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미연-
dc.creator김미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3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8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9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878-
dc.description.abstract교육과정이 바뀔 때마다 교과서의 편집 배경이나 추진 방향들도 사회의 요구에 부흥하는 교과서로 변신을 거듭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수학교과서는 사회의 변화와 요구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내용의 전개 방식이나 체제가 바뀌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곤 하였다. 그러기에 제 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과서는 과연 이러한 비판을 불식시킬만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야말로 교과 교육을 정상화시키는 동시에 교육 혁신의 원동력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롭게 편찬된 교과서의 여러 변화 중 수업의 방향을 제시해 줄 각 차시별 도입 활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새롭게 편찬된 교과서는 학습자 중심의 대 원칙 하에 시작된 7차 교육과정 정신을 반영하여 6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제시한 도입에 비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고자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6차 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정 교과서를 집필한 저자의 단원 도입 의도를 출판사별로 살펴보았을 때 저자의 집필의도는 집필된 시점부터 단원 도입의 목적이나 방향설정이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 둘째, 6차와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제시한 단원 도입 내용을 실생활 소대의 활용, 구체적 조작물을 이용한 활동, 교육공학의 활용, 수학사 활용, 본시학습과의 연계성으로 나누었을 때 어떤 비율로 구성되었는가? 셋째, 위에서 살펴본 내용을 가지고 7차 교육과정 교과서를 6차 교육과정과 비교하였을 때 어떤 변화를 보이는가? 넷째, 현장의 교사들은 7차 교육과정 교과서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으며 실제 수업에 교과서의 도입을 활용하는 교사 집단과 활용하고 있지 못하는 교사 집단인 두 집단간의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6차 교육과정 교과서와 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각 차시별 소단원 도입 내용을 분석하였고, 전국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계통표집한 뒤 설문지에 응답한 203명 중 무성의한 응답자를 제외한 187명의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6차 교육과정 교과서와 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단원 도입을 집필하게 된 저자들의 의도를 비교해 보면 타이틀에서부터 큰 차이점을 보였다. 구 교과서에서 제시한 도입 타이틀 '물음', '문제', '준비' 등에서 알 수 있듯이 대부분의 교과서들은 각 차시별 도입을 수학적 개념을 묻는 문제 제시를 통해 수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한 선수학습의 정도 파악을 위한 목적으로 집필되었다. 하지만 새 교과서에서는 '탐구활동', '생각열기(생각하기)' 등 활동과 관련된 용어들이 도입 타이틀로 제시되었으며 저자들 역시 단원 도입을 실생활 소재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며, 구체적인 조작이나 활동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새로운 수학적 개념이나 원리 습득을 목적으로 편찬하였음을 피력하였다. 둘째, 7차 교육과정 교과서가 6차 교육과정 교과서에 비해 단원 도입에 있어 실생활 소재를 활용하며 구체적 조작교구를 활용한 학생활동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실생활 소재나 구체적 조작물이 다양하게 제시되지 못하고 진부한 경우가 많았으며 수학사나 교육 공학 활용에 있어선 아직도 도입 부분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그 활용이 미비함을 알 수 있었다. 또 본문과의 연계성에서는 구 교과서에 비해 오히려 구성 비율이 낮은 결과가 나왔다. 이는 구성주의 관점에서 설명식 학습을 지양하고 학습자 스스로가 수학적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으나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 편찬 방향 중 '자율학습이 가능한 교과서'의 항목에 부합하지 못한다는 부정적 측면이 있으며, 생활 주변 상황을 수학적 모델로 제시하거나 구체물을 활용한 활동 후 본시 학습과의 연계를 매끄럽게 유도하는데 많은 교과서들이 어려워하고 있는데서 한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셋째, 교사용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은 7차 교육과정을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과서 선정에도 학습자 중심의 7차 교육과정의 정신에 부합하는 '학습에 흥미와 자신감을 갖게 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과서'를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선택하고 있었다. 하지만 현장의 교사들은 새 교과서가 구 교과서에 비해 많은 부분 달라졌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아직도 학습 내용의 축소 및 경감, 편집체계의 변화 등 외형체계에 치우쳐 있음을 지적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많은 교사들이 새 교과서의 변화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지만 도입 부분에 있어서는 새 교과서가 구 교과서에 비해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고 생활 주변의 상황을 수학적 모델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학생 활동의 증가로 수학적 개념이나 원리를 스스로 깨닫도록 하는 귀납적 유도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과반수 이상의 교사들이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 유도를 주요 목적으로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도입을 수업에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교사들이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도입을 수업전개에 도움이 되지 않고, 시간 부족, 학생 호응의 미비, 번거로움을 이유로 수업에 활용하지 않는 대신에 본인이 직접 제작, 다른 교재의 도입을 활용, 수업 중 임의로 구성하는 등 교과서의 도입 활동을 실제 수업에 활용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교과서 집필을 위한 단원 도입의 방향을 모색하면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최초의 시도인 단원 도입을 위해 생활 주변상황의 수학적 모델 사용과 학생의 구체적 환경과 수학의 추상적 수준 사이의 틈을 연결하기 위한 조작교구의 활용을 단지 구색 맞추기 위한 형식적인 접근이 되지 않도록 학생들의 현재의 발달 수준에 맞는 학습제재 개발을 위한 다양한 접근 시도가 필요하다. 또 이를 위해 교과 전문가들은 외국 수학 교과서의 사례 연구 등을 통한 소재 개발에 노력하여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교과서에 끊임없이 제공해야 할 것이다.;Whenever there is a change in education curriculum, the background of editing or the promotion directions of the textbooks changes into the one supplementing the request of the society. However, the mathematical textbooks had often been criticized for having no changes in the system or in the method of extending the content, despite of the change and request of the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induction activity of each chapter among many changes in newly edited textbooks. The following study problems were set concretely to analyze if the newly edited textbook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compared to the induction of the sixth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 First,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ntention of unit induction presented by the sixth and seventh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 the unit induction content presented in each textbooks were divided into the connection with the everyday life, activity using specific objects, usage of educational science, usage of mathematical history, and connection to the original study, to compare the composition proportion for each area. Second, the recognitions of the instructors at the site on unit induction activity of the seventh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 were analyzed. To solve the study problems above, the contents of sub-unit induction for each chapters of the sixth and seventh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s were analyzed. Also, by collecting the mathematic instructors in the country, the survey was given to 187 selected judgment group for the analysis on the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were given. First, seventh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 uses the materials of everyday life in terms of unit induction compared to the sixth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 and was proven that the student activity using specific objects had increased. However, in terms of mathematical history or the application of education science, the application was insufficient in complete education curriculum. Rather, in terms of the connection to this study, the construction proportion was lower than the older textbook. One of main causes of this result was that after the activity using the objects or presenting everyday life into mathematical model, many textbooks had difficulty in smoothly leading the connection to the original study. Second, instructors had negative recognitions about new textbooks, but in terms of induction, instructors had positive feelings in that the new textbook leads the interests of the students and uses the situations of everyday life as a mathematical model compared to the old textbook, and due to the increase in student activity, the textbook had lead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mathematical concept or principle. Also, it was proven that more than half of the instructors were using the induction presented in the textbook during the class with the main purpose of leading the interests of the students. However, it was proven that many instructors did not trust the induction presented in the textbook. They produced their own textbook, applied the induction of other textbooks, and constructed the text on their own during the class, and etc due to the reasons such as textbook induction not being helpful during the class, lack of time, lack of support of the students, complications, and etc.-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4 II. 이론적 배경 = 5 A. 활동주의 교육이론 = 5 1. J. Dewey의 아동중심 교육 = 7 1) 흥미중심 교육 = 7 2) 활동주의 교육이론 = 9 3) 아동중심 교육 = 10 2. Piaget의 조작적 구성주의 = 11 1) 조작적 구성주의 = 12 2) 활동주의 교육 = 13 3. Freudenthal의 수학화 이론 = 15 1) 활동주의 수학교육 = 15 2) 수학화 = 18 3) 교수학적 현상학 = 20 B.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 25 1. 개정의 필요성 = 25 2. 개정의 방향 = 25 3. 학습자 중심 교육 = 26 C.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 31 1. 교과서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31 2. 제 7차 교육과정 교과서 개발의 편찬 방향 = 33 3. 6·7차 교과서 비교 = 35 4. 검정기준 = 37 III. 연구방법 = 38 A. 분석 대상 = 38 B. 분석 내용 및 방법 = 40 IV. 분석 결과 = 42 A. 제 6차 교육과정 교과서 = 42 B. 제 7차 교육과정 교과서 = 46 C. 제 6·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도입 내용 비교 = 53 D. 교사용 설문지 분석 = 57 V. 결론 및 제언 = 77 참고문헌 = 82 <부록-1> 교사용 설문지 = 85 <부록-2> 수학 교과서 검정 기준표 = 94 <부록-3> 주제별 분류 예 = 96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558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학습자 활동 중심에 근거한 교과서 단원 도입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