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자형-
dc.contributor.author김현경-
dc.creator김현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8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2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7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299-
dc.description.abstract환경오염과 기후변화로 인해 건강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사회문화적으로나 신체적으로 여성은 환경적 위협에 취약하다. 그러므로 여성은 환경의 영향으로부터 건강을 보호하고 환경적 질병을 예방하는 건강행위를 선택하게 된다. 친환경 건강 행위는 여성 자신의 건강을 지키려는 행위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확대되어 건강에 해롭지 않은 환경을 조성해 나가려는 공동체적 행위를 포함하고 있다. 간호사는 여성의 환경적 건강 위협 요소를 사정할 수 있어야 하고, 건강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적용할 책임이 있다. 본 연구는 친환경 여성 건강행위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도구의 개발은 한국여성이 어떠한 친환경 건강행위를 수행하고 있으며, 그 정도는 어떠한지 평가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는 Rogers(1975)의 보호동기이론(Protection Motivation Theory)을 개념적 기틀로 네 가지 인지적 과정인 인지된 심각성, 인지된 취약성, 인지된 반응효능, 자아효능이 행위의 의도를 형성하여, 친환경 건강행위로 발현되는 과정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행위의 의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예방채택과정모형(PrecautionAdoptionProcessModel)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친환경 건강행위의 개념분석 선행연구를 통하여 속성을 정의하였고,문헌고찰,개별면담,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문항의 내용을 추출하였다. 추출 된 예비문항은 37개의 인식문항과 92개의 행위문항으로 총 125개였다. 환경단체 전문가와 여성건강간호학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정을 통하여 30개의 인식문항과 33개의 행위문항으로 총 63문항을 도출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서울, 경기, 충청, 경상, 전라, 강원도의 다양한 연령대과 사회경제적 지위를 가진 여성 356명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타당도와 신뢰도 검정을 한 결과 33개의 행위 문항 중 친환경 여성 건강행위의 문항 17개가 최종 선정되었다.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에서는 ‘여성건강 보호’, ‘유해물질예방’, ‘대안적 소비’,‘공동체적 행위’의 4요인이 친환경 여성 건강행위를 53.52% 설명하였다.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도 입증이 되었으며, 문항 간 상관관계와 요인 간 상관관계도 적합하였다. 집단 비교법으로 친환경 건강행위를 유지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친환경 건강행위의 의도가 형성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의 행위점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내적일관성 신뢰도는 Cronbach�� 값이 .81로 적합하였고, 반분신뢰도는 .70과 .79로 나타났다.무작위 반분된 표본의 신뢰도는 Cronbach 값이 .82였다. 검정결과 본 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또한 개념적 기틀을 검정한 결과 인지된 심각성과 인지된 취약성의 영향력을 제외하고 표본과 일치하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본 도구는 여성의 친환경 건강행위를 사정하고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고, 여성건강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친환경 건강행위를 계획하는 프로그램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환경적 건강에 대한 교육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도구는 소수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평가가 가능한 절단점을 제시하여 대상자에게 실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도구는 환경적 건강행위를 측정하는 과학적인도구로 다양한 여성에게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Hazardous environmental exposure causes cumulative and interactive effects on women’s health.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have become pressing concerns for women. Physically and socioculturally, women are especially vulnerable to environmental risks and thus seek pro-environmental behaviors to protect themselves from environmental risks. Nurses have the responsibility to assess environmental risks and intervene in order to promote women’s health. However, there is a lack of developed instruments and especially non-existent for Korean women.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instrument to evaluate pro-environmental behaviors for women’s health. This study was based on Rogers’ (1975)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It included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vulnerability, perceived response efficacy, and self efficacy. These internal processes are proposed to affect behavioral intention and behavioral change. Weinstein’s (1988) Precaution Adoption Process Model was used to evaluate behavioral intention. The instrument development process consisted of the following steps: concept analysis of pro-environmental behaviors, literature review, personal 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A total of 63 items (33 behavioral items, 30 perception items) were extracted through content validity testing with 16 women’s health nursing experts and 3 environmental experts. A five-point Likert scale was used for scoring.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the data were gathered from 356 women throughout Korea. Subsequently, 17 items were selected from the 33 behavioral items. The gather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For construct validit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Varimax rotation were used, and a 4 factors were determined from the 17 items, with a cumulative explanatory variance of 53.52%, indicating good explanatory power of the instrument of pro-environmental behaviors for women’s health. The four factors were named ‘women’s health protection’, ‘chemical exposure prevention’, ‘alternative consumption’, and ‘community behavior’. The names were in accordance with the attributes identified from the concept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known group technique also demonstrated construct validity. Perceived response efficacy and self efficacy explained 15% of the variance in behavioral intention. Behavioral intention and perceived susceptibility explained 10% of the variance in pro-environmental behaviors for women’s health. The behavioral inten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from perceived response efficacy and self efficacy to pro-environmental behaviors. For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the Cronbach’ α was .81. The half split reliability were .70 and .79, and the ROC curve showed optimal cut point to be 50. This instrument was found to have good validity and reliability as a measure of women’s pro-environmental behaviors. In addition to measuring pro-environmental behaviors for women’s health, it can also be used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women’s pro-environmental health promotion can be developed based on this instru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1 B.연구의 목적 3 C.용어의 정의 3 II.문헌고찰 5 A.친환경 건강행위 개념분석 5 B.여성건강과 환경 7 C.친환경 건강행위 관련도구 고찰 10 III.연구의 개념적 기틀 13 A.보호동기이론 13 B.예방채택과정모형 15 IV. 연구방법 19 A. 연구설계 19 B. 연구절차 19 C. 윤리적 고려 28 V. 연구결과 29 A. 예비도구의 구성 29 B. 내용타당도 검정 34 C. 신뢰도와 타당도 검정 37 D. 최종도구의 문항 48 VI. 논의 50 A. 도구의 구성 50 B. 요인의 의미 52 C. 신뢰도와 타당도 55 D. 도구의 사용방법 57 E. 간호학적 의의 58 VII. 결론 및 제언 60 A. 결론 60 B. 제언 61 참고문헌 62 부록 72 Abstract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625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여성건강을 위한 친환경행위 측정도구 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an instrument of Pro-environmental Behaviors for Women's Health-
dc.creator.othernameKim, Hyun Kyoung-
dc.format.pageviii, 11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