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12 Download: 0

지방출신 서울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계획

Title
지방출신 서울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계획
Authors
이윤정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ntend to find out how provincial students who ente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these students shall be refered to as 'the non-residential students' in this study) adapt to college life and also how the non-residential students plan their careers. Until now, the discussions involving the non-residential students was largely divided into two arguments The first argument refers to the financial aspect of the students. Although many provincial students hope to enter colleges located in Seoul due to uneven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in the provincial regions, in order to study out-of-town, it is inevitable to pay for the extra amount of living expenses. It suggests that therefore, we must rectify this matter by giving full support to the local universities. The second argument involves the matter of development of provincial areas. Because talented students flock to colleges located in Seoul due to the imbalance in education, this 'brain drain phenomena' cripples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facilitate development in the provincial regions we must urgently support provincial colleges by securing talented students to these local colleges. We have not taken much interest in the fact that studying away from home causes uniqueness i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variable and that these out-of-town students may be undergoing different educational experiences. Because the non-residential students live apart from their families and live away from home there is a major difference between those students and the students who live in Seoul. Accordingly, this discrepancy may cause the non-residential student and the residential student to adapt to college life differently. In addition, since the type of housing such as living at home, at the dormitory, in a boarding house, or self-boarding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causes a difference i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variable, the type of housing may effect the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the experiences that the student has in college life, in other words,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may effect his or her future career plans. Therefore this study is plann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mong the residential status of the student(is the student from Seoul or from another province), the type of housing, th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he student's career plans by verifying adaptation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the student's residential status and the type of housing and the difference in career plans according to the student's residential status and the type of housing and the effect that adaptation to college life has on future career plans by asking students who attended four-year colleges that were located in Seoul. For this study, a total of 830 students from the class of 1999 who had either came from Seoul or another province and who attended four-year colleges in Seoul were asked. And this study was fixed to senior students only. As for the research methods, the t-test, two-way ANOVA(nested design), ANOVA(a priori comparison), x-test,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used. The adaptation pattern by not only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life on a full scale but also by dividing it into five sub-criterions;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sychological adjustment, physical adjustment, and attachment to one's school was analyzed. When the reliance of the questions regarding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verified , it was found out that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was .85 and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show that each subscale of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measured each fact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garding the difference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career planning according to the student's residential status and the type of housing of the student who attended a four-year college located in Seoul are as follows. Firstly, except for social adjustmen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academic adjustment, psychological adjustment, physical adjustment, and attachment to college,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on a full scale for both non-residential and residential students. Secondly,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social and physica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housing, there was a difference in academic, psychological, the student's attachment to college, and the full scale. Thirdly, it was verified that adjustment to college life was a variable in influencing career planning. Fourthly, the residential status and the type of housing did not directly make a difference in the career planning of the students who attended four-year colleges located in Seoul. However, students adjusted to college lif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residential status and their type of housing and their adjustment to college life had influence over their future career plans. Therefore, through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e student's residential status and the type of housing may indirectly effect his or her career plans. These conclusions imply not only in a local development and financial burden perspective but also in an educational effect and result perspective, that we need to shed light upon the problems of the non-residential students. And also in that perspective, when we discuss the matters of the non-residential students, the decision to stud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s not made because it is a matter of preference in the current Korean situation but since the decision is made on the grounds that the problem of unequal college education in local regions derives from the problems we have in our social structure, we need to deal with this matter on the context of sociology of education.;이 연구는 지방출신 서울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계획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지방출신 서울유학생은 지방에서 서울로 상경하여 서울 소재 대학에서 수학 하고 있는 학생을 말한다. 현재까지의 지방출신 서울유학생과 관련된 문제제기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경제적 측면에서의 조명이다. 대학교육발전의 지역적 불균형으로 인하여 많은 지방학생들이 서울 소재 대학으로 진학하기를 희망하고 있으나, 타지로 진학하기 위해서는 생활비 등의 경제적인 추가부담이 불가피하며, 이를 시정하기 위해서는 지방대학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지역발전 측면에서의 조명이다. 교육발전의 지역적 불균형으로 인하여 지방의 우수한 인재들이 서울 소재 대학으로 진학을 하고 있어 지역발전에 장애요소가 되고 있으므로, 우수한 인재들을 지방대학에 유치하여 지역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지방 대학을 육성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방출신 서울유학생에 대한 기존의 조명들은 객지에서 수학하게 됨으로써 야기되는 지방출신 서울유학생들의 독특한 물리적·심리적 환경의 영향으로 이들이 서울출신학생들과 다른 교육적 경험, 즉 대학교육의 효과에 있어서 차이가 유발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아 왔다. 지방출신 서울유학생은 가족과 떨어져 객지에서 수학함으로 인하여 본가가 서울인 서울출신학생들과 물리적·심리적 환경면에서 큰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는 지방출신 서울유학생과 서울출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차이를 유발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 본가, 기숙사, 하숙, 자취 등의 거주형태는 물리적·심리적 환경의 차이를 가져오는 주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므로 거주형태는 서울유학여부와 더불어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일 수 있다. 그리고 대학 재학기간 동안의 경험, 즉 대학생활 적응은 대학생들의 진로계획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서울유학여부 및 거주 형태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 서울유학여부 및 거주형태에 따른 진로계획의 차이, 대학생활 적응이 진로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서울유학여부 및 거 주형태가 대학교육의 효과와 관련하여 차이를 유발시키는 요인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1999학년도에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지방출신 서울 유학생 및 서울출신학생 8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학년은 4학년으로 제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t검정, 이원분산분석(내재설계), 분산분석(사전비교 분석), χ²검정, 판별분석을 사용하였다. 대학생활적응은 전체 적응(total score)뿐만 아니라 학문적 적응,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신체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의 다섯 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하여 적응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대학생활 적응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Cronbach α 계수에 의한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는 .85였다. 또 요인분석을 한 결과 대학생활 적응의 각 하위영역은 각각 하나의 요인을 측정하고 있었다. 서울유학여부와 거주형태에 따라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용 및 진로계획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활 적응에는 부분적으로 차이를 유발시키며 진로계획에는 대학생활 적응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지방출신 서울유학생과 서울출신학생은 사회적 적응을 제외한 학문적 적응, 정서적 적응, 신체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 및 전체 적응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주거형태에 따라서 사회적 적응과 신체적 적응을 제외한 학문적 적응, 정서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 및 전체 적응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학생활 적응은 진로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서울유학여부와 거주형태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 대학생들의 진로계획에 직접적으로 차이를 유발시키지는 않으나, 서울유학여부와 거주형태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에 차이가 있고 대학생활 적응은 진로계획에 영향을 미치므로 서울유학여부와 거주형태는 대학생활적응을 통해 진로계획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현 상황에서 서울로의 진학 결정이 단순한 기호에 의한 선택이 아니라 사회구조적 문제로 인하여 야기되는 지방출신 서울유학생의 문제를 교육적 영향 및 결과의 측면 즉 대학교육의 효과와 관련하여 조명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