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배영-
dc.creator이배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6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3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9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321-
dc.description.abstractHuman life can't free itself from the Nature, whether we perceive it or not, so from the time immemorial we have been concerned about her. Especially the artists who take active parts in expressing the creativity have much more interest toward the Nature. Thus the beauty of the Great Nature has often been the mother's uterus of the beauty of the art. Our lives are originally based on the Nature, consequently they must be influenced by her, that is human aesthetic consciousness is continued to the artistic activities and affected by the given nature environments. In this study, I took the topography as a motif and intended to express the image of the topography by modelling it through making fiber art work with the organic flows of the plaits. As the theoretical methodologies, at first I referred to the definition and the types of the topography and classified it by the analogous shapes. Secondly, I analyzed the works of art containing the topographical images into the visual expression works parts and the conceptual expression parts. As the materials, I used linen, acrylic thread, tape thread and bronze strings. And as to the brown for the latter is the basic color of the topography and the former appears at the peculiar ones. As the techniques, I mainly used the applied plain weaving by 8-shaft and made the relief expression to emphasize the model features of the peculiar topographies by wrinkling naturally after making of fiber art. I expressed the low windings by using the drape with a little stiff linen and the high windings by the bronze strings. And the partial use of the brown tones spray-dye aggravated the cubic effect as the gradation of the light and shade. I intended to visualize the curve flow topography as the joy and anger together with sorrow and pleasure of the life not only by the visualized shapes of the image but also by my subjective interpretation, thus to deliver the positive message of our lives as well as the simple aesthetic appreciation of the work to the appreciators. In conclusion, at first plaiting the fiber art work was much more effective for the cubic effect as for the relief expression of the fiber art work with natural and organic flows. Secondly setting the work on the floor gave us much more freedom of expressing the natural windings than on the walls in order to deliver the organics flows of the topography. Thirdly Artist's works deliver his view point of the values through not only the visual model expression but also his subjective interpretation. And I intended to propose the ways of working to express the essential meanings existing inside the artists as well as to visualize the configuration with diverse materials.;인간의 생활이란 각 개인이 인식하든 인식하지 못하든 자연을 벗어나서는 결코 있을 수 없기에 자연은 예로부터 각 분야에서 관심의 대상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창조적인 표현활동을 하는 작가들에게는 자연을 대하는 관심이 더욱 크다. 그리하여, 대자연의 미는 예술의 미를 낳게 하는 모태가 되며 인간 생의 본래의 터전이 곧 자연이기에 인간의 생은 이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즉, 인간의 미의식이 곧 예술 활동으로 이어지고 주어진 자연환경 속에서 그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자연환경 중에서도 지형을 모티브(Motif)로 하여 지형의 가시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주름의 유기적 흐름으로써 지형의 이미지를 조형화하고 이를 직물제작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연구방법으로는 첫째로 지형의 일반적 개념과 종류, 그리고 이러한 여러 가지 지형들 중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지형들을 형태별로 분류하였다. 둘째로 이러한 지형 이미지의 표현에 있어서 시각적 표현과 개념적 표현으로 나누어 작품을 분석하였다. 작품제작의 재료에 있어서는 마사, 아크릴사, 테이프사, 동선등을 이용하였 고 색상은 지형의 가장 자연스러운 색인 갈색을 주로 사용하면서 특이한 지형에서 보여지는 색상인 회색과 흰색을 첨가하였다. 기법에 있어서는 8종광에 의한 응용된 평직을 주로 사용하였고 유기적 흐름을 보이는 특이한 지형의 조형적인 특성을 살리기 위해 제직 후 직물에 자연스러운 주름을 주어 부조적인 표현을 하였다. 약한 굴곡은 약간의 빳빳함을 가진 마사를 사용하여 섬유의 드래이프(drape)를 이용하였고 강한 굴곡은 동선을 사용하여 유기적 흐름을 보이는 지형을 표현하였다. 또한 부분적으로 분무염을 사용하여 갈색 계열의 명암으로 Gradation을 줌으로써 입체감을 더 하였다. 본 연구자는 지형의 이미지를 가시화된 형태 뿐 아니라 나아가 연구자의 주관적인 해석으로 희로애락을 가지는 인생의 굴곡을 지형에서의 곡선 흐름에 투영시켜 이를 조형적으로 시각화하고 그리하여 감상자로 하여금 단순히 형태에서 오는 미적 감상뿐만 아니라 인간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첫째로 섬유의 입체감을 위해서 직물에 주름을 줌으로써 자유로운 유기적 흐름을 주는 섬유의 부조적 표현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이었다. 둘째로 지형에서 느껴지는 유기적인 흐름을 전달하는데 있어서 벽에서의 설치 뿐 아니라 바닥에서의 설치는 벽 보다 직물의 자연스러운 굴곡 표현에 있어서 자유로울 수 있었다. 셋째로 예술가의 작품은 가시적인 조형표현 뿐 아니라 작가의 내면에 있는 가치관에서 나오는 주관적인 해석으로 작가의 가치관을 전달하게 된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그리고 이것을 토대로 하여 많은 소재를 표면에 드러난 가시적인 형태의 표현 뿐 아니라 나아가 작가의 내면에 내재되어 있으며 본질적인 의미를 부여하여 표현할 수 있는 작업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내용 = 1 C. 연구 방법 = 1 II. 이론적 배경 = 3 A. 지형 이미지 고찰 = 3 1. 지형의 일반적 개념 및 종류 = 3 2. 지형의 형태 = 15 B. 지형 이미지 표현 = 25 1. 시각적 표현 = 25 2. 개념적 표현 = 27 III. 작품 제작 및 분석 = 29 A. 작품제작 = 29 B. 작품분석 = 30 IV. 결론 = 45 참고문헌 = 47 Abstract = 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583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직물에 의한 지형 이미지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5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섬유예술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