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8 Download: 0

근동 법전과의 비교를 통해 본 구약 법전의 여성 관련 법 연구

Title
근동 법전과의 비교를 통해 본 구약 법전의 여성 관련 법 연구
Authors
김태경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rrectly evaluate the woman-related laws in the Old Testament. As for this purpose, Israelite woman's legal status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Israel's theological uniqueness revealed by comparing with the Ancient Near Eastern Law Code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of all, in chapter II the woman-related Laws in the Ancient Near Eastern Law Codes were researched. The result was that the women in the neighbors around Israel were legally limited by the patriarchical social structure. Chapter III compared woman-related laws of the ANE with the laws of the OT. They are similar in that the women are legally periphery. But the women's legal statues in the OT are different on the basis of the theological uniqueness. The marriage laws with debt slavery and captured woman were prevalent custom but in the case of OT, it seems that the women were legally protected. Also, Leviate marriage is not an unique custom in Israel. but in the ANE it was a custom to keep a woman as a property from the outside of family. But in the Israelite law, it was intended to maintain household blood-heritage lines. In the case of divorce, OT prohibits the remarriage with the former wife on the base of the ethical life in the YHWH's land. The law of the accusation of the virginity shows that the sexual crime is not just individual dimension but the community dimension. The laws related with sex are rape, adultery and sexual taboos. Rape law with the un-betrothed virgin regards female sexuality as a property in which the rapist should pay the virgin-price and marry with her. The case of betrothed female slave in the OT is unique in that the rapist should offer the sacrifice to YHWH. That is, Israel integrates the sexual issue into religious aspect. In the case of adultery, OT and ANE view it as an offence against her husband. But, OT law regards it as an against community identity in the land. Sexual taboos in the OT punishes no child bearing, cutting from the community, The ordeal for the wife is common in ANE laws but the result and procedure in the OT seems to be more developed. The law about priest in which he should not divorce and remarry but marry with a virgin is unique. It is because of his holiness as a mediator with YHWH. Also, the impurity of birth and menstruate is widely pervaded taboos in the ANE. But the birth purity ritual of the OT is different from the Hittitte's and the menstruous woman in the OT is less limited compared with the ANE. In conclusion, this thesis claims that the woman-related laws in the OT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theology of the OT. It can be said that the women in Israel are legally protected. Therefore, the woman-related laws in the OT are correctly evaluated only if they are compared with the ANE Law Codes.;본 논문의 목적은 구약 법전에 나타나는 일련의 여성 차별적인 법규들을 올바르게 평가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필자는 구약 법전과 근동 법전에 나타나는 여성 관련 법규들을 발췌, 비교하여 구약 법전의 특수성을 드러낸 후 이름 근거로 근동과는 구별되는 이스라엘 여성의 법적 지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Ⅱ장에서는 이스라엘 주변국가 여성들의 법적 지위를 알기 위해 근동 법전들에서 여성관련 법규들을 발췌했다. 그 결과 근동 여성들은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인 사회구조 속에서 법적으로 자유롭지 못했음이 파악됐다. 이에 따라 Ⅲ장에서는 이 논문의 주된 논의가 되는 구약 법전에 나타나는 여성 관련 법규들을 근동 법전과 주제별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여성이 법의 주체가 되지 못하고 있음은 유사하나 구약 법전의 독특성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보였다. 먼저 경제적인 이유로 매매된 여자나 전쟁 포로 여인을 첩으로 맞아들이는 결혼 형태는 유사하나 구약 법전의 경우 여성을 인격적으로 대우한다는 측면에서 근동보다는 인간적인 규정이라고 볼 수 있다. 시형제 결혼 제도 역시 힛타이트 법전과 앗시리아 법전에도 명시되어 있는 바 이스라엘 고유의 개념은 아니나 근동에서는 여성을 재산의 일부로 보아 가산을 외부로 내보내지 않기 위한 제도인 반면 구약법전의 경우 이스라엘 공동체의 대를 잇게 한다는 공동체 의식의 일환에서 시행된 것으로 보인다. 이혼의 경우 구약 법전이 전처와의 재결합을 금지하고 있는 것은 이를 허가하고 있는 근동과는 확연히 다르며 땅을 더럽히지 말라는 이스라엘 공동체의 야웨가 주신 땅에서의 윤리적 삶에 대한 이스라엘의 자기 정체성을 규정하고 있다. 아내가 처녀가 아니었다고 고발하는 사례는 고발을 해결하는 방식에 있어 공동체 전체가 참여함으로써 구약 법전의 경우 성범죄에 대한 책임이 개인적인 사안을 초월하여 전공동체의 책임임을 보여주고 있다. 성 관계와 관련된 법규는 강간과 간음 및 근친 상간에 대한 성적 금기로 나눌 수 있다. 먼저 강간의 경우 돈으로 처녀성을 지불하고 결혼을 의무화하는 것은 유사하나 구약법전에서 약혼한 여종을 강간했을 경우 간부가 야웨께 속죄제를 지내는 것은 근동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서 성범죄를 종교적 영역으로 끌어들이어 해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간음의 경우 아내의 결혼생활 중 순결이 사형에 해당하는 중요한 사안인 점에서는 유사하나 구약 법전은 땅을 더럽히지 말라는 개념과 맞물려 공동체의 정체성과 결부되어 있으며 근친상간에 대한 성적 금기 사항 역시 그 처벌 방식에 있어 이스라엘 공동체로부터 끊어지게 한다는 즉 자녀를 임신할 수 없다는 공동체적인 측면과 연결시키고 있는 점이 다르다. 아내의 간음 여부를 밝히는 주술적 심리 의식은 근동 법전에도 나와 있으나 그 심리 절차와 결과에 있어 좀더 발전된 양상을 보인다. 제사장의 결혼 상대를 처녀에게 국한하고 이혼과 재혼을 금하고 있는 것은 이 모든 것이 가능한 근동의 경우와는 확연히 다르며 이는 이스라엘에게 있어 야웨와의 매개자의 성결의 엄격성을 보여준다. 또한 생식과 관련한 여성의 출산 및 유출이 부정하다는 사상은 근동에 널리 알려져 있는 사고이나 구약 법전의 출산 정결 의식은 헷 족속의 마술적인 의식과는 구별되며 월경과 하혈하는 여자의 부정함은 근동보다는 덜 제약을 받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을 통해 드러나게 된 것은 구약의 여성 관련 법 규정 역시 이스라엘의 신학적 입장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근동 법전과 비교했을 때 구약 법전에서는 여성이 법적 보호를 받는 측면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구약 법전의 여성 차별적인 법규들은 근동의 법전과 비교했을 때에야 비로소 올바르게 평가될 수 있음을 말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