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성은-
dc.creator조성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2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4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0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499-
dc.description.abstract바이러스 증식의 진행 및 만성 간염의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B형 간염 바이러스 e 항원(HBeAg) 정성 검사와 B형 간염 바이러스 DNA (HBV DNA) 농도 검사가 유용하다. 치료 효과는 HBeAg와 DNA가 소실되고 간염 바이러스 e 항체(Anti-HBe Ab)가 생성됨을 확인함으로써 판정할 수 있다. 그러나 HBV DNA가 HBeAg 혈청 전환 시기보다 일시적으로 먼저 소실되는 경우나, 혈청 전환이 일어나지 않고 HBV DNA만 지속적으로 소실되어 있는 경우, 결과 해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HBV DNA 검사는 시행 방법이 까다롭고, 측정 기기가 추가로 필요하며, 비싼 검사라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HBeAg 정성 검사는 e 항원의 존재 유무만 확인할 수 있는데, 최근에 효소 면역 측정법을 이용하여 e 항원의 양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HBeAg 정량 검사가 개발되었다. 국내에서는 HBeAg 정량 검사와 HBV DNA 검사를 비교한 연구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HBeAg 정량 검사와 HBV DNA 검사의 결과를 비교하여 만성 B형 간염의 추적 관찰시 HBeAg 정량 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2001년 1월부터 6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에 내원하여 HBV DNA와 HBeAg 정성 검사 및 Anti-HBe Ab 검사가 의뢰되었던 만성 B형 간염 환자 34명이었으며, 그 환자들로부터 총 89검체를 연구대상에 포함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HBeAg 정량 검사와 HBV DNA 검사간의 일치율은 78.7% (HBeAg 정량 검사와 HBV DNA가 모두 양성인 경우와 모두 음성인 경우)였으며, HBV DNA 농도와 HBeAg 농도는 유의한 상관성이 관찰되었다(r=0.82). 2) 총 34명 환자들을 추적 관찰한 결과 19명(55.9%)은 HBeAg 양과 HBV DNA 농도 변화 추세가 일치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가 불일치했던 15명(44.1%) 중 6명 환자들은 HBV DNA가 음성이지만 HBeAg이 100 U/mL 미만의 낮은 농도로 양성이었으며, 1-4개월 후 HBeAg이 소실되고, Anti-HBe Ab가 생성되었으며 HBV DNA는 계속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HBeAg이 계속 증가 추세에 있었던 1명은 추적 8개월 동안Anti-HBe Ab이 생성되지 않았다. HBV DNA가 양성이고, HBeAg 정량 검사가 음성이었던 4명 환자들(11.8%)의 HBV DNA 농도는 5-13 pg/mL로 낮았으며, 추적 검사 결과 HBV DNA와 HBeAg이 감소 추세이거나, 2-3개월 후 HBV DNA가 음성으로 전환되었다. 결론적으로 HBV DNA는 음성이지만 HBeAg 정성 검사는 양성으로 두 결과의 차이가 있을 경우 HBeAg 정량 검사를 실시하여 감소 추세인지 또는 낮은 농도로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면 추후 혈청 전환 유무를 예측하고 치료 효과를 판정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HBV DNA농도와 HBeAg 정량 검사는 상관성이 좋으므로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추적 관찰시 HBV DNA 농도 측정을 실시하기 어려운 검사실에서 효소 면역 측정법을 이용한 HBeAg 정량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The goal of the therapy of patient with chronic hepatitis B is the loss of HBV DNA and HBeAg seroconversion.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HBV DNA in serum is useful to follow up the patients. But, the disappearance of HBV DNA which is not always followed by HBeAg seroconversion may not predict the outcome of the treatment. Furthermore, this method is labor-intensive. We evaluated the usefulness of HBeAg quantitation for follow up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in comparison with HBV DNA quantitation. A total number of 89 blood samples from 3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chronic hepatitis B were evaluated for HBeAg quantitation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using Murex HBeAg Standard and Murex HBeAg/anti-HBe (Murex Biotech, Dartford, England). HBeAg quantitation in serum was calculated by means of comparison with a standard curve of absorbance rate and HBeAg concentration. HBV DNA levels were measured by Hybrid Capture System (Digene Corp., Maryland, USA) which principle is RNA-DNA hybrid capture assay. Among the total 34 patients, the changes in HBeAg level of 19 patients were paralleled to those of HBV DNA level in serial monitoring. In 6 patients whose results showed discrepancy between HBeAg and DNA, HBV DNA became undetectable earlier than HBeAg. Although HBeAg remained positive at present, low HBeAg level (less than 100 U/mL) was followed by HBeAg seroconversion after 1-4 months. And in 1 patient, progressive increase of HBeAg quantitation was not followed by HBe Ag seroconversion during 8 months of follow up, even though HBV DNA was persistently undetectable. The concordance rate between quantitative HBeAg and HBV DNA results was 78.7 %. Good correlation between HBeAg levels and HBV DNA concentration was observed (r=0.82).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HBeAg quantitation can be helpful to predict the seroconversion, especially when HBeAg is positive and HBV DNA is negative. And also HBeAg quantitation can be used as a surrogate marker for HBV DNA quantitation in the laboratories where HBV DNA quantitation could not be perform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 1 II. 연구대상 및 방법 A. 연구 대상 = 4 B. 연구 방법 = 5 III. 연구결과 = 8 IV. 고찰 = 13 V. 결론 = 17 참고문헌 = 18 영문초록 = 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74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만성 B형 간염 환자의 추적 관찰시 HBeAg 정량과 HBV DNA 검사의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2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