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현순-
dc.creator박현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9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8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0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89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이 유치원에서 동화를 활용한 동극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있다. 따라서 현대 유치원 만 5세 유아들의 동극 과정과 동극에서의 유아의 역할과 교사의 역할에 대해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5세 무궁화반에서 동화를 활용한 동극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2. 만 5세 무궁화반의 동화를 활용한 동극에서 유아는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3. 만 5세 무궁화반의 동화를 활용한 동극에서 교사는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는 현대 유치원내 만 5세 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이 학급의 유아 35명과 교사 1명이었다. 2001년 4월 13일부터 10월16일까지 총 37회 참여관찰을 하였고 5회 교사와 유아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약 7개월 동안 반복적인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그 외의 여러 가지 문서자료 수집을 병행하였다. 자료수집은 현장약기와 녹음, 비디오 촬영, 문서자료수집, 사진촬영을 통해 이루어졌다. 현장약기와 오디오와 비디오로 촬영한 내용의 전사본을 토대로 현장노트를 만들었으며, 면담자료는 전사본을 만들어 자료화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유형별로 나누어 해석하고, 이것을 기초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의 동화를 활용한 동극은 먼저 각본 만들기, 무대와 소품 준비하기, 배역 정하기, 연기하기, 평가하기, 확장활동하기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동극을 위한 동화의 개작과 창작 과정에서 유아들은 그들의 삶에서 직접, 간접적으로 경험한 것들을 소재로 이야기를 만들었고, 교실의 여러 가지 물건을 이용하여 무대를 꾸미고 소품을 준비하였으며, 자신들이 꾸민 무대에서 더욱 의미 있게 활동하였다. 유아들은 적절한 배역을 선택하고, 양보도 하고, 타인을 배려해 보기도 하는 다양한 체험의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자신들이 완성한 동화를 이용해 연기를 하며 스스로 성취감과 긍정적 자아개념을 가질 수 있었고, 평가와 확장활동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공유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둘째, 함께 동극을 하는 과정에서 유아는 또래교사로서, 극작가로서, 감독으로서, 스텝으로서, 연기자로서, 평가자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유아들은 동극을 통해 서로 도움을 주고받으며 동극이 확장될 수 있는 역할을 끊임없이 하면서 유능한 또래로서의 역할 즉, 비계 설정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들이 작업을 할 때 협력을 통해서 발달을 이룰 수 있다는 여러 연구들과 일치한다. 셋째, 유아들의 동화를 활용한 동극에서 교사는 교사, 공동극작가, 해설자, 감독 등의 역할을 해 나가며 전문가로 성장하였다. 무궁화반 교사는 동극에 많은 관심과 의욕을 가지고 교실에서 열정적인 모습과 순발력을 보여주었으며, 유아들이 놀이에 집중하고 놀이를 풍부하고 정교하게 이끌어갈 수 있게 해주었다.;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children experience playing a drama using fairy tales in kindergarten. Accordingly, this study was to analyze roles of children and teachers in playing a drama and its process for five-year-old children of Hyundai kindergarten with an Ethnographic study. For this purpose, research tasks included as follows. 1. How was the 'Playing a Drama' using fairy tales in the Mugunghwa Class for five-year-old children? 2. What did children play a role in the 'Playing a Drama' using fairy tales at the Mugunghwa Class for five-year-old children? 3. What did a teacher play a role in the 'Playing a Drama' using fairy tales at the Mugunghwa Class for five-year- old children? This study was performed in a class for five-year-old children at the Hyundai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city, an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 children and a teacher of this class. 37 times participating observations and, 5 times in-depth interviews for a teacher and children were carried out from Apr. 13 to Oct. 16, 2001. Data was collected with repeated participating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 for about 7 months, and other kinds of collection of literatures were accompanied. Data was collected by field jotting, audio-tape recording, photographing a video, collecting document data, and taking photographs. And, a field note were made on the basis of copies of contents field jotting, and recorded on audiotapes and videotapes, and interview data were made into copies to utilize data. The collected data was interpreted by types, and symbolized, categoriz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this interpretatio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laying a drama' using fairy tales for children progressed by writing a play, preparing stage and its properties, assigning parts, playing, evaluating, and performing extended activities in order. In dramatizing and writing fairy tales for playing a drama, children wrote a story with their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as materials of the story, displayed stage and prepared properties using various items in the classroom, and performed a drama more meaningfully in the displayed stage by themselves. In these processes, children could have opportunities of various experiences to select suitable casts for them, make mutual concessions, and give consideration to others. And, children could gain achievement and positive ego concept by playing a drama using fairy tales written by themselves, and showed they shared their various experiences in evaluation and extended activities. Second, children played roles of teacher, dramatist, director, staff, performer, and critic in playing a drama together. It was confirmed that they played a role of a competent peer as a scaffolding by exchanging helps mutually in playing a drama and performing a role in extending the 'playing a drama' continuously. These results are identical with other studies that children can develop through cooperation in working. Third, a teacher played a role of teacher, co- dramatist, commentator and director, and developed into a specialist in playing a drama using fairy tales by children. The teacher in the Mugunghwa Class showed enthusiastic features and response in the class with much concerns and desires on playing a drama, and helped them concentrate on the playing and progress favorably and elaborat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연구자의 배경 = 4 II. 이론적 배경 = 7 A. 극놀이의 교육적 가치 = 7 B. 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 11 1. 동화와 극놀이 = 11 2. 이야기 짓기와 극놀이 = 13 C. 극놀이에서의 교사의 역할 = 15 D. 극놀이에서의 유아의 역할 = 19 III. 연구방법 = 22 A. 문화 기술적 (Ethnographic)관점 = 22 B. 연구대상 = 24 1. 현대 유치원 = 24 2. 무궁화반 = 25 C. 연구절차 = 30 1. 연구과정 = 30 2. 자료수집 = 31 3. 자료의 처리 및 분석 = 32 IV. 무궁화반의 하루일과와 동극 활동 = 34 A. 무궁화반의 하루일과 = 34 B. 동극 영역의 모습 = 36 V. 동극의 과정 : 함께 만들어가는 작은 연극 = 42 A. 각본 만들기 = 42 1. 동화듣기 = 42 2. 동화 각색하기 = 44 3. 동화 창작하기 = 46 B. 무대와 소품 준비하기 = 49 C. 배역 정하기 = 53 D. 연기하기 = 56 E. 평가하기 = 58 F. 확장 활동하기 = 59 VI. 동극에서의 유아와 교사의 역할 = 62 A. 유아의 역할 = 62 1. 또래교사 = 62 2. 극작가 = 64 3. 감독 = 66 4. 스텝 = 68 5. 연기자 = 69 6. 평가자 = 71 B. 교사의 역할 = 73 1. 교사 = 74 2. 공동 극작가 = 78 3. 해설자 = 80 4. 감독 = 83 VII. 논의 및 결론 = 87 A. 논의 = 87 B. 결론 및 제언 = 95 참고문헌 = 98 ABSTRACT =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47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동화를 활용한 동극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