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9 Download: 0

TV '신데렐라' 드라마 장르연구

Title
TV '신데렐라' 드라마 장르연구
Authors
남영숙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동화 <신데렐라 Cinderella>를 원형(元型)으로 하는 텔레비전 신데렐라 드라마는 1994년 <사랑을 그대 품안에> 이래 유사 화제작들의 높은 시청률에서 보여준 시청자들의 일관된 지지에 힘입어 2002년 현재까지 꾸준히 반복재생산 되고 있다. 이에 그간 언론과 학계의 비판 일색에서 한걸음 물러나 신데렐라 드라마의 간과된 가능성을 탐색하고, 발전적인 대안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학문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분석대상으로는 1994년부터 2001년까지 총 8편, <사랑을 그대 품안에>·<별은 내 가슴에>·<신데렐라>·<토마토>·<진실>·<이브의 모든 것>·<비밀>·<귀여운 여인>을 선정, 서사분석을 기초로 신데렐라 드라마의 관습부터 그 누적적인 변화, 즉 장르로서의 진화까지 살펴보았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텔레비전 '신데렐라' 드라마의 서사구조는 무엇인가? 둘째, 텔레비전 '신데렐라' 드라마에서 관습의 반복과 변화는 무엇인가? 셋째, 신데렐라 드라마의 장르적 인기요인 및 사회적 함의는 무엇인가? 분석결과, 신데렐라 드라마는 동화 <신데렐라>의 서사구조를 근간으로 씩씩한 신데렐라·악녀·모성결핍 성향의 왕자·희화·과장된 주변인물들을 배치하고, 스타들을 기용, 기존 스타이미지와 설정인물간의 상승작용을 유도하였다. 특히 여주인공과 악녀의 선악 대결구도를 강조, TV만의 전형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여기에 현재 중심의 시간구조, 가족이 배제된 자리에 성공과 연애가 강조된 감각적인 공간연출 등 '트렌디' 양식이 가세, 신데렐라 드라마의 소비적인 환상성이 강화되었다. 또한 '신데렐라' 드라마는 진화 4단계, 고전-세련화-패러디-해체 혹은 매너리즘의 과정을 보여 장르로서의 위치를 다졌다. 동화의 서사가 트렌디 양식과 매끄럽게 결합, 높은 시청률로 장르 제1단계 '고전'의 막을 연 <사랑을>에 이어, 2단계 '세련화'의 <별은>에서는 전문직 종사자로 설정, 자의식이 강화되고 정교해진 여주인공 캐릭터가 장르의 성장을 유도했다. 기술적으로도 트렌디 양식이 안정되어 세련된 화면구성력을 보였다. <토마토>, <진실>, <이브의>, <비밀>은 세번째 패러디 단계의 작품들로서 前단계들과 구별되는 개성-인물의 입체화: 여주인공 B 안의 선악 혼재, 내부의 적(敵)-이 나타났으며, 수사·미스테리 등 他장르가 섞여 이야기가 한층 복잡해졌다. 또한 이항대립이 시각적으로도 확장, 여주인공의 의상·소품·배경 등을 구성하는 영상관습이 이 단계에서 공식화된다. 마지막 해체 혹은 매너리즘 단계의 <신데렐라>, <귀여운 여인>에서는 각각 기본서사 자체가 붕괴되거나 성공적인 前作이 피상적으로 자기복제 되었다. 1990년대 중반부터 2001년 21세기 초엽까지 8년간,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서 신데렐라 드라마의 함의는 보수-통합과 진보-전복의 연속선상에 놓여있다. 먼저, 신데렐라 드라마는 고효율의 상품이다. 기본적으로 신데렐라 드라마는 변신 모티브 "불우한 여주인공의 성공담"이라, 이야기 자체만으로도 훌륭한 눈요기로 작용, 일정수준 이상 화면구성의 다채로움이 보장된다. 게다가 고전동화로서 익히 알려진 신데렐라 이야기는 줄거리보다 인물들이 화면에서 두드러진다. 인물을 과장하는 트렌디의 촬영방식 역시 자연스럽게 남녀주인공의 부속물에 주목하도록 기능한다. 그 결과, 광고 이상의 상업적 효과가 발생하여 제작진으로서는 "그림이 되는" 장르지만 "계층간 위화감을 조성하고 과소비를 조장한다"는 상투적인 비난을 면하기 어려웠다. 또한 신데렐라 드라마는 사회의 제반 갈등을 약화 내지 무마시키려는 통합기제로 기능하기도 한다. 신데렐라 드라마에서는 중하류층 여성이 사랑과 결혼이란 낭만적인 방법으로 간단하게 상류사회에 무임승차하는 것처럼 보인다. 표현상으로도 순결한 고아 여주인공이 부도덕한 상류층에 속한 남자주인공과 해피엔딩 구조로 결합함으로써 결핍된 절반들이 하나로 완전해지는 과정으로 묘사되었다. 신데렐라 드라마는 하위장르로서 상위 멜로드라마의 통합지향 서사전략을 그대로 따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새로운 가능성 역시 장르 안에 있어, 신데렐라 드라마를 다시 읽을 필요가 생긴다. TV에서는 남자 주인공을 매혹시키는 주요 유인(誘因)으로서 여주인공에게 내면화된 '모성적 존재'가 신비화, 여주인공 일반에게는 여린 외모에 비해 굳은 심지·강한 자존심으로, 디자이너인 여주인공에게는 창조적 재능으로 나타난다. 신데렐라 드라마에 내재한 생모-여주인공의 강한 모계 연결구조는 '신데렐라 컴플렉스'라는 장르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에 의문을 제기하며, 오히려 같은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신데렐라 드라마가 가부장적인 시각으로 어떻게 재단되고 윤색되었는지 재고(再考)하게 한다. 신데렐라 드라마가 '백마 탄 왕자'에 대한 환상만 부풀려 여성의 의존도를 높인다는 비판 역시 수정의 여지가 있다. '백마 탄 왕자'를 열정을 살리는 꿈의 도구로 적절히 사용할 경우, 오히려 환상을 통해 현실에 도전하고 인생을 창조하는 영원한 동력원을 확보할 수 있다고 카우프만은 주장했다. 신데렐라 드라마는 접근성 높은 매체인 TV를 통해 이러한 삶의 원동력으로서의 '백마 탄 왕자'를 가장 편리한 형태로 제공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착한 여주인공이 아니라 상대 악녀가 선호되는 경향 또한 지금까지 주류사회가 끊임없이 반복입력 해온 권선징악과는 다른 조류다. 여성주의의 세례를 받은 여성들이 성장, 자율적으로 자신을 계발하고 삶의 동반자로서 남성과의 평등한 권력관계에 대한 자의식을 키워가고 있다는 징후다. 신데렐라 드라마가 빚어내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현상과 의미들을 스펙트럼에 비유할 때, 분광(分光)된 신데렐라 드라마의 빛깔은 보수와 진보의 양자 사이에 놓여있다. 신데렐라 장르가 보수통합기제로서 지배이데올로기를 강화하며 동시대 사회질서를 유지하는 파수꾼 역할을 해왔음은 부분적으로 사실이다. 그러나 장르가 누적되고 내용적으로 심화됨에 따라 어머니와 악녀의 가능성을 재발견한 신데렐라 드라마는 내부모순·균열을 발전적인 진보의 맹아(萌芽)로 전환시킬 역량을 동시에 갖추고 있다. 이러한 보수-진보 스펙트럼의 성분조절이 장르의 생명력을 결정하는 주요 열쇠로서 앞으로 신데렐라 드라마를 둘러싼 三者, 제작진·언론과 학계·시청자의 과제가 될 것이다.;Television Cinderella-story-dramas originated from the fairy tale, have been continually reproduced so far due to the big and consistent support of audiences since in 1994. So this research, one step back from existing criticism, tried to inquire the overlooked possibility of and to build up a groundwork of improvement for Cinderella-story-dramas(the following Cinderella dramas). The research selected 8 texts, ······· and analyzed their conventions and changes, that is, evolutions as a genre on the basis of narrative analysis methods. The research issue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narrative structure of tv Cinderella dramas? 2. What are the repetitions and changes of conventions in Cinderella dramas? 3. What are the generic elements of popularity and social connotations of Cinderella dramas? As results, tv Cinderella dramas arranged star-leveled actors and actresses in triangle or rectangular-shaped relationships(e.g. a motherhood-want-prince and a wicked woman around tomboy Cinderella. Or a guardian angel for the wicked is an option) according to narrative. And they are also seasoned with some humorous and exaggerated supporting characters. Strategically casting big stars, they attempted to produce synergy effects between characters and pre-existing star images. Especially they created tv-exclusive-typicalness emphasizing confrontations between Cinderella and the wicked and reinforced fantasies by adding to Trendy drama's visual modes(e.g. present-centered time structure, stylish staging and mis-en-scene which stressed love and success instead of excluded family). Cinderella dramas established their positions as a genre through showing evolutionary four stages, classic - refinement - parody - deconstruction or mannerism. opened the first stage of the genre where the narrative of old fairy folks was combined smoothly with modern trendy mode in 1990's. Secondly, set up heroines as sophisticated career women. Its strong self-consciousness and elaborated characters led to a growth of the genre. And in this stage, technically stabilized Trendy mode showed the skillful ability of scene composition too. Thirdly ···, parody ones had some discriminative characteristics such as good and evil mixed in the wicked, inner enemy and duplicated storylines through blending with detective or mystery genre. Besides as binary opposition spread out visually, visual conventions were officialized at this stage consisting of heroines' costumes·props·settings. In the final stage of deconstruction or man nerism , basic narrative structures were broken down or successful ex-works were auto-copied. The connotations of Cinderella dramas remains in a line of between conservativeness-integration and progress-subversion as a kind of social phenomena. Firstly, Cinderella dramas took the van roles of capitalism as high-efficient product. Basically, Cinderella dramas adopted transformation motives, "success stories of adverse heroine". Therefore story itself functioned as attractive eye-beholders and guaranteed variety of scene at least. Moreover well-known classic story made characters more salient than plot. Trendy's camera walking(repetitive close-ups and low angle) also made characters more notable and audiences give attention to actors and actresses' attachments. Accordingly Cinderella drama was "good visual" genre to industry but could not make no excuses for blame for "making mood for conflicts among stratifications and for extravagancy" Another function of Cinderella dramas was "the rites of integration"(Schatz, 1981). Heroines in middle-lower classes seemed to ride free into high society through romantic ways of love and marriage. In expression, it is described for two halves to become perfect one in the way of combination of innocent orphans with heroes from immoral upper classes under happy ending structure. Ironically is there, however, hopeful potential in genre, so we need to re-read Cinderella dramas too. In tv, the inner image of motherhood grown in Cinderella's heart(Betelheim, 1976), was dramatized mysterious and it functioned as a incentive to attract heroes, which appeared in heroines relatively more strong and self-respected than tender and fragile appearances, intrinsically talented especially in the case of designers. The solid maternal link between birth mother and Cinderella dwelt in dramas, suggested some questions against general criticism of "Cinderella complex" on genre and rather to re-think from the same aspects of feminism how patriarchal viewpoints distorted and adorned it. In the second thought, we can have eternal energy to challenge to and create life by using the fantasy of 'the prince on white horse' properly(Kaufmann, 1999). Television can be the best way to access to it. Finally, the wicked-preferring-trends also was different waves from "rewarding the good and punishing the wicked" that society has continued to input. It was the sign that the women's self-consciousness grew mature and finally began to control relationship of power with men as partners of life. There were Cinderella dramas as triggering device in the center of "the wicked syndrome". If comparing varied sociocultural phenomena and meanings of Cinderella dramas to spectrum, colours of them exists somewhere between conservatism and progress. It was partially true that they contributed to strengthening dominant ideology as conservative-integration-mechanism and made social orders of current times secure. But simultaneously as genre ages and deepens in quality, Cinderella dramas had potential to transfer inherent ironies and cracks into sprouts of constructive progress. The adjustment of this spectrum will be the key to prosperity and long-run of tv Cinderella dram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