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노은경-
dc.creator노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2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3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9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312-
dc.description.abstract현재의 삶과는 다른 형태의 보다 이상적인 삶을 찾고자 하는 것은 인간의 본성일 것이다. 그리고 인간의 예술적 욕망은 이러한 인간의 마음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다양한 모습(양식)의 작품을 통해 표출되어왔다. 그러므로 양식이 어떠하든 보다 근원적인 측면에서 볼 때, 화가가 그림을 그리는 것은 삶에 대한 꾸준한 노력과 열망이 전제된 하나의 추구이자 모색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할 때 작품은 화가의 삶 그 자체라는 말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작가는 해결된 문제를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한다는 싸움의 반응 속에서, 늘상 새로운 모순과 만나기에 제작해 나갈 수밖에 없다."는 이우환의 언급은 작품의 형성이 ‘무엇을’, ‘어떻게’ 그려야 하느냐의 문제에 얽매여 있다기보다는 ‘왜 그려야 하는가?’라는 것에 보다 우선적으로 관련되는 것으로 살아가는 일로서의 작업 즉, 삶의 태도로서의 작품의 의미를 강조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인은 예술이 지니는 가치나 진실성이 끊임없이 자신을 되돌아 보는 인간의 의지에 기초하고 있으며, 자신과 세계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과 모색의 과정에 있다고 믿는다. 작품이 우리에게 주는 어떤 해방감이나 위안마저도 결국은 자기 자신의 자각을 통한 내적 성숙의 과정에서 이루어진 것일 뿐이라는 사실로부터 물질을 넘어서 있는 작품의 본질을 되묻는 것은 가능하다고 본다. 본질적인 자아의 인식에 접근하려 하는 시도로부터 고립된 인간 존재는 없으며, 외부에 있는 모든 것은 모두 자신의 내부로 귀착됨을 깨닫게 된다. 화가가 그림을 그리는데 있어서(표현을 획득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방법론이 있다면 그것은 스스로의 존재를 향한 응시로부터 얻어지는 자기인식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말하자면 화가가 취하는 형태와 표현 방법, 재료 할 것 없이 이 모든 것은 화가 자신이 갖는 인식의 구현인 것이다. 그러므로 화가가 무엇인가를 표현하는 것은 그 표현에 의해, 그리고 그 표현과 더불어 더욱 투명해진 의식을 만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할 때 그림을 그리는 일은 그 자체로 자기수양 즉 수행과도 맥을 같이한다. 자기 자신을 되돌아 보는 일, 어떤 행위를 통해 스스로를 ‘닦아’가는 일은 반드시 종교적 의미로 국한시키지 않는다면 서로 같은 것이 아닐까. 따라서 이러한 의미에서 하나의 작품은 과정으로서의 ‘길’의 의미를 지니며 자기 자신에게로 접근하는 화두로서 존재한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예술과 수행을 연관해 살펴보는데 그것을 바로 동양의 선인들이 예술하기에서 수행적 미학을 전제한 것에서 찾고 이를 老莊思想을 기초해 풀어보았다. 그리고 비교 작가를 통해 그 의미를 음미해 보는 것으로 본인의 작품에 대한 기본적인 입장을 정리해 보았으며, 본인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이미지가 고정되어있지 않은 본질에 대한 추구라는 점에서 어떻게 자기 반성적인 의미와 상통하며 그 표현을 획득하는지를 인상주의와 낭만주의 미학과 표현 양식을 참고로 하여 연구해 보았다.;It is human nature to find an ideal life in a different form the one of the present. Also, human desire for art stems from this mind and it has been presented through various-styled works. Accordingly, whatever a style is, in terms of more basic aspect, painting for an artist is a kind of pursuit and groping under the premise of continuous efforts and passion for life, and it is possible to call work is an artist's life itself. In connection with this, Lee Ufan's remarks that "an artist cannot help working always meeting a new absurdity in response to fighting for describing, not describing a solved problem. Seem to emphasize the meaning of work as a behavior toward life, which is more related to "Why" he should draw than what and how to painting. I believe the value and truth of art is based on human will to continuously look back on himself, and it is in the process of asking questions about himself and the world. Feeling of comfort or emancipation that work gives us is mere a process of inner maturity through self-consciousness, and it is possible to re-ask the meaning of work escaping the fact. There are no human beings aloof from attempts of approaching recognition of self, and they realize everything existing outside returns to the inside of them. If there is a methodology of an artist in painting(or in acquiring expression), it comes from self-recognition acquired from a gaze to existence. That is, all these forms, expressions and materials that an artist takes are the realization of an artist's recognition. Accordingly, expressing something for an artist is meeting more transparent consciousness with that expression. Painting is like self-discipline at this point. Also, work is a visual realization of its process. Accordingly, a work in this sense has a meaning of "road" as a process, and exists as a theme approaching self. This study examines Eastern ancestors suggesting performing aesthetics in painting art in this point of view based on <ideology of Lao-tzu/Chuang-tzu>, and presention the basic position of my work by tasting its meaning through comparing artists. Also, it examines how image in my work has connection with self-examination and how it acquires its expression, referring to aesthetic and expression styles in impressionis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 1 2. 연구의 내용 = 2 3. 연구의 방법 = 3 본론 = 5 1. 내용적 연구 = 5 1) 道와 無爲 = 5 2) 修行적 미학의 의미로서의 회화 - 비교작가의 예 = 7 2. 방법적 연구 = 11 1) 생성과 변화의 이미지 = 11 2) 재료와 색 = 16 작품 분석 = 31 결론 = 35 참고문헌 = 37 ABSTRACT = 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214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삶의 과정으로서의 작품의 가능성-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3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