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6 Download: 0

종교간의 대화를 지향하는 기독교 교육

Title
종교간의 대화를 지향하는 기독교 교육
Authors
조경아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종교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종교 다원화된 한국의 상황 속에서 기독교교육을 함에 있어 요구되는 종교간의 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종교간의 대화를 지향하는 기독교적 종교교육의 모델을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장에서는 기독교인들이 다른 종교에 대해 그동안 배타적인 입장을 취해 왔다는 문제 상황을 설정하고, 종교간의 대화를 지향하는 교육 방법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본 논문의 목적과 의의를 밝혔다. 2장에서는 다종교 상황의 발생배경을 살펴보고 다원화된 한국의 종교상황과 타종교에 대한 기독교의 배타성을 고찰해 보았다. 또한 종교간의 대화에 대한 다양한 입장을 배타주의, 포용주의, 다원주의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먼저 배타주의는 기독교만이 참된 종교이며 구원에 이르는 길을 가르쳐준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본 논문은 이것을 교회 중심적 배타주의와 그리스도 중심적 배타주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둘째로 포용주의는 배타주의적 입장이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을 자각하고, 그 단점을 극복하면서 타종교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포용적 태도를 견지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것을 칼 라너(Karl Rahner)의 입장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셋째로 다원주의는 문화와 역사적 다양성으로 인해 종교적 구원의 길이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서로의 다양성을 인정하면서 창조적 변화의 모험까지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것을 존 힉(John Hic), 폴 니터(Paul Knitter), 레이문도 파니커(Raimundo Pannikker) 등으로 대변되는 신중심적 다원주의와 존 캅(John B. Cobb Jr..)으로 대변되는 그리스도 중심적 다원주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의 종교 상황에 적합한 기독교 교육의 방법을 도출해 내기 위한 전단계로 토마스 그룸의 교육 방법론을 살펴보았다. 그가 제시한 '나눔의 기독교적 프락시스(Shared Praxis)'의 5단계 모형은 교육 참가자가 대화에 참여함으로서 그들 자신의 현재 행동을 기독교 이야기와 비젼에 비추어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실천적 행동에 대해 결단하도록 이끄는 교육 방법이다. 따라서 이러한 그룸의 교육방법은 기존의 주입식 교육에서 탈피하여 대화를 통해 참가자의 경험을 중시하는 교육방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이끈다. 4장에서는 한국 기독교인들이 다른 종교들과 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육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이 교육모델은 한국인의 현재 경험에서 출발하여 현재 한국인의 삶과 과거의 기독교 전통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한국인의 이야기들과 기독교의 이야기, 그리고 한국인의 비젼들과 기독교의 비젼 사이의 변증법적인 해석을 통해 새로운 비젼을 발견하고 실천적인 결단을 하도록 하는 5단계의 해석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교육모델을 구성함에 있어서 특별히 토마스 그룸(Thomas Groome)과 존 캅(John B. Cobb Jr.)의 이론은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해 주었다. 5장에서는 논문 전체의 연구내용을 종합해 보고, 종교간의 대화를 지향하는 기독교교육 모델을 한국 기독교 교육 현장에 적용하는데 있어 보완해야 할 과제들을 언급하면서 결론을 지었다.;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a Christian educational model that seeks inter-religious dialogue as one means to overcome the barrier between the many religions that coexist today in korea. In Chapter 1, the objective and purpose of the this is described by raising the issue of the exclusive attitudes of Christians adopted until now toward other religions and identifying the need thereby for an educational approach that seeks inter-religious dialogue. Chapter 2 reviews the background of plural religions existing in one society and the exclusive attitude of Christianity toward other religions in this context. Moreover, the different attitudes adopted toward inter-religious dialogue are explained by exclusiveness, inclusiveness, and pluralism. First, supporters of exclusiveness adopt the view that Christianity is the only real religion and therefore is the one and only path to salvation. This thesis has attempted to classify this approach into two: church-centered exclusiveness; and Christ-centered exclusiveness. Second, inclusiveness has arisen based on the recognition of problems that can be detected in exclusiveness. It aims to overcome the shortfall of the previous approach and takes the position of inclusively viewing other religions with an open mind. This thesis focuses on the position taken by Karl Rahner. Third, pluralism is the position that the road to salvation can be diverse, as there exists diverse cultures and history in this world. The supporters of this approach recognize the differences of others and say that we should not be afraid of taking an adventure of creative change. This thesis classifies this approach into two, the first being God-centered pluralism represented by John Hic, Paul Knitter, Raimundo Pannikker, etc. and the second, Christ-centered pluralism represented by John B. Cobb Jr.. In Chapter 3 the educational methodology of Thomas Groome is studied as a foundation to produceing a Christian educational method that is in line with the religion status in Korea. The five-step model 'Shared Praxis' presented by Groome takes the approach that those receiving education should participate in dialogue to critically look back on oneself against the Christian stories and vision and then put the learning into action. Chapter 4 seeks to find educational methods for Korean Christians to hold inter-religious dialogue. This educational model starts with the current experience of Koreans and looks back on the current lives of Koreans and previous tradition of Christian with a critical viewpoint to identify a new vision by dialectically interpreting the stories of Koreans and stories of Christians and vision of Koreans and the vision of Christians and then presenting a five-step interpretation process that can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ly found vision. The theories of Thomas Groome and John B. Cobb Jr.. especially provided important insight in producing this model. Concluding in Chapter 5, the overall research of the thesis is comprehensively reviewed again and some area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are presented so that the Christian education model that seek inter-religious dialogue can be applied to the Korean Christian education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종교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