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9 Download: 0

A case study of the instructional effect of liaison in the English speech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itle
A case study of the instructional effect of liaison in the English speech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허애린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s English is undisputedly the main vehicle for communication among global citizens, the need to be proficient in speaking is stronger than before. A condition of speech proficiency includes pronunciation. It regained prominence following the recognition that it was considered an indispensable component of teaching for the attainment of intelligible speech. But unlike in the past, pronunciation teaching no longer solely focuses on discrete sounds but pays keen attention to features of supersegmentals. This trend is reflected in English Education research done in Korea and has slowly begun to be incorporated in the classroom. Yet, despite the numerous studies conducted regarding supersegmentals in Korea, few have dealt with the speaking aspect, especially in terms of linkag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nstructional effect of liaison in speech production is examined as well as exploring the individual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 .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case study with five first yea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y were given instruction in the form of an after-school English conversation program for a period of twelve weeks. Liaison was taught in integration with other oral and aural skill enhancing activities. Two types of liaison-gemination, and consonant and vowel linkage-were the main focus of instruction. Evaluation of linkage was implemented by means of controlled Q&A and role-play. The former involved a short controlled dialogue exchange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 while the latter required two students engaging in conversation.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First, the subjects generally displayed a better improvement rate in consonant and vowel linkage than that of gemination through instruction. In particular, students of the lower level proficiency encountered difficulty with retaining instructional effect of gemination. This indicates that discriminate amount of care and different types of activities should be given and implemented when teaching gemination to Korean EFL students depending on their proficiency level.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among the target liaison taught, students manifes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ounds centered in the alveolar area. This implies that there is a certain measure of success when teaching alveolar sounds in connected speech. Third,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discrepancy between the immediate and residual effect of instruction of liaison depending on the place of the articulation of the linkage sound or individual sounds. It was found that instruction had immediate and residual effect on many of the target sounds in the consonant and vowel linkage of the alveolar group, and the gemination linkage of the velar. However, only short-term effect was seen in the gemination linkage of the alveolar. Furthermore, it was shown that treatment was only effective in the short-term for sounds such as /f/ and /z/ in connected speech, which presented difficulty for Korean students in long-term retention. This calls for the need to teach the problematic sounds not only in connected speech but also to integrate segmental and voice quality activities to enhance accurate articula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certain individual sounds such as /r/, which has been known to be difficult to learn by Korean EFL students, was shown to have marked short and long term improvement through treatment. This suggests that there are contexts of /r/ which can be taught with more success via connected speech than in discrete words. Fifth, this study also showed that instructional effect vari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 factors such as the students'proficiency level, amount of exposure during and following instruction, and attitude. It was found that students of a high proficiency level showed greater degree of retention. Continued exposure following instruction was also shown to be crucial in maintaining long term retention. A positive attitude toward learning liaison is also an element difficult to ignore for successful learning. This indicates that various liaison-embedded activities must be devised reflecting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as well as helping students to explore ways to receive continued exposure of liaison. It is also vital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learning liaison before starting instruction. This study probed the instructional effect of linkage in the English speech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s well as considering the individual variables of the subjects. But a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 period of only one semester, thus covering selective liaison sounds, a more comprehensive and extensive research concerning all sounds of English is needed for an accurate view of the instructional effect of linkage. Furthermore, this study dealt only with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leading to the speculation that a different outcome could be yielded when using either elementary school or male students. Therefore, a longitudinal research including both genders, ranging from elementary school to college should also be considered. It would contribute to providing insight as to how gender and the age factor could affect the performance of liaison. In this study, liaison was taught in the controlled, guided, and interactive mode. But results have shown that discrepancy in performance occurs depending on the type of liaison, sounds according to place of articulation, and the type of activities used. This calls for future studies which explore various methods of instruction accommodating the respective differences.;영어 말하기 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지던 발음 지도의 필요성이 다시금 대두되고 있다. 분절음소의 학습만을 강조했던 과거의 발음 지도 경향과는 달리, 최근에는 발화에서의 초분절음소의 역할, 즉 자연스럽고 이해 가능한 발화를 위한 초분절음소의 중요성에 주목하기 시작하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어느 때보다도 활발하게 이루지고 있다. 그러나 초분절음소와 말하기 능력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학습자의 발화에서 나타나는 연음의 지도효과에 대한 연구는 실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우리나라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연음 지도를 실시하여, 연음 지도의 단기 및 장기적 효과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적 요소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소재 중학교 5명의 1학년 학생들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였다. 12주 동안의 연음 지도 활동에는 듣기 및 말하기 능력 함양을 위한 방과후 영어 회화 학습을 비롯한 다양한 연음 연습 활동이 포함되었으며, 연음 지도의 효과 및 그 효과에 영향을 미친 개별적 요소에 대해 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음 현상들 중 자음과 모음이 연결되거나 동일 자음이 연결될 때 일어나는 연음 현상에 대한 집중적인 지도를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의 및 연음지도의 효과에 대한 평가는 교사와 학생간의 통제된 질의 응답 및 학생들의 역할극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음 지도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음과 자음의 연음보다 자음과 모음의 연음 학습에서 더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특히 유창성 수준이 낮은 학생일수록 자음과 자음의 연음 지도효과를 지속시키는 데 어려움을 보였다. 이는 한국 EFL 학생들에게 자음과 자음의 연음을 가르칠 때 유창성 수준을 고려하여 지도 정도 및 그에 맞는 다양한 활동이 고안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연결음 중 치경음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 향상도가 높게 나타남으로써 연음 지도가 여러 연결음 중에서도 치경음 지도에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이는 연속발화를 이용한 치경음 지도가 어느 정도의 성공을 거둘 수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연음 지도 효과의 지속성이 연결음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치경 자음과 모음의 연음 및 연구개 자음끼리의 연음에 대한 지도는 단기적 효과는 물론 장기적으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반면 치경 자음끼리의 연음에 대한 지도는 단기적 효과만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f/ 와 /z/ 등 한국인들이 발음하기 어려운 연결음은 단기적 효과만을 보이는 한계를 드러냈다. 이는 한국인들이 어려워하는 음소의 보다 정확한 발화를 위해서는 연속발화의 문맥에서 뿐만 아니라 분절음을 활용한 다양한 활동도 필요함을 시사한다. 넷째, 한국인이 습득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진 분절음 중 /r/와 같은 연결음은 연음지도가 단기적 및 장기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절음 지도보다 연속발화를 통한 지도가 어려운 분절음 학습에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섯째, 연음 지도 효과의 지속성이 학생들의 발화 유창성, 연음지도 기간 중 및 사후에 받은 학습노출, 태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유창성이 보다 낮은 학생들은 유창성이 보다 높은 학생들에 비해 장기적인 효과의 지속성이 떨어지고 학습효과의 지속성은 지도 사후에 받은 학습노출 정도에 따라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적 태도도 성공적인 연음학습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의 유창성 수준에 따라 연음이 포함된 다양한 활동의 개발과 함께 학생들에게 연음지도를 실시하기 사전에 그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한 학기동안 영어의 모든 음이 대상이 아닌 선별한 다수의 음에 대한 연음 지도효과를 살펴보았기에 앞으로 보다 정확하고 광범위한 연음 지도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영어의 모든 음과 연음을 대상으로 한 장기적인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1학기 동안 중학교 여학생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연령이 다른 초등학생이나 고등학생 그리고 남학생을 대상으로 실행되었을 때 다른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고 본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대학교의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장기적인 연구를 통해 성별과 나이가 연음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통제된 활동, 부분적 통제된 활동, 또한 교사와 학생 및 학생과 학생이 참여하는 상호작용 활동 등의 방법으로 자음과 자음, 자음과 모음의 연결을 지도하였다. 그러나 조음위치에 따라, 어떤 연결이냐에 따라 그 결과의 차이가 나므로 더 다양한 지도 방법의 개발 및 조음 위치나 자음과 자음, 자음과 모음의 연결 차이에 따른 지도 방법의 차별화 연구의 필요성도 있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