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정은-
dc.creator이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4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0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9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094-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창의성의 개념을 온전히 이해하고 측정하기 위해서는 창의성의 정의적 특성들에 대한 측정과 평가가 필요하다는 것을 바탕으로 하여, 그 정의적 특성들을 구성하는 심리적 구인에 대해 살펴보고 측정 가능한 형태로 척도화한 뒤, 이에 대한 검사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일련의 통계적 과정을 거쳐 30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창의성의 정의적 검사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1, 2, 3학년 총 50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척도개발을 위한 예비시행에서는 135명, 교차타당화를 위한 본시행에서는 3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창의성의 정의적 특성은 문헌연구 결과 개방성, 독립성, 모험심, 자신감, 성취 의식, 인내심, 비동조성, 호기심, 내적동기화의 아홉 가지 구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구인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변수로서 총 78문항 문항이 수집 되거나 제작되었다. 이 척도를 사용하여 실시된 예비시행 결과 요인분석을 통해 자신감과 성취의식, 인내심 구인은 내적동기화 구인에 의해 간접적으로 측정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독립성과 비동조성 역시 따로 분리하기보다는 하나의 구인으로 묶는 것이 더욱 측정하기에 명료한 요인으로 파악될 수 있었다. 따라서 예비시행을 거친 후 창의성의 정의적 특성 검사는 개방성, 내적동기화, 독립성, 모험심, 호기심의 다섯 개 구인으로 압축되었다. 그리고 각 구인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은 문항 내적 일치도 계수와 요인부하량을 기준으로 하여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문항만을 선별하였다. 또한 검사의 타당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등급반응모형에 의한 Multilog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문항변별도와 경계특성곡선의 위치모수, 그리고 각 하부구인별 검사정보함수를 구하였다. 그 결과 .3미만의 낮은 문항변별도를 보이는 문항은 없었으며, 경계특성곡선의 위치모수 역시 일반적으로 -3에서 3에 분포하는 능력범주를 크게 벗어나는 문항은 없었다. 그리고 각 하부구인별 검사정보함수 역시 최소값 .55에서 최대값 6.7까지의 값으로 비교적 높게 추정되어 측정의 오차 없이 신뢰롭게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측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개방성 4개, 내적동기화 8개, 독립성 7개, 모험심 5개, 호 기심 6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를 완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작된 창의성의 정의적 특성 검사는 주로 인지적 측면에서 측정 되고 평가되어지고 있는 창의성 검사의 한계를 극복하고, 창의성 측정과 평가에 대한 종합적인 시도를 위한 토대를 만든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창의성 검사를 실시할 때, 정의적 측면이 함께 고려된다면, 검사대상에 대한 설명과 해석이 더욱 풍부해 질 것이다. 뿐만 아니라 검사결과를 통해 창의성을 조장하기 위한 교육환경은 어떠해야 하는지, 부모 혹은 교사의 역할은 어떠해야 하는지, 혹은 교수-학습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등과 관련한 귀중한 정보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창의성 증진을 위한 실제 교육상황이나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위하여 그리고 검사개발을 위한 관련연구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reativity will function as a stepping stone for, first, providing tangible and intangible benefits to our society and second, enhancing our quality of life for every individual. To clarify the concept of creativity, there is a need to measure and evaluate creativity. Generally, creativity is measured in two points of view ; cognitive ability or individual traits. This study examined the necessity of measuring creativity and developed a test for measurement of creativity in the aspect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test which is consists of 5 constructs and 30 items is developed.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the 501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s well as Gyoenggi province area. Firstly, through the reference to literature we found that there were nine components of creative personality ; openness, independence, risk-taking, self-confidence, higher needs for achievement, perseverance, curiosity, nonconformity, intrinsic motivation. 78 items were collected or created as measurement variables for nine components of creative personality. To examine the reliably of this test, Cronbach a was estimated, and the items with low reliability were deleted. On the other hand, construct-validity was searched through factor analysis. As a result, we found that creative personality is consisted of five components. So the items Whose factor loadings are more than .3 and which are considered valid enough to measure each component were collected to reconsist the scale. Besides, to get higher validity of the test, we used Multilog program by Graded Response Model so that item discrimination, location parameters, and test information functions were estimated. There was no items with small value of item discrimination such as lower than .3. And a few location parameters of boundary characteristic curves were found outside of ability scale from -3 to 3. Considering item information functions of the each components, this scale is reliable to measure creative personality. Through all these steps, the final form of the test was completed with 5 components and 30 items. They are 4 items for openness, 8 for intrinsic motivation, 7 for independence, 5 for risk-taking, and 6 for curiositv, The mesurement of creative personality will overcome a limit from narrow approach by measuring creativity only as cognitive ability and bring us the foundation to get an integrated aspect on creativity. Therefore, creativity will be measured more precisely and clearly when the test of creative personality is also taken. Moreover, This will give us more abundant information to explain or diagnose students' creativity to teachers who want to use a curriculum for enhancing creativity or parents who want to know the role for developing their children's creativ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5 A. 창의성의 정의 = 5 B. 창의성 이론 = 6 1. 인지적 접근 = 6 2. 정의적 접근 = 9 가. 정신분석적 접근 = 10 나. 자아심리학적 접근 = 11 다. 개인 특성적 접근 = 12 3. 통합적 접근 = 18 C. 창의성의 정의적 특성 검사의 종류 = 21 III. 창의성의 정의적 특성 검사 개발 = 26 A. 연구 대상 = 26 B. 검사 제작 절차 = 27 1. 문헌연구에 의한 하부구인 선정 = 27 2. 문항 제작 = 32 C. 검사실시 = 33 D. 자료분석 방법 = 34 1. 고전검사이론 = 34 2. 문항반응이론 = 35 IV. 창의성의 정의적 특성 검사의 양호도 검증 = 37 A. 예비시행 분석 결과 = 37 1. 신뢰도에 의한 1차 수정 = 37 2. 요인분석에 의한 2차 수정 = 39 B. 본시행 분석 결과 = 44 1. 등급반응모형에 의한 문항분석 = 45 2. 신뢰도에 의한 1차 수정 = 48 3. 요인분석에 의한 2차 수정 = 50 C. 최종 개발된 검사 = 51 V. 결론 = 54 참고문헌 = 59 부록 = 67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044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창의성의 정의적 특성 측정을 위한 중학생용 검사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