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3 Download: 0

유아의 또래간 실제적 갈등상황에 대한 이야기가 조망수용 및 대인문제해결 사고에 미치는 영향

Title
유아의 또래간 실제적 갈등상황에 대한 이야기가 조망수용 및 대인문제해결 사고에 미치는 영향
Authors
김현정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서 유아가 또래간에 발생하는 실제적 갈등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이야기를 나누는 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첫째,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즉, 유아의 타인의도조망과 타인사고조망과 타인감정조망은 실험집단, 통제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즉, 유아의 대안적 해결사고의 긍정적 해결방안 제시와 부정적 해결방안 제시, 결과예측사고의 관련예측결과반응 제시는 실험집단, 통제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의 하위요인 중 대안적 해결사고 반응범주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는 조망수용능력과 상관이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소재한 P유치원의 만 4세반 두 학급의 유아 52명으로 실험집단 26명과 통제집단 26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실제적 갈등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이야기를 나누는 활동을 하였고 통제집단은 무처치집단으로 주로 성인에 의한 갈등해결이 이루어졌다. 연구는 사전평가, 4주간의 실험, 그리고 사후평가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사전·사후 평가에서 이루어진 각 유아의 조망수용과 대인문제해결사고의 검사는 녹음하여 2명의 채점자가 각각의 점수를 산출하였다. 집단간 평균값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Independent sample t-test와 Paired sample t-test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조망수용능력과 대인문제해결사고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계수(r)로 상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적 갈등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조망수용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실제적 갈등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대인문제해결사고 방안 수가 향상되었다. 셋째, 실제적 갈등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대인문제를 해결하는 긍정적 방안의 범주에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긍정적 해결방안의 경우 3수준이 가장 많은 증가를 보였다. 넷째, 조망수용능력은 대인문제해결사고능력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가 또래간에 발생하는 실제적 갈등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이야기를 나누는 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대인문제해결사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낸다. 대인문제해결사고와 조망수용능력에 있어서 상관관계가 유의미하기 때문에 조망수용능력과 대인문제해결사고와의 상관관계를 밝혀 두 능력이 서로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두 가지 능력간 연관성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는 어린 연령의 유아들에게 친숙하고 흥미롭고 의미 있는 활동을 통해 조망수용능력과 대인문제해결사고가 발달되어짐을 시사해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story telling of natural conflicts between the peer group in the preschool on Children's Perspective-Taking and their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Skill. To meet the above purpose, four specific study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I.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spective-taking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of children? In other words,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ntion perspective-taking, thought perspective-taking and affective perspective-taking between two groups ? II.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skill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of children? In other words,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showing the alternatively positive and negative, and consequential solutions between two groups? III.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lternative problem solving category, which is one of the sub-levels of the responses of interpersonal problems solving,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IV.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the perspective-taking? The subject for this study consisted of 52 four year-old children, the member of two classes who attended a private P kindergarten in Gwangjingu, Seoul. Each class was designed as the experimental group(26 children) and control one(26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was told about the story of natural conflicts and the members of the group shared the story. In the control group, the conflicts were solved by the adults The experimental procedure consisted of the pre-test, the four-week intervention and the post-test in order. Each child was recorded with the cassette recorder i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for examining the perspective taking and the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kills. After re-listening to the children's recording and the writing, the scores and frequency were measured by two raters. The ra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ired sample t-test method for planned compariso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for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spective-taking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II.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skill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III.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e positive response for solving the interpersonal problem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IV.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rspective-taking and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skills.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children who were told about the story of the conflicts and shared the story were significantly affected on their perspective taking and the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kills. Also it shows that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rspective taking and the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kills. Especially this study implies that the perspective taking and the thought for the interpersonal problems c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familiar and the interesting activity among the young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