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현진-
dc.creator임현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4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1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0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129-
dc.description.abstract하이데거의 존재 사유는 서양 세계를 지배해온 형이상학적 사유의 전통에 새로운 방향을 설정하였다. 하이데거는 형이상학적 존재 사유가 실상은 존재자 사유로서 전개됨에 따라 형이상학적 체계화의 시도 이전에 살아있었던 존재 사유가 서양 철학사 안에서 잊혀져 왔음을 지적한다. 그리고 이러한 존재 망각이 오늘날 서양 세계 안에서 나타나고 있는 여러 현상들을 설명해 주고 있다고 본다. 이러한 하이데거의 제안은 오늘날의 세계를 바라보는데 유용한 설명을 제공한다. 특히 기독교 신학의 입장에서 이러한 하이데거의 설명 방식은 많은 통찰을 얻을 수 있다. 그것은 그가 지적하는 존재 망각의 형이상학적 사유가 기독교 신학사에 깊이 개입되어 왔음에 기인한다. 신학은 ‘존재-신-학’으로서의 형이상학을 신학적 사유의 존재론적 기반으로 삼는 형이상학적 신학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 이는 넓은 의미에서 오늘날 철학적 신학이라는 이름 아래 행해지는 작업 안에 포함된다고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기독교 신앙의 내용을 인간학적 존재론적으로 근거 지우기 위해 철학적 개념을 받아들이는 과정으로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하이데거의 형이상학적 비판과 함께 형이상학에 기반하고 있는 신학도 반성의 대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하이데거가 행한 존재 사유는 흔히 전 후기로 나누어 이해되고 있는데 전기의 존재와 시간에서는 존재 물음을 위해 예비적 기초 존재론으로서 현존재의 실존론적 분석이 행해진다. 그리고 후기의 저서 중 하나인 휴머니즘에 관한 편지에서는 존재 물음의 방향을 현존재의 실존으로부터 존재 자체로 전환하고 현존재의 본질은 사유의 본질로서 탈존을 지향하게 된다. 불트만은 전기의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분석을 자신의 비신화화의 해석학을 위해 도입했다. 실존론적 신학은 신약성서에 나타난 신화적 언어를 현대의 정신에 맞게 해석하기 위해 신화적 언어 배후에 드러난 인간 실존에 관한 이해를 하이데거 실존 분석을 기반으로 삼아 신학적 근거를 추구한다. 이러한 선학적 수용은 하이데거의 존재 물음보다는 이를 위해 행한 실존 물음에만 주목하고, 존재 사유를 목표로 하는 철학과 신앙을 바탕으로 하는 신학은 서로 다른 전제에 있는 논임을 전제함으로써 이루어 졌다. 이에 반해 오트는 후기까지 포괄하여 존재 물음 자체에 주목하는데 그는 존재 사유를 통해 형이상학을 극복하면서 더불어 형이상학적 선학도 극복해야 함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그는 형이상학의 극복을 거친다 하더라도 살아 남아 있어야 할 신학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존재 사유의 근원성을 하느님 사유와 단절 없는 연속선상에 두고자 한다. 이러한 수용 방식은 존재 사유를 신앙의 사유로 해석함으로써 하이데거가 목표로 한 존재 물음의 의미를 드러낼 수 없게 한다. 벨테는 이러한 방식이 아닌 존재 사유의 근원성을 그대로 남겨둠으로써 하이데거 존재 사유와 하느님 사유간에 거리를 둔다. 그러나 그는 현상학적 접근이 드러낸 무(無) 체험을 지적하면서 이를 통해 하느님 사유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언급한다. 이에 따라 이 글은 존재 사유의 근원성의 의미가 초기 하이데거가 주목했던 “현사실적 삶의 체험”의 구조를 밝히는 데에 있다고 보고 이는 신학의 전제인 신앙의 기반을 성찰하는데 유용하다고 밝힌다. 삶의 근본 구조가 지니는, 형이상학적 개념이나 인간적 가치 규정 이전의 체험의 세계는 존재 사건을 발견케 하고 신앙의 기반으로서 삶 자체를 돌이켜보게 하는 일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는 형이상학적 신학이 기반 하는 철학적 개념을 해체한 후 이의 참된 기반을 발견케 하는데 도움을 준다. 철학적 신학은 이러한 발견을 통해 형이상학의 극복을 기획하는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를 다시 이론적 기반으로 삼기 이전에 그의 존재 사유 자체에 주목하여 신앙이 뿌리 박고 있는 삶을 반성함으로써 새롭게 열려져야 한다.;The philosophy of Heidegger presents the new direction in the metaphysical tradition dominating western history of thought. Heidegger insists that Being, which had remained alive before the system of metaphysics, has been ignored by metaphysics' misconceiving thinking of Being(das Sein) for thinking of beings(das Seinende) and forget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According to Heidegger, this oblivion can be accounted for the existing condition of the present state of western world. His philosophy provides for the noteworthy explanation for us to look upon the phenomena of the post modern world we live in. Especially Christian theology can have the noticeable insight from his investigation of Being.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Christian theology has been deeply involved in the metaphysical tradition in which he thinks the oblivion of Being has happened. Theology has a branch of tradition which associates theological thinking as its ontological basis with metaphysics as 'onto-then-logy'. In a sense this is included in the philosophical theological work modern theology considers as a theme. The tradition makes theology carry out the work in the course of accepting philosophical concepts for anthropological or ontological ground in order to secure the truth of Christian faith. But with critical meditation on metaphysical and systematical way of thinking, the tradition of theology which has relied on metaphysical foundation comes to emerge as a significant question. Heidegger's thinking of Being is usually understood distinguished from prior and later thought. In 『Being and Time』, his major work in his prior thought period, shows existential analysis of 'Dasein' for preparatory fundamental ontology as entrance the presence of meaning of Being. And in 『Letter on Humanism』, one of his later works, he is converting the point of his question from existential analysis to describing Being itself, so he lays more emphasis on 'ek-sistence' rather than existence. Bultmann accepted the existential analysis of 『Being and Time』 as the ground of his demythological hermeneutics. His existential theology seeks for the general situation of human beings behind the mythological language of New Testament and tries to reveal a existenziell person as a sinner standing before God. In this way Bultmann relies on Heidegger's prior thinking, namely existenti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s his theological foundation for Christian truth. The way Bultmann accepts the ontology of Heidegger, by paying attention only to the existence besides the inquiry into the meaning of Being that was the consistent subject Heidegger tried to deal with is questionable as far as our concern in this thesis is the Being in related to theological thinking. Bultmann's view is based on the abyss he puts between ontology and theology, settling philosophy in an opponent of theology. On the other hand, Ott regards attentively Being itself especially later Heidegger referred to and insists that, with overcoming metaphysics, theology also should overcome the metaphysical theology. For this, Ott tries to make good the position of theology escaping from deconstruction of metaphysics and put the primordial thinking which thinks of Being itself on the same base as Christian faith of God. This way he accepts Heidegger's ontology cannot bring out the unique meaning of Being itself Heidegger made sustained efforts to dwell on. The position of theological thinking Ott proposes is ambiguous and so it rather prevents theology from having a chance to approach Being as such. Welte proposes a profound distinction between thinking of Being and that of God by letting the primordial thinking be on the neutral base of ontology. But with this he refers to the possibility of approaching God through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of Nothingness, which is not a void or vague nothingness and belongs to the same ontological dimension as Being. Accordingly, This thesis insists the primordial thinking illuminate the structure of "faktische Lebenserfahrung" which young Heidegger concentrated on. This structure is useful in meditating on the Christian faith on which theology is based. The area of the experience that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life has and that can be found above the metaphysical concepts and prescription of human reason lets us step into the 'Ereignis' of Being and reflect upon it. Consequently, Heidegger's thinking of Being can makes theology realize the necessity of overcoming of metaphysical theology and discerning the authentic ground of the Christian faith and theology in common. In this sense Philosophical theology should include preparing the starting point by reflecting on the faith through the primordial thinking rooted in the life instead of making it theoretical and scientific foundation of theolog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 국문초록 = iii I.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 1 2. 연구의 방법 및 전개 = 7 II. 본론 = 10 1. 존재 물음 = 10 1) 존재 물음의 의미 = 10 2) 전통 형이상학의 존재 물음 = 13 3) 존재-신-학과 신학 = 16 4) 신학에 대한 하이데거의 입장 = 18 2. 전기 하이데거의 존재 물음 = 23 1) 존재론적 차이 = 23 2) 현존재 = 26 3) 세계-내-존재 = 30 ① 세계 = 30 ② 내-존재 = 34 i) 처해있음 = 34 ii) 이해와 기획투사 = 36 iii) 빠져있음 = 37 iv) 본래성과 비본래성 = 39 ③ 염려 = 42 4) 시간성 = 45 3. 불트만의 전기 하이데거 수용 = 49 1) 비신화화의 문제 = 49 2) 실존론적 신학 = 51 3) 존재론과 신학간의 관계 - 불연속성 = 54 4. 후기 하이데거의 존재 물음 = 57 1) 전기사유의 문제점 - 각자성 = 57 2) 휴머니즘의 의미 = 60 3) 사유와 존재 = 62 ① 사유의 본질 = 62 ② 탈존 = 66 4) 실존과 탈존 = 69 5) 휴머니즘에 대한 반대 = 72 5. 오트의 후기 하이데거 수용 = 75 1) "사유의 사유" = 75 2) 바르트와 불트만 비판 = 78 ① 바르트 비판 = 78 ② 불트만 비판 = 83 3) 존재론과 신학간의 관계 - 연속성 = 85 6. 비판적 물음 = 88 1) 물음의 의미 재고 = 88 2) 모호성의 유래 - 근원성에 대한 가치 부여 = 89 3) 철학적 신학의 가능성 = 92 7. 벨테의 하이데거 해석 = 94 1) 현상학적 접근에 주목 = 96 2) 무(無)와 존재 = 97 3) 존재론과 신학간의 관계 - 거리 유지 = 101 8. 근원적 사유의 신학적 의미 = 103 1) 현사실적 삶의 체험과 존재 사유 = 103 2) 근원적 사유와 존재 사유 = 106 3) 근원적 사유와 신앙 = 108 III. 결론 = 112 참고문헌 = 115 ABSTRACT = 12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328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하이데거 존재사유의 신학적 수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v,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