children, and the main results and the common trend of the previous studies were summarized to provide the theoretical foundation. Two main theme of this study were the mass media in children's everyday life and the children's use of mass media. Each theme was studied through the several specific questions. Basic data for this study were the media-use cases of 27 fifth grader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 Seowon and Woojang elementary school in Seocho-Gu and Kangseo-Gu, respectively. Data were collected in the form of the media diary recorded by each child for a week and the replies to the simple questionnaire. I summarized the findings related to the first theme of this study as following: Without a regional difference all the children who becam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enjoying media-rich living conditions that allowed easy access to a variety of media. Children's after-school hours were fully occupied with a heavy load of private lessons, which severely limited their free time. However, they were spending most of their limited spare time in using some form of media. Children's daily life showed a substantial regional variation, and also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media in their daily life showed a noticeable regional difference. A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daily schedule, the amount of their spare time, and the extent of their media use was found. Regarding the second theme of this study, the analysis of the children's use of each media type showed a significant bias. In the total time spent for media use, the portion occupied by television and computer was 74.5% while books and audio media took up only a very small portion. Moreover, there were a large regional and a personal difference in the time spent for the media use. The overall media use of the children in the Gangseo area exceeded that of their counterpart in the Seocho area. To the question asking what made them to use media, most of the children answered as because they were bored, they simply wanted to do (listen, read, watch), or it gave them fun. About 90% of the media use was either aimed for pleasure and relaxation, or habitual and unvoluntary purpose. Obviously,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a the purpose of the media use was slightly different. In the children's use of media, the prominent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the stereotyped use of media, the use of media while engaged in other activities, low loyalty to a specific media or program, and frequent solitary use of media. As the main media-specific characteristics, television being the family media, computer being the unique media that children shared with their piers, and audio being selected as the main activity, not as the auxiliary activity, by only the children who had elder siblings were emerged. The observation that girls used mass media more frequently for the purpose of listening to the music and boosting friendship than boys provided an evidence for the gender-dependent difference in the purpose of media use. In this study I probed how influential media environment, reference group, and life pattern were to the children's use of media. As it turned out, only reference group and life pattern had substantial influence on the children's use of media. In the reference group, mothers and siblings of the same gender and similar age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extent of the media use and the choice of the types of media and programs in particular. Friends of the same age group exerted influence on the children's media use by making and transmitting their sub culture through sharing mass media, and teachers by imposing compulsory reading to children, but the influence of fathers was found negligible. Since the children's use of media was dictated entirely by the spare-time limitation, life pattern also emerged a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the children's use of media. However, considering their control of private-lesson plans and creation of media environment, mothers were the most critical factor affectin g the children's media use. The actual media use by the children occurred under various circumstances depending on their spare time and the degree of mothers intervention on their media use, and the children were observed to struggle under the given circumstance to watch the programs of their choice for longer period of time. The above observations on the children's use of media became the foundation to extract the children's perception of mass media, children's characteristics as audience, and problems in their use of mass media. The children's perception of mass media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 children did not perceive mass media as either novelty items or accessories any more, but as the commodities necessary in daily life. Second, mass media was perceived as a kind of magic box that could satisfy various desires most conveniently. Third, the children perceived mass media as a cultural medium essential for making and transmitting their own culture. In short, mass media became the center of the family life, leisure activities, and cultural experience for the children. As the audience of mass media, the children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both active and passive audience. Passive audience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from the aspects of a routine-and-habitual media consumer and of a limited use induced by external factors. The evidences for the active audience traits were as following: The decision to use media to pass their own free time was made by each child. Their selection of a specific media among a variety of available media under a specific situation was their own. They were aggressive either in using the chosen media or in hunting for alternative media. They employed diverse tactics to use the media of their choice more freely for longer period of time. Finally, the problems such as excessive media-dependence, entertainment-oriented media use, involuntary and habitual media use, and solitary use of media were identified. Moreover, the inconsistent attitude of children's parents emerged a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 In conclusion, I proposed media education, in particular in the school, as the remedy to overcom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to heighten media consciousness, and to make children better media audience. The observation that the media selection (access) by the majority of the audience are guided by their experience and habit, acquired through prolonged use, led me to conclude that only systematic and persistent education can be effective, and that school is the most appropriate venue for media education; therefore, we have proposed media education in the school. However, the current media education in the school is very insufficient and in a very poor state. In summary,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we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 on the actual media use of children in the context of their daily lives and their conception on the media, in spite of the limited number of subject children and the limited scope of adopted research methodology, and that the effective media education can be devised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is study.;오늘날 대중매체는 어린이의 사회화 도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어린이들에게 대중매체의 사용은 일상생활의 한 습관으로 자리잡았다. 따라서 이제까지 어린이와 대중매체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린이의 매체사용에 관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정보들은 여전히 부족하였다. 이것은 기존의 연구들이 텔레비전에 관한 연구로 치우쳐왔고 어린이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어린이들을 소외시킨 채 연구해왔으며 대부분 유아와 청소년·초등학교 학생에 대한 명확한 구분없이 어린이 전체를 단일집단으로 보고 연구해왔기 때문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 점에 주목하여 새로운 시각과 방법으로 어린이의 대중매체 사용을 보다 깊이있게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시작하기에 앞서 이 연구에서는 어린이와 대중매체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어린이의 사회화란 관점에서 설명하고, 그 동안의 중요한 연구결과들과 기존연구의 공통성향들을 정리함으로써 연구를 위한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 다루고자 한 연구문제는 크게 어린이의 일상과 대중매체 / 어린이의 대중매체 사용에 관한 문제였으며, 각각의 연구문제는 세부적인 여러 질문들을 통해 접근해 보았다. 그리고 이런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서울 서초구의 서원 초등학교와 강서구의 우장 초등학교 5학년 남녀 어린이 27명을 연구대상으로 택해 어린이들의 매체사용에 관한 사례들을 수집·분석해 보았다. 사례는 어린이들이 직접 작성한 일주일간의 매체일지와 간단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우선 어린이의 일상과 대중매체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 어린이들은 지역적인 차이없이 모두 다양한 매체들이 갖추어진 풍족한 매체환경 속에서 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어린이들은 방과후에도 각종의 과외학습으로 바쁜 일상을 살아가고 있었고 따라서 여가시간이 거의 없었으나 그 제한된 여가시간의 상당부분을 매체사용에 보내고 있었다. 어린이들의 일상생활은 지역에 따라 크게 달랐으며 어린이들의 일상에서 매체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 역시 지역적으로 큰 차이를 보여, 어린이들의 일과 시간표와 여가시간의 크기, 매체사용량 사이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먼저 어린이들의 매체사용량을 비교해 본 결과, 매체별로 사용량이 크게 달라 TV와 컴퓨터의 사용시간이 전체 매체사용 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한 반면 책과 오디오 매체의 사용시간은 극히 적었다. 지역적으로는 강서 어린이들의 매체사용량이 강남 어린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같은 지역의 어린이들의 매체사용량에서도 상당한 개인차가 발견되었다. 어린이들이 매체사용 이유로 가장 많이 사용한 표현은 "심심해서" "하고(듣고, 읽고, 보고) 싶어서" "재미있어서"였고, 오락·휴식을 위한 목적과 습관적·비자발적으로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정보·학습의 목적이나 친교·교제의 목적으로 매체를 사용한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그러나 매체에 따라 어린이들의 사용목적은 다소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들의 매체사용에서는 다양한 행동적 특성과 매체별 사용특성, 성별 특성 등이 발견되었는데, 행동 특성으로는 어린이들의 정형화된 매체사용과 다른 활동과의 병행사용 / 특정매체나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낮은 충성도 / 빈번한 혼자만의 매체사용 등이 눈에 띄었다. 매체별 특성으로는 텔레비전의 경우 명실공히 가족용 매체였다는 사실과 컴퓨터의 경우 어린이들이 친구들과 이용한 거의 유일한 매체였다는 사실, 그리고 오디오 매체는 대부분 손위형제가 있는 어린이들만 사용하였으며 더 이상 부수적인 활동이 아니라 주행위로서 사용되었다는 사실 등이 목격되었다. 또 여자 어린이들이 남자 어린이들에 비해 음악(대중가요)을 듣기 위해서나 친교와 교제의 목적으로 대중매체를 사용한 경우가 많은데서, 즉 매체사용 목적이 다른데서 성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어린이들의 매체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 이 연구의 경우 매체환경적 요인은 대상 어린이들의 매체사용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던 반면, 준거집단이나 생활방식 요인은 어린이들의 매체사용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되었다. 준거집단 중 특히 어머니와 나이 차가 적은 동성형제는 어린이의 매체사용 정도와 매체 및 프로그램의 선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또래친구는 대중매체의 사용을 통한 또래문화의 형성과 전수라는 측면에서, 교사는 의무적인 매체사용(책읽기)의 강요라는 측면에서 어린이의 매체사용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어린이의 매체사용에 미치는 아버지의 영향력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생활방식 역시 어린이들의 매체사용이 여가시간의 정도에 따라 상당한 제한을 받고 있음을 볼 때 중요한 요인이 아닐 수 없었다. 그러나 어린이의 여가시간을 규제하는 것이 어머니이고, 매체환경의 조성도 어머니의 결정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고려하면 결국 어린이의 매체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인 요인은 어머니임을 알 수 있었다. 실제로 어린이들의 매체사용은 어린이들의 여가시간과 매체사용에 대한 어머니의 간섭정도에 따라 다양한 상황에서 이루어지고 있었고, 어린이들은 각자 놓여진 상황 속에서 '보다 긴 시간 동안' '자신들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보기 위해' 갖가지 노력을 하고 있었다. 이상 어린이들의 매체사용과 관련된 중요한 연구결과들은 어린이들의 대중매체에 대한 인식과 대중매체 수용자로서의 어린이들의 특성 및 어린이들의 대중매체 사용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파악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해 주었다. 우선 어린이들의 대중매체에 대한 인식은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 째, 어린이들에게 대중매체는 더 이상 신기한 발명품이나 장식품이 아니라 생활에 필요한 일종의 생활도구로 인식되어 있었고, 둘 째 만능의 요술상자로써 여러 가지 욕구충족을 위한 가장 손쉬운 도구로 인식되어 있었으며, 셋 째 어린이들의 문화를 형성하고 전달하는 중요한 문화적 매개체로 인식되어 있었다. 즉 어린이들에게 대중매체는 가정생활과 여가 생활, 문화생활의 중심으로서의 역할과 의미를 갖고 있었다. 다음 대중매체의 수용자로서 어린이들은 수동적 수용자의 특성과 능동적 수용자의 특성 모두를 갖고 있었다. 수동적인 수용자로서의 특성은 '일상적이고 습관화된 미디어 소비'라는 측면과 '외부 요인에 따른 사용의 제한'이라는 측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능동적인 특성은 어린이들이 여가시간을 보내는 수단으로 매체를 택하는 것에서, 사용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매체가 있음에도 특정상황에서 특정매체를 선택하는 모습에서, 대안적이거나 적극적인 매체사용 모습과 어린이들이 '보다 많은 시간' '보다 자유롭게 매체를 사용하기' 위해 동원한 여러 전략들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어린이들의 매체사용에서는 매체에 대한 지나친 의존과 오락 위주의 매체사용, 무의식적이고 습관적인 매체사용, 개인적인 매체사용 등의 문제점이 확인되었고, 어린이들의 매체사용에 대한 부모들의 일관성 없는 태도 역시 묵과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점이었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어린이들의 매체사용에서 나타난 이런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어린이들의 매체에 대한 인식을 높여주며 어린이들을 보다 현명한 매체수용자로 지도하기 위한 방안으로 매체교육, 특히 학교에서의 매체교육을 제안하였다. 특히 학교에서의 매체교육을 지지하였다. 이것은 수용자들의 매체접근이 대부분 습관과 경험에 의존하여 이루어지고 그 습관은 오랜 기간 동안 체득되는 것임을 고려할 때, 보다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교육만이 실효를 거둘 수 있으며 그에 가장 적합한 기구는 바로 학교라고 보았기 때문이었다. 현재 우리의 경우 학교에서의 매체교육은 터무니없이 부족하고 열악한 실정이다. 그리고 이런 점에서 이 연구는 연구대상과 연구방법에 따른 몇 가지 한계를 갖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일상적인 맥락 속에서 어린이들의 실제적인 매체사용과 매체에 대한 인식 등을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또 그것들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들이 매체교육을 위한 작은 토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 1 B. 연구의 의의 = 3 C. 논문의 구성 = 5 II. 관련문헌 연구 = 7 A. 어린이와 대중매체 = 7 B. 어린이와 대중매체에 관한 기존연구 = 8 1. 매체환경과 사용량 = 8 2. 매체사용 동기 = 10 3. 매체사용 행태 = 11 4. 영향요인 및 대응전략 = 13 C. 어린이와 대중매체에 관한 기존연구의 동향 = 15 III.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22 A. 연구문제 = 22 B. 연구방법 = 23 1. 연구대상 = 23 2. 연구방법 및 절차 = 27 (1) 강남지역 = 28 (2) 강서지역 = 29 IV. 연구결과 및 논의 = 31 A. 어린이의 일상과 대중매체 = 31 1. 어린이들의 매체환경 = 31 2. 어린이들의 일상생활 = 33 3. 어린이들의 일상에서 매체가 차지하는 비중 = 38 (1) 강남지역 = 39 (2) 강서지역 = 40 B. 어린이의 대중매체 사용 = 42 1. 매체의 유형별 사용시간 = 42 2. 어린이들의 매체사용 목적 = 47 3. 어린이들의 매체사용 행태 = 50 가. 행위적 특성 = 50 나. 매체별 특성 = 56 다. 성별 특성 = 61 4. 어린이들의 매체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대응전략 = 64 가. 영향요인 = 64 (1) 매체 환경적 요인 = 64 (2) 준거집단 요인 = 64 (3) 생활방식 요인 = 67 나. 대응전략 = 68 V. 요약 및 결론, 연구의 한계 = 76 A. 연구결과의 요약 = 76 B. 결론 = 80 1. 어린이들의 매체에 대한 인식과 그들에게 매체가 갖는 의미 = 80 2. 매체 수용자로서 어린이들의 특성 = 83 가. 수동적 수용자로서의 특성 = 83 나. 능동적 수용자로서의 특성 = 86 3. 어린이들의 매체 사용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 88 C. 연구의 한계 = 94 참고문헌 = 96 부록 = 107 ABSTRACT =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10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어린이들의 일상생활속의 대중매체 사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5학년 어린이 집단에 대한 사례연구-
dc.format.pageviii,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신문방송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