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욱-
dc.contributor.author양정은-
dc.creator양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2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8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7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865-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bout the influence of culture on Koreans’ risk perception. Based on the basic assumption that people understand and judge risks as well as cope with the risks on the basis of cultural values they have, this study examined (1) how cultural factors influence Koreans’ risk perception and (2) how cultural factors influence on government trust, policy support and risk perception. Especially under a certain risk situation, how cultural factors interact with message strategy and type of risks to influence on trust and risk perception was testified. This study utilized two kinds of methodologies. Because there were not many literatures on culture and Koreans’ risk perception, a qualitative method, in-depth interviews, was conducted before the quantitative analyses.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experts in the governments, industries and academics. Based on the findings in in-depth interviews, survey of 516 participants was conducted. For the quantitative analyses, factor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nd mixed model repeated measure ANOVA were performed. Major findings of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suggested economic risks, food risks and national security risks as the most concerned risks of Koreans. Aging society, environmental risks and nuclear risks were considered as the most concerned future risks. Quantitative analyses supported the findings. Factor analyses of 42 risk items identified 7 risk factors including crimes, economic risks, uncontrollable risks, accidents, environmental risks, natural disasters and future risks. When the mean scores of risk factors were compared, the mean scores of environmental risks, economic risks and crimes were higher than other risks, showing that these risks were more concerned risks by Koreans.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factors and risk perception, both etic cultural variables such as cultural theory variables and Hofestede’s and emic variables such as Chemyon, Cheong and Uri were employ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how different set of cultural variables from different theories contributed to the explained variance of each risk factor. Results revealed that indigenous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explained variance of crimes, economic risks, and uncontrollable risks but not to the accidents, natural disasters and future risks. This supported the findings of the in-depth interviews, suggesting that Koreans were more concerned about ‘imminent social risk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s influenced the way Koreans perceive and define risks. The interviewees of in-depth interviews suggested that Koreans’ perception of risks showed collectivistic characteristics. That is, the risk is defined by the group, thus amplified and attenuated quickly. And people become more acceptable to a risk if the risk is tolerated by everybody, and if a risk is related to a greater cause or group benefit. While the perception of the risk is collectivistic, the management of risk is very much personalized. Koreans mostly rely on personal networks to manage the risks, and if the risks are beyond personal control, Koreans become insensitive to the risks. Low level of social trust was suggested as the reason for this. Especially people showed low level of trust on governments, and the government’s goodwill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to gain trust than the government’s competence. The goodwill trust factors included leadership, integrity (such as the earnest intention, fair process and transparency of information) and respect (such as participation and two-way communication). Seco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s also influenced the way Koreans communicate in risk situations. During the in-depth interview, the interviewees suggested that Koreans’ sense of Chemyon, Cheong and Uri influenced the way Koreans communicate in risk situations. Because of Chemyon, Koreans tended to trust source with authority, and when the risk situation developed into conflict situation, Koreans showed extreme forms of communication such as avoidance of communication or confrontation in order to save Chemyon. Also individuals with high sense of Chemyon preferred indirect communication or third-party involvement in order to avoid the loss of Chemyon. On the other hand, Cheong facilitated communication, as once Cheong is developed, the sense of Cheong promoted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However, too a strong sense of Uri, which was a strong sense of in-groupness, hindered communication with out-groups. In order to specifically examine the impact of culture on risk communication, how cultural factors influence on trust, policy support and risk perception in risk communication context was testified. Results showed that cultural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government trust, policy support and risk perception. Cultural factors also interacted with message strategy and type of risks to influence on trust, policy support and risk perception. Based on the theory that trust is consisted of two dimensions, competence and goodwill, the government’s risk messages were manipulated as competence-focused message and goodwill-focused message. Findings indicated that high cultural tendenc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competence trust, goodwill trust and policy support. Competence trust was more influenced by culture in interaction with message strategy. That is, the high cultural tendency (high feminity, high Confucianism, high uncertainty avoidance, high personal Chemyon and high affectionateness)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competence trust at goodwill-focused message. Goodwill trust was less influenced by cultural factors or the interaction between culture and message strategy. Cultural factors influenced policy support, that is, high cultural tendency group (feminity and instrumental we-nes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policy support at goodwill-focused message. As for risk perception, the high cultural tendency group perceived significantly less risks at goodwill-focused message. In summary, Koreans with high cultural tendency tended to show higher level of trust and policy support, and perceived much less risks at goodwill-focused message, showing that the goodwill factors of government message was more positively accepted than the competence-focused message. This study added knowledge about the influence of Koreans’ cultural characteristics on risk perception, by examining how cultural factors influence Koreans’ risk perception. Also, this study theoretically contribute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risk perception by employing both etic and emic variables. Lastly, this study broadened the literature on risk communication by investigating culture’s influence on trust, policy support and risk perception. Especially, this study employed cultural variables as well as contextual variables (such as message strategy and type of risks)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culture and the communication variables,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dded communicative implications. Practic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olicy make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communicating with people when a government policy was related to the kind of risks that Koreans were seriously concerned about. Also, the policy makers could learn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at the concern, care and good intentions of the government should be ‘communicated’, since Koreans with high cultural tendenc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trust and policy support and low level of risk perception.;이 연구는 문화적 요인이 한국인의 위험 인식과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사람들이 위험을 인식, 평가하고 위험을 관리하는 일련의 방식이 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는 기본 가정 하에, 본 연구는 (1) 문화적 요인이 한국인의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2) 문화적 요인이 정부신뢰, 정책지지 및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특정한 위험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문화적 요인이 커뮤니케이션 변수인 메시지 전략 및 위험 유형과 함께 정부신뢰, 정책지지 및 위험 인식에 어떠한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지 검증하였다. 이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연구 방법론으로 연구문제에 접근하였다. 한국인의 문화적 요인과 위험인식에 관한 기존의 연구 문헌이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양적 분석에 앞서 질적 방법론인 심층인터뷰를 통해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심층인터뷰는 업계와 학계에 종사하는 20여명의 전문가 집단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심층인터뷰를 통해 발견된 함의를 바탕으로 양적 분석을 진행하였는데,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51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주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도출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층인터뷰 결과 경제적 위험, 식품 관련 위험, 국가 안보 위험이 한국인들이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는 위험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고령화, 환경위험 및 원자력 관련 위험이 향후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적인 분석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는데, 42개의 위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범죄위험, 경제위험, 통제불가능위험, 사고위험, 환경위험, 자연재해 및 미래위험의 7개 위험 요인이 발견되었다. 위험 요인의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 환경위험, 경제위험 및 범죄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나 이러한 위험 요인들이 특히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요인과 위험인식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보편적 문화변수인 문화이론변수와 홉스테드 문화변수와 함께, 한국인의 고유한 문화변수인 체면, 정, 우리성 변수가 함께 고려되었다. 각각 다른 이론에서 도출된 문화변수가 개별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유변수들은 환경위험, 경제위험, 범죄위험, 불통제위험의 설명력에 유의미한 수준으로 기여하였다 그러나 사고위험, 자연재해, 미래위험에 대한 설명력 기여도는 유의미하지 않아, 한국인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문화적 특성은 ‘눈앞에 닥쳐진 사회적 위험’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인들이 가진 문화적 특성은 위험을 인식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주고 있었다. 심층인터뷰 결과 한국인들은 위험인식에 있어 집단주의적인 특징을 보인 반면, 위험 관리에 있어서는 개인화된 특징을 보여주었다. 즉, 한국인들에게 있어 위험은 집단에 의해 정의되며, 따라서 위험이 빨리 확산되고 소멸되는 냄비근성의 특성이 나타난다. 한편 위험의 영향력이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경우나, 집단의 이익이나 대의명분을 위해 위험을 감수해야 할 경우 위험에 대한 수용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위험의 관리는 매우 개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개인의 능력으로 위험 관리가 불가능한 경우 공적 기관보다는 사적인 네트워크나 연줄을 통해 위험을 관리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공적 시스템에 대한 한국인들의 사회신뢰가 매우 낮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신뢰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진단되었으며,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정부의 선의가 중요하게 평가되고있었다. 선의를 평가할 수 있는 요소로 감정에 대한 이해, 리더십(리더의 헌신), 진정성(의도의 진심, 절차의 공정성, 투명성) 및 존중 (결정에의 참여 및 쌍방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었다. 둘째, 한국인들의 문화적 특성은 위험 상황에서 커뮤니케이션 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주고 있었다. 심층인터뷰 응답자들은 한국인들이 가진 체면의식과 정의식, 우리성 등의 문화적 특성이 위험 상황에서 한국인들이 커뮤니케이션 하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고 설명하였다. 체면의식으로 인해 한국인들은 위험상황에서 권위 있는 정보원의 메시지를 더 신뢰하는 경향을 보이며, 위험상황이 갈등상황으로 발전하는 경우 체면 손상을 피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을 회피하거나 공격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극단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체면 손상을 피하기 위해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이나 제3자를 통한 간접적 커뮤니케이션을 선호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한편 정의식은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하여, 상대와 정이 생기는 경우 상대를 더 이해하게 되며 협동적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나친 내집단의식으로 인한 배타성은 외집단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지적되었다. 문화적 특성이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문화적 특성이 위험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정부에 대한 신뢰, 정책 지지 및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문화적 요인은 정부신뢰, 정책지지 및 위험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단독으로 혹은 정부의 메시지 전략 및 위험 유형과 상호작용하여 신뢰와 위험인식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신뢰의 요인이 크게 역량에 대한 신뢰와 선의에 대한 신뢰로 이루어져 있다는 기존 이론에 근거하여, 위험 상황에서 정부의 메시지를 역량 강조 메시지와 선의 강조 메시지로 조작하여 문화적 요인과의 상호 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문화적 특성이 높은 집단일수록 선의를 강조한 메시지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의 역량신뢰, 선의신뢰 및 정책지지를 나타내었다. 특히 역량신뢰는 선의신뢰에 비해 더 많은 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문화적 요인은 주로 메시지 전략과 상호작용하여 역량신뢰에 영향을 주었다. 즉, 문화적 성향(여성성, 유교주의, 불확실성회피, 개인체면, 다정다감성)이 높은 집단일수록 정부가 선의를 강조한 메시지를 전달하였을 때 더 높은 수준의 역량신뢰를 나타내었다. 선의신뢰는 역량신뢰에 비해 문화의 주효과나 문화와 메시지와의 상호작용효과에 적게 영향을 받고 있었다. 문화적 요인은 또한 정책지지에도 영향을 주고 있었는데, 문화적 성향(여성성, 도구적 우리성)이 높은 집단일수록 선의강조 메시지를 전달하였을 때 정부정책을 더욱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인식의 경우, 문화성향(권력거리, 불확실성회피)이 강한 집단일수록 선의강조 메시지를 전달하였을 때 위험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문화적 성향이 강한 사람들일수록 정부가 선의를 강조한 메시지를 전달하였을 때 더욱 높은 수준의 신뢰와 정책지지를 나타내며, 위험도 상대적으로 적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위험인식에 미치는 문화적 요인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특히 보편적 문화변수와 한국문화의 고유변수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문화와 위험인식에 관한 기존의 이론을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실질적인 위험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문화적 요인이 신뢰와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특히 문화적 요인과 커뮤니케이션 변수인 메시지 및 위험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커뮤니케이션적 함의를 높일 수 있었다. 실무적인 차원에서는 한국인들이 위험하게 인식하는 위험과 관련된 정책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문화적 성향에 따라 정부신뢰에 영향을 주는 메시지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정책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INTRODUCTION 1 II. LITERATURE REVIEW 6 A. The development of risk communication studies 6 B. Cultural approach to risk perception 8 1. Cross-cultural risk perception studies on Asia 8 2. Cultural theory 9 a. Overview of cultural theory 9 b. Empirical findings of cultural theory 12 C. Korean culture and risk perception 13 1. Koreans perception of risks 13 2. The emic variables and risk perception: Chemyon and Cheong 16 a. Chemyon and risk perception 18 b. Cheong, Uri and risk perception 20 D. Culture and trust in risk communication 23 1. Determinants of trust in risk communication 24 a. Trust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sk institution 25 b. Trust influenced by the risk message 26 c. Trust influenced by the type of risk 27 2. Cultures influence on trust in risk communication 28 a. Culture and trust influenced by the source of information 29 b. Culture and trust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risk institutions 29 E. Korean culture and trust in risk communication 32 1. Cultural factors influencing trust in Korea 32 2. Type of risk: Familiarity and government responsibility 34 F. The consequence variables of risk communication 35 G.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36 III. RESEARCH QUESTIONS 38 IV. STUDY 1: QUALITATIVE RESEARCH ON KOREANS RISK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40 A. Method 40 1. Participants 40 2. Interview Questions 40 B. Results 41 1. The type of risks Koreans are concerned about 41 a. Risks concerned at present 41 b. Risks to be concerned in the near future 44 2.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Koreans risk perception 46 a. Collectivistic Risk Perception 46 b. Personalized Risk Management 54 3.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s risk communication 56 a. Face-saving: Chemyon-based 57 b. Choeng and Uri-based 61 4. Trust on risk management institutions in risk communication 63 a. Industry 64 b. NGO 64 c. Government 66 5. The components of trust in risk communication 67 a. The competency of the government 67 b. The goodwill of the government 68 C. Summary of Study 1 Findings 75 V. STUDY 2: QUANTITATIVE RESEARCH ON KOREANS RISK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76 A. Method 76 1. Research Design 76 2. Participants and procedure 77 3. Measurement 77 a. Cultural orientation 77 b. List of the risks 82 c. Trust 83 d. Policy support 84 e. Risk perception 84 4. Reliability of the scales 85 5. Scenarios and pre-test 86 a. Type of risk 86 b. Message strategy 88 6. Statistical Analysis 91 B. Results 92 1. Descriptive statistics 92 a. Demographic of the participants 92 b.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variables 93 2. Analyses for research questions 95 a. Analysis for RQ2 95 b. Analysis for RQ3 113 C. Summary of Study 2 Findings 133 VI. FINDINGS AND DISCUSSIONS 137 A.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Koreans risk perception 137 1. Risks that Koreans are concerned about 137 a. The risk factors of Koreans 138 b.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139 2.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factors and perception of risk 140 a.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s risk perception 140 b.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variables and risk perception 142 B. The influence of culture on risk communication 146 1.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s risk communication 146 2. Koreans trust on government 147 3. The influence of cultural variables on trust, policy support and risk perception 148 C. Theoretical contribution of the study 151 D.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152 E. Limitation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153 REFERENCES 155 APPENDIX 167 국문초록 2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33129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The Influence of Culture on Koreans’ Risk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한국인의 문화적 요인이 위험 인식과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dc.creator.othernameYang, Jungeun-
dc.format.pagex, 20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