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1 Download: 0

가곡의 노래 선율과 가야금 선율 비교 연구

Title
가곡의 노래 선율과 가야금 선율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the Song Melody and Gayageum Melody of Gagok : Focused on Gagok Pyeongjo ‘Unrak’ Sung in Male Voice
Authors
홍미나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판소리, 범패와 함께 한국의 3대 성악곡에 속하는 가곡(歌曲)은 5장 형식의 시조시(時調詩)를 관현악 반주에 얹어서 남, 여창으로 노래하는 한국의 전통 성악곡 중 하나이다. 반주악기로는 가야금, 거문고, 세피리, 대금, 해금, 장구 등이 있으며 때에 따라 단소와 양금이 포함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가곡은 노래를 부르는 창자와 악기를 연주하는 반주자의 기량과 더불어 그들 간의 조화가 곡의 완성도를 높여준다 할 수 있다. 우리음악의 선율 진행상 특징을 보면, 골격을 이루는 주선율은 같더라도 각 악기마다 독자적인 방법으로 표현함으로써 다양한 선율진행을 보이고 있다는 점인데, 이것은 우리음악의 중요한 특징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주선율인 노래 선율과 그를 뒷받침 해주는 반주악기 선율에 대한 비교는 중요한 연구라 생각된다. 그동안 가곡은 주로 고악보 해독과 노래 선율 부분에서 상당한 연구가 이루어져왔고, 최근에는 유일하게 관현악 반주가 따르는 성악곡인 가곡의 반주 악기 선율과 노래 선율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남창 가곡 평조 ‘언락’의 노래 선율과 가야금 선율 비교 연구이다. 남창 가곡 평조 ‘언락’에 관한 선행 논문은 곡의 전반적인 연구, 대금 반주 선율의 연구, 또는 노래선율과 대금 선율의 비교에 관한 연구이다. 필자는 남창 가곡 평조 ‘언락’의 노래 선율과 가야금 선율을 비교해보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가야금은 남창 가곡 평조 ‘언락’의 대여음과 중여음을 제외한 총 227박 중 148박(약65%)을 노래와 동일 음을 연주하고 나머지 79박(약35%)은 상이한 음을 연주하며, 곡의 약 ⅔를 노래 선율과 유사 선율 관계로 진행한다. 둘째, 가야금은 장구 장단이 강박일 때 싸랭주법으로 연주하여 강박의 음을 강조하고, 한 박안에서도 리듬적인 효과를 주며 노래 선율을 뒷받침한다. 셋째, 가야금이 노래 선율보다 주요 음을 먼저 연주해 노래 선율을 예시 하는데, 이는 가야금이 노래가 안정된 음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가야금은 때로 노래 선율과 불협화음으로 연주하여 반주에 긴장감을 주고, 유사 선율진행이 주를 이루는 반주에 단조로움을 피하여 생기를 주며, 이때 곧 협화음으로 연주해 곡의 긴장과 이완을 이루게 한다. 다섯째, 노래가 주요 음에 꾸밈 음을 넣어 노래할 때, 가야금은 주요 음 만 연주 하거나 완전 화음으로 반주하여 노래 선율을 돋보이게 하고, 주요 음에 옥타브 변화를 주어 연주해 노래 선율과 반주 선율 진행에 풍성함을 더 한다. 여섯째, 노래가 각 장의 마지막에서 휴지(休止)박을 구성할 때 그 이 후 를 반주 선율로 맺어 각 장의 종지를 완성하고, 노래가 다음 장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다. 남창 가곡 평조 ‘언락’의 노래 선율과 가야금 선율을 비교한 연구결과를 종합으로 살펴보면, 현악기인 가야금은 악기의 특성상 많은 꾸밈음으로 반주하지 않지만, 노래 선율의 주요 음을 중심으로 옥타브 변화를 주어 곡의 진행에 풍성함을 더하고, 강박에 싸랭 주법을 연주해 리듬감을 살리며, 노래 선율과 협화음을 이루어 연주해 노래 선율을 돋보이게 하고, 때로는 불협화음을 이루어 연주해 유사 선율이 주를 이루는 반주에 긴장감을 형성하며 연주한다.;One of the three vocal musics of Korea, along with Pansori and Beompae, Gagok is a traditional vocal music in which a five-chapter Sijosi is sung in male and female voices and accompanied by an orchestra. The accompanying instruments of Gagok include Gayageum, Geomungo, Sepiri, Daegeum, Haegeum, Janggu, etc., and sometimes Danso and Yanggeum are accompanied as well. Therefore, the completeness of Gagok is achieved not only by the technique of singers and accompanists, but also by the harmony of the instruments. The characteristic of the melody flow in Korean music is that, even though the main melody is the same, each instrument expresses its own melody independently, showing various melody flows. Since this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Korean music, it is believed that a study comparing the song melody, which is a main melody, and the accompanying instruments' melody is important. The studies on Gagok so far have mostly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of old scores and the melody of songs. Recently, however,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lodies of accompanying instruments and songs of Gagok, which is a vocal music and is uniquely accompanied by an orchest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ong melody and Gayageum melody of Gagok Pyeongjo‘Unrak’sung in male voice. Previous studies on the Gagok Pyeongjo‘Unrak’sung by male were about the general aspects of songs, the melody of Daegeum accompaniment, or the comparison of song melody and Daegeum melody. In this study, the author compared the song melody and Gayageum melody of Gagok Pyeongjo‘Unrak’and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Gayageum plays the same note with the song in 148 beats (approximately 65%) from a total of 227 beats, excluding Daeyeoeum and Jungyeoeum of Gagok Pyeongjo‘Unrak’sung in male voice, and plays different note in the remaining 79 beats (approximately 35%), and proceeds in similar melody with the song melody in about 2/3 of the music. Second, when Janggu Jangdan is a strong beat, Gayageum emphasizes the note by playing it with Ssaraeng technique, and even in one beat, it accompanies the song melody by creating a rhythmic effect. Third, Gayageum signals a song melody by playing the major notes in advance, which indicates that Gayageum leads the song so that it can maintain stable intervals. Fourth, Gayageum sometimes provides tension for the accompaniment by playing in a cacophony with the song melody; provides liveliness by avoiding monotony in the accompaniment, which consists mostly of similar melody flows; and then relieves the tension of the music by plying in a consonant interval. Fifth, when a song is sung with ornamental notes in main notes, Gayageum makes the song melody prominent by playing only the main sounds or accompanying it with perfect harmony, and provides richness in the melodies of song and accompaniment by providing changes in the octaves of the main notes. Sixth, if a song includes a pause beat at the end of the chapter, it completes the cadence of each chapter by ending it with the accompanying melody and helps the song prepare for the subsequent chapter. This study compared the song melody and Gayageum melody of Gagok Pyeongjo‘Unrak’sung in male voice.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Gayageum, a string instrument, is not accompanied with many ornamental notes due to its instrumental characteristics. However, it adds richness to the music flow by providing changes in octave to the main notes of song melodies. It also increases a sense of rhythm by playing Ssaraeng technique in strong beats, and accentuates a song melody by playing it in harmony with the song melody. In addition, Gayageum sometimes provides tension in the accompaniment, which consists mainly of the similar melody, by plying in a cacophon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