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소연-
dc.creator김소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8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8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0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885-
dc.description.abstractIn modern society, reading is an ability which one can use most extensively in EFL situ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he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y is as much important as that of any other language abilities. This study examine Task-based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as the method of effectively improving this reading ability. Tasks are activities where the target language is used by the learner for a communicative goal in order to achieve an outc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wo different types of tasks of Task-based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on the improvement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the task type which they performed. One group was assigned to comparing tasks, and the other problem-solving tasks. The comparing tasks involve comparing information of a similar nature but from different sources or versions in order to identify common points or differences. Problem-solving tasks involve from short puzzles to real-life problems. The period of the experiment was 10 week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two experimental groups showed improvement in reading abili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ask types. Second, in the low reading proficiency group, the comparing tasks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ading ability than the problem-solving tasks group. But in the high reading proficiency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rd, the comparing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t in the area of syntactic knowledge, vocabulary knowledge and evaluation skills in text information, but the problem-solving group in vocabulary knowledge, discourse structure knowledge, predicting content and evaluation skills in text information. Fourth, in the high and low reading proficiency group, the comparing group showed more siginificant improvement in syntactic knowledge and vocabulary knowledge than the problem-solving group. And only in the high proficiency group, the problem-solving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predicting content and evaluation skills in text information than the comparing group. In conclusion, the both task type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udents' reading ability even if the difference of the task types didn't show a significant effect on reading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the comparing tasks was more effective to the low proficiency group and in the low-level reading abilities such as syntactic and vocabulary knowledge, and the problem-solving tasks in the high-level reading abilities such as predicting content and evaluation skills in text information especially in the high proficiency group. Therefore the two tasks are recommended as a desirable and effective method for teaching students. And it is important that teachers should select a mix of tasks to reflect the pedagogic goals of the curriculum.;세계화·정보화 시대에 읽기 능력은 우리나라와 같이 외국어로서 영어를 사용하는 EFL상황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언어능력 중 하나일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일상생활이나 학문적 요구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영어 읽기 능력의 배양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읽기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과업중심 교수법을 택하여 이를 통한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의 향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과업이란 의사소통 목적을 갖고 결과물을 이루기 위해서 학습자가 목표어를 사용하는 활동을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과업중심 교수법의 두 과업 유형이 우리나라의 중학생의 영어 읽기 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실험연구는 통제집단 없이 수행하는 과업 유형에 따라서 두개의 실험집단으로 나누어진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10주간 실시되었다. 실험 기간동안 한 집단은 비교 과업을 수행하고 다른 집단은 문제해결 과업을 수행하였다. 비교 과업집단에서는 두 가지 읽기 자료를 제시하고 학습자에게 차이점과 유사점을 비교하여 찾는 과업을 주로 하는 닫힌 과업을 수행하도록 하였고 문제해결 과업은 간단한 퍼즐부터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과업을 주로 하는 좀 더 열린 과업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본 실험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 과업집단과 문제해결 과업집단 모두 영어 읽기 능력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 두 집단간의 읽기 능력 향상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상위집단에서는 과업간 향상도에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하위집단에서는 비교 과업집단이 문제해결 과업집단보다 읽기 능력이 더 향상되었다. 셋째, 비교 과업집단은 문형지식, 단어지식, 글의 정보평가 영역에서, 문제해결 과업집단은 단어지식, 담화구조 파악, 내용예측, 글의 정보 평가 영역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넷째, 상·하위 집단 모두 문형지식, 단어지식 영역에서는 비교과업이 더 큰 향상효과가 있었다. 반면 상위집단에서만 내용예측, 글의 정보 평가 영역에서 문제해결 과업집단이 더 큰 향상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과업 유형의 차이가 읽기 능력의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두 가지 과업 유형 모두 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과업은 문형지식, 단어지식의 읽기 영역과 하위 능력 집단에 더 효과적이고 문제해결 과업은 특히 상위집단의 내용예측, 글의 정보 평가의 읽기 영역에 더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과업 모두 읽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므로 이 두 과업을 학습자 능력 수준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하고 배열하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3 1. 읽기 능력 = 3 1) 읽기의 정의 = 3 2) 읽기 과정 = 6 3) 읽기 능력의 하위 영역 = 8 2. 과업중심 접근법 = 11 1) 과업의 정의 = 11 2) 과업중심 학습 = 13 3) 과업의 유형 = 19 3. 선행 연구 = 21 III. 연구방법 = 26 1. 연구 가설 = 26 2. 실험 대상 = 26 3. 실험 자료 = 27 1) 읽기 수업 자료 = 27 2) 실험 이전·이후 읽기 능력 평가 자료 = 28 4. 실험 절차 = 31 1) 실험 이전 절차 = 31 2) 실험 수업의 절차 및 주요 활동 = 33 3) 자료 분석 및 처리 = 39 5. 연구의 제한점 = 40 IV. 연구결과 및 논의 = 41 1. 과업집단별 읽기 능력 향상에 대한 유의도 검증 = 41 2. 상·하위 집단의 과업집단별 읽기 능력 향상에 대한 유의도 검증 = 42 3. 과업 유형에 대한 평가 영역별 읽기 능력 비교 = 43 4. 상·하위 집단의 과업 유형에 대한 평가 영역별 읽기 능력 비교 = 46 V. 결론 및 제언 = 52 참고문헌 = 55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77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과업 유형에 따른 영어 읽기 능력 향상 효과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