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지영-
dc.creator황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2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4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0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496-
dc.description.abstract유방초음파 검사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을 구분하여 불필요한 수술을 피하고자 하는 것이다. 초음파 소견 중 종괴의 경계는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을 구분할 수 있는 대표적인 소견으로 양성종양은 주변의 정상 유방조직과의 경계가 뚜렷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부 악성종양은 초음파상 경계가 뚜렷하며, 반대로 경계가 불분명한 양성종양도 있어 진단에 혼선을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방의 양성종양인 섬유선종 중 초음파에서 불명확한 경계를 보인 비전형적 섬유선종의 초음파 소견과 병리조직학적 형태와의 연관성 및 통계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술 후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섬유선종 49예의 초음파 소견과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후향적으로 다음과 같이 비교 분석하였다. 초음파 소견은 1) 종괴와 주변조직과의 경계 ; 명확, 불명확, 분엽형, 2) 종괴의 형태 ; 원형, 타원형, 불규칙형, 3) 크기 ; 0-1cm, 1-2cm, 2-4cm, 4) 에코양상 ; 저에코, 등에코, 고에코, 혼합에코로 구분하였다. 병리조직학적으로는 1) 섬유선종의 도관구조 ; 소내관형, 소관주위형, 혼합형, 2) 섬유선종 기질의 종류 ; 점액형, 경화형, 혼합형, 3) 섬유선종 기질의 세포충실도 ; 저, 중, 고, 4) 주변 유방조직의 종류 ; 지방성, 섬유성, 섬유낭성, 혼합성, 5) 주변 유방조직의 세포충실도 ; 저, 중, 고, 6) 섬유선종과 주변 유방조직과의 경계 ; 명확, 불명확으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방초음파에서 총 49개의 섬유선종 중 28예(57%)는 경계가 명확하였고, 21예(43%)는 경계가 불명확하였다. 모양은 원형이 3예, 난원형이 35예, 분엽형이 10예, 혼합형이 1예였다. 크기는 0-1cm가 14예, 1-2cm가 29예, 2-4cm가 6예였다. 에코양상은 등에코가 19예, 저에코가 26예, 혼합에코가 4예였고 고에코는 없었다. 2. 섬유선종의 도관구조는 소내관형이 21예, 소관주위형이 19예, 혼합형이 9예였다. 섬유선종 기질의 종류는 점액형 14예, 경화형 23예, 혼합형이 12예였고, 주변 유방조직은 지방성 7예, 섬유성 22예, 섬유낭성 4예, 혼합성이 15예였다. 이러한 병리조직 소견들은 초음파에서 경계가 명확한 군과 불명확한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초음파 검사에서 경계가 명확한 섬유선종 28예 중 20예(71%)는 병리조직학적으로 섬유선종과 주변 유방조직과의 경계가 분명하였고, 경계가 불명확한 섬유선종 21예 중 20예(95%)는 섬유선종과 주변 유방조직이 서로 맞물려 있었다. 이 소견은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05). 결론적으로 유방의 섬유선종 중 초음파에서 불명확한 경계를 보이는 경우가 43%였다. 병리조직학적으로 섬유선종의 불명확한 경계는 정상 유방조직과 섬유선종이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초음파 검사에서 유방종괴의 경계는 악성종양과 양성 섬유선종을 감별함에 있어 항상 유용한 것은 아니다.;The important role of the breast ultrasound is to differentiate a benign from a malignant solid breast mass, avoiding unnecessary surgery. Many reports describe sonographic findings of characteristics concerning benign and malignant breast masses. Among these characteristics, margin of the breast mass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erefore benign breast mass such as fibroadenoma has typically well-defined margin. However, some fibroadenomas have shown ‘atypical’ sonographic findings such as ill-defined or irregular margin, which is suspicious of maligna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rrelate the atypical sonographic features of ill-defined fibroadenoma with the pathologic findings. In this study, the sonographic and histopathologic findings of 49 surgically proven fibroadenoma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We evaluated the margin, shape, size and the echotexture of fibroadenoma on sonography. The margin of the mas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well-defined, ill-defined and lobulated. Further the shape of the mass were divided into round, oval and irregular. The size of the mass was measured. The echotexture were devided into 4 categories: isoechoic, hypoechoic, hyperechoic and mixed echo. The histopathologic glandular structure(intracanalicular, pericanalicular or mixed), stromal type of fibroadenoma(myxoid, sclerotic or mixed) and its cellularity, cell type of surrounding breast tissue(fatty, fibrous, fibrocystic or mixed) and its cellularity, margin between fibroadenoma and surrounding breast tissue were pathologically review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Breast sonography of fibroadenoma demonstrated well-defined margin in 28(57%) and ill-defined margin in 21(43%) among 49 lesions. The shapes of them were round in 3, oval in 35 and lobulated in 10. The mass size ranged from 0cm to 4cm. Masses were isoechoic in 19, hypoechoic in 26, but none was hyperechoic. 2. Histopathologically, fibroadenomas were classified into 21 intra- canalicular types, 19 pericanalicular types and 9 mixed types. The stromal type of fibroadenoma were myxoid in 14, sclerotic in 23 and mixed in 12. The surrounding breast tissue were fatty in 7, fibrous in 22 , fibrocystic in 4 and mixed in 15. These finding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3. Twenty(71%) of 28 fibroadenomas with well-defined margin showed well-defined border between mass and surrounding breast tissue. While twenty(95%) of 21 fibroadenomas with ill-defined margin demonstrated interdigitation of surrounding breast tissue and mass,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5). In conclusion, there are some fibroadenomas(43%) with ill-defined margin on sonography, which is related to interdigitation of surrounding breast tissue with mass. Therefore, the margin of the mass does not always differentiate a benign breast tumor from a malignant on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II. 대상 및 방법 = 2 A. 대상 = 2 B. 초음파 검사 및 판독 = 2 C. 병리조직학적 검사 및 판독 = 2 D. 초음파 소견과 병리조직학적 형태의 비교 및 통계학적 분석 = 3 III. 결과 = 4 A. 유방섬유선종의 초음파 소견 = 4 B. 유방섬유선종의 병리조직학적 소견 = 4 C. 초음파 소견과 병리조직학적 소견의 비교. = 5 IV. 고찰 = 6 V. 결론 = 11 참고문헌 = 12 표 = 14 사진부도 및 설명 = 17 영문초록 = 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12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초음파 검사에서 유방섬유선종의 경계와 병리조직 형태의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2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