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옥-
dc.contributor.author심지영-
dc.creator심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1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9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114-
dc.description.abstractComposer Ahn’s geomungo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 solo, “Seokyangsogyeong” (a pretty scene at sunset) is a work composed in 2010, entrusted by Kim Seon-Ok to Ahn Hyeon-Jeong. It was composed of total 3 chapters and each chapter is distinguished into segmented structure according to rhythm, tempo, musical atmosphere of expression mark. The first chapter is composed of 4 movement that is prelude - Ⓐ(ⓐ + ⓐ') - Ⓑ(ⓑ + ⓒ) - cadence, second chapter is composed of 5 movement that is Ⓐ(ⓐ + ⓑ) - Ⓐ'(ⓐ + ⓑ + ⓒ + ⓓ) - Ⓑ - Ⓑ' - Ⓐ'', 3rd Chapter is composed of 6 movement that is prelude - Ⓐ(ⓐ + ⓑ + ⓐ' + ⓑ') - Ⓑ(ⓒ + ⓓ + ⓔ + ⓕ + ⓒ') - Ⓐ' - bridge – postlude. If we look into segmented structure by phrase, it is noticeable that each chapter is composed of the gradual change and repetition of the melody where the motive is presented, and segmented phrases’variation form. Looking into the whole musical piece centered on the motives by chapter together with distinguishing melodies and rhythms in detail, this can be generalized as follows. The composition of first chapter is total 23 measures including the first measure – the 23rd measure in the pattern to repeat the motive Ⓐ’s fifth measure – sixth measure and motive Ⓑ’s 12th measure – 13th measure with development of variation. The sudden change of rhythm in Ⓐ’s latter part can be considered as the illustration of dissonance to appear in Ⓑ and the melody and rhythm in chapter 2 and 3 play a predicting role in musical expression potentially. The speedy ascending melody and descending melody using Ⓑ’s sixteenth notes(󰁔) increase the strain, however the use of long note values of eighth notes (♪), fourth notes (♩)coming soon after it reminds us of the previous melody to relax the strain. Then reproducing Ⓐ’s melody again in postlude, the pattern to be finished slowly comes out together with the sense of aftertaste. The composition of second chapter is total 34 measures including the 24th measure – the 55th measure in the pattern to repeat the motive Ⓐ’s 24th measure – 25th measure and motive Ⓑ’s 42nd measure with development of variation. The use of short note value of sixteenth notes(󰁔) appears more frequently than in the first chapter, showing to play in the sense without hesitation as proposed vividly in expression mark. The second chapter where “the reproduction of the same melody” comes continuously was made with musical differentiation expressing the diversity in playing method of the melody and rhythm which could be monotonous. The speedy ascending melody and descending melody in short expression play a continuous role for the strain and relaxation to be repeated. “Seokyangsogyeong” the geomungo solo shows the feature of “La(F) mode” best especially in this chapter among the three chapter with the appearance of the feature for the segmented 9 movements among ten to be finished with F note. The composition of third chapter is total 69 measures including the 56th measure – the 124th measure and is the pattern that the motive Ⓐ’s 60th measure – 61th measure and motive Ⓑ’s 74th measure are repeated continuously crossing octaves in the same progressing pattern of presented motives. sixteenth notes(󰁔) composed with short note value appear in the numerous pattern of transformation through various variation to increase musical strain with the differentiation in putting keynote in each measure. What makes the third chapter different from other chapters is the appearance of various playing methods that are “fingering” execution to touch Mun string and Mu string at the same time with mother thumb and middle finger of right hand and another “fingering” execution to touch the fourth string with the forefinger of left hand and the execution to touch the Mu string, Mun string and Yu string in series to the arrow direction to make triple dissonance etc. “Seokyangsogyeong” the geomungo solo enabled us to seek the unlimited possibilities in developing the playing methods of geomungo by utilizing not only the playing method used in traditional string touch method but also the new playing methods which have never been tried in traditional music. Hoping that the arrangement of musical feature, element inherent in the work through the analytic study on “Seokyangsogyeong” the geomungo solo could help those who want to play this music, understand the work, and looking forward to the appearance of musical piece like“Seokyangsogyeong”valuable enough to be placed in composition history for a long time to raise the value of geomungo, I remain.;작곡가 안현정의 거문고 독주곡 “석양소경”은 김선옥의 위촉으로 2010년 작곡된 작품이다. 총 3악장으로 작곡되어졌고 각 악장별로 박자․ 빠르기․ 나타냄 말의 음악적 분위기에 따라 세부구조로 구분된다. 1악장은 서주부 - Ⓐ(ⓐ + ⓐ') - Ⓑ(ⓑ + ⓒ) - 종지구의 4개의 단락으로 구분되며, 2악장은 Ⓐ(ⓐ + ⓑ) - Ⓐ'(ⓐ + ⓑ + ⓒ + ⓓ) - Ⓑ - Ⓑ' - Ⓐ''의 5개의 단락으로, 3악장은 서주부 - Ⓐ(ⓐ + ⓑ + ⓐ' + ⓑ') - Ⓑ(ⓒ + ⓓ + ⓔ + ⓕ + ⓒ') - Ⓐ' - 연결부 - 후주부의 6개의 단락으로 구분된다. 악구별 세부구조를 살펴보면 각 악장은 Motive가 제시된 선율의 점차적인 변화와 반복, 세부 악구들의 변주 형태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 악곡의 구조는 악장별 Motive를 중심으로 선율 및 리듬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는데, 이를 종합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악장의 구성은 제1마디 - 제23마디로 총 23마디이며, Motive인 Ⓐ의 제5마디 - 제6마디와 Ⓑ의 제12마디 - 제13마디의 동기가 발전 또는 변주되어 반복하는 형태였다. Ⓐ의 후반부 돌발적 리듬변화는 Ⓑ에서 등장하게 될 불협화음의 예시로 볼 수 있었으며 2악장, 3악장의 선율과 리듬은 잠재적으로 음악적 표현을 예고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의 16분음표(󰁔)를 사용한 빠른 상행진행과 하행진행 선율은 긴장감을 고조시키지만 곧 이어 8분음표(♪)와 4분음표(♩)의 긴 음가 사용으로 이전의 선율을 상기시키며 긴장감을 이완시킨다. 후주부에서 Ⓐ의 선율이 다시금 재현되며 여운의 느낌으로 서서히 종지하는 형태가 나타났다. 2악장의 구성은 제24마디 - 제55마디로 총 34마디이며, Motive인 Ⓐ의 제24마디 - 제25마디와 Ⓑ의 제42마디가 제시된 동기를 반복하고 발전시키는 형태였다. 1악장보다 16분음표(󰁔)의 짧은 음가 사용이 빈번하게 등장하며 나타냄 말의 “활기차게”와 같이 거뜬거뜬한 느낌으로 연주할 것을 제시하고 있었다. 다른 악장에 비해 “동일선율 재현”이 지속적으로 출현하는 2악장은 단조로울 수 있는 선율과 리듬에 연주법의 다양성을 표현하여 음악적 차이를 두었다. 짧게 나타내는 빠른 상행진행과 하행진행 선율은 긴장과 이완을 거듭 반복해주는 역할을 하였다. 특히 2악장은 거문고 독주곡 “석양소경”의 3개 악장 중 “라(F) 선법”의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나 있었는데, 세분화한 10개 단락 중 9개 모두 시작음과 동일한 F음으로 종지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3악장은 구성은 제56마디 - 제124마디로 총 69마디이며, Motive인 Ⓐ의 제60마디 - 제61마디, Ⓑ의 제74마디가 제시된 동기를 동일한 선율형태로 옥타브를 넘나들며 거듭 반복하는 형태였다. 16분음표(󰁔)의 짧은 음가로 구성된 다양한 선율은 여러 가지 변형 형태로 출현하는데, 마디마다 동일한 주요음의 배치에 차이를 두어 음악적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었다. 3악장은 다른 악장과 달리 다양한 연주법이 등장하는데 오른손 엄지와 중지로 문현(文)과 무현(下)을 동시에 뜯어 발현하는 “fingering”주법과 왼손 검지로 괘상청(上)을 자출하여 발현하는 “fingering”주법, 술대로 무현(下), 문현(文), 유현(子)을 화살표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뜯어 3중음의 불협화음을 발현하는 기법 등이 있었다. 거문고 독주곡 “석양소경”에서는 전통적인 현법에(絃法)의한 연주기법뿐만 아니라 전통음악에서 사용되지 않는 새로운 연주기법을 활용함으로써 거문고 연주기법 개발의 무한한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거문고 독주곡 “석양소경”의 분석 연구를 통한 작품안에 내제되어 있는 음악적 특징, 요소들의 정리가 이 곡을 연주 하고 싶은 이들에게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보탬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 “석양소경”과 같은 창작사에 길이 남을만한 곡들이 등장하여 거문고의 가치를 드높이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5 II.본론 6 A.안현정의 음악적 배경 및 작품경향 6 B.작품 개요 9 1."석양소경"의 작품 개요 9 2."석양소경"의 구성 10 3."석양소경"의 세부 구조 12 4."석양소경"의 조현법 및 부호설명 14 C.작품 분석 18 1.1악장 18 2.2악장 27 3.3악장 39 III.결론 56 참고문헌 58 부록악보 60 Abstract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095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거문고 독주곡 『석양소경(夕陽小景)』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tical study of『Seokyangsogyeong』-
dc.creator.othernameSim, Ji Young-
dc.format.pageix,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