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용하-
dc.contributor.author최수진-
dc.creator최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8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5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6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525-
dc.description.abstract평가의 변화로 질적 방법을 통해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고 그들의 사고력을 신장시켜 나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업의 과정에서 평가가 수업 일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한국교육과정평가원,1998) 수행평가 도입이 대표적이며, 다양한 수행평가방법들이 연구되고 실행되고 있다. 그 중 자기평가는 다른 수행평가에서 획득할 수 없는 학생들의 수행결과에 대한 자신의 해석, 피드백에 따라 학생들이 새롭게 설정한 목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나 학교현장에서는 여전히 교사만의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자기평가란 학습자가 평가의 주체가 되어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인지적 능력을 동기와 태도 등의 정의적 능력과 통합하는 방법으로 학생 자신이 학습과정과 결과에 대해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O'malley and Pierce,1996). 즉 학생 스스로 자신을 평가하는 것으로 자신의 학습에 통찰을 하게 되고, 수학학습에 대한 호기심이나 흥미를 갖게 되어 성취동기가 부여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많은 학생이 수학에 흥미가 없으며, 수동적인 입장의 학습에 익숙해 있다. 특히 특성화고등학교 대부분의 학생들은 중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하면서 학습된 좌절감과 학습결손 누적으로 수학수업에서 매우 소극적이다. 이러한 수학 수업에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평가 수업을 실시하여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자기평가 수업을 적용한 집단학생들과 적용하지 않은 집단학생 간에는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을까? 2. 자기평가 수업을 적용한 집단학생들의 수학 학습 태도에 변화가 있을까? 3. 자기평가 수업을 적용한 집단학생들의 수학적 성향에 변화가 있을까? 4. 자기평가 학습지와 수학일기에 나타난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과 수업태도의 변화는 어떠한가? 5. 자기평가 수업 후 자기평가에 대한 학생들이 느끼는 학습의 효과와 선호도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연구자가 근무하는 인천시 소재 K특성화고등학교 1학년 S학과의 2개 학급 학생 59명을 선정하여 그 중 실험집단은 28명, 비교집단은 31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5주간 20차시에 ‘도형의 방정식’단원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때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동일한 수업을 받았고, 실험집단의 학생들만 수업 후 마무리단계에서 5분~7분간 수학일기형태의 자기평가와 소단원 수업이 끝날 때마다 자기평가학습지를 이용한 자기평가를 형성평가형태로 실시하였다. 수학일기와 자기평가학습지를 이용한 학생들의 자기평가 후 자기평가학습지는 학생채점 후 교사가 재채점하였으며, 수학일기와 자기평가학습지 모두 자기평가 후 교사의 피드백을 주는 자기평가수업을 진행하였다. 자기평가수업 후 학업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사전-사후검사로 1학기 기말고사와 2학기 중간고사점수를 실시하여 성취도의 향상정도를 알아보았으며, 수학 학습 태도와 수학적 성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신성균(1992)이 개발한 수학 학습 태도 검사지와 수학적 성향 검사지를 사전-사후 동일한 문항을 사용하여 수학 학습 태도와 수학적 성향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정량적 방법과 병행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문제해결과정의 변화나 수학 학습 태도와 수학적 성향의 변화를 자기평가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관찰과 자기평가학습지에 나타나는 답안과 수학일기에 적어 놓은 학생들의 기록들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실험수업과 검사지를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평가수업을 한 실험집단과 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학업성취도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사전-사후검사결과를 SPSS 19.0을 이용한 공분산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이는 자기평가수업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자기평가수업이 수학 학습 태도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세 영역인 ‘자아개념’, ‘태도’, ‘학습 습관’으로 나누어 두 종속 대응 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세 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05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이는 자기평가수업이 학생들의 수학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과 교과에 대한 태도,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자기평가수업이 수학적 성향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두 종속 대응 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05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하위 요인별로 분석한 결과는 여섯 가지 요인 중 자신감, 융통성, 의지, 호기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반성과 가치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자기평가수업이 전체적으로 수학적 성향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고 할 수 있으므로 짧은 기간에 변하기는 어려운 요인인 반성과 가치부문도 지속적인 자기평가수업을 통해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거라 예측된다. 실제로 자기평가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학생들의 자기평가학습지와 수학일기부문에서 반성과 가치부문에 대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넷째, 자기평가학습지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답안을 평가기준에 맞게 채점하면서 자신의 답안을 다시 한 번 점검함으로써 자신의 풀이에 신경 쓰게 되면서 풀이의 실수가 줄어들었으며, 자연스럽게 중간고사의 서술형 평가에 대비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관찰과 면담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수학일기를 통해 자신의 학습태도나 학습습관을 되돌아 보고 반성하여 수업태도가 좋아졌으며, 배운 내용을 요약정리하면서 자신의 부족한 부분에 대한 복습의 필요성을 깨닫게 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다섯째, 설문지를 통해 학생들이 자기평가수업에 대해 긍정적임을 확인하였고, 자기평가수업을 함으로써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가려는 학생들이 많아졌으며, 이들에게서 성취동기가 높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수학 학습에 대한 태도의 검사지를 통해 나타난 통계적 결과와도 일치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자기 스스로 자신의 학습과 문제 해결 과정을 평가하는 자기평가수업은 수업에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학생들을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한 방법이 될 수 있고, 학업성취도와 수학 학습 태도나 수학적 성향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수업에 소극적인 부진아 학생들의 교수 방법으로 자기평가를 이용한 수업이 도움될 거라 판단된다.;Introduc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is representative as change of evaluation which helps to prompt thinking of students and to increase ability to think through qualitative method(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1998) and there are various methods of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is being researched and conducted. Among them, self-assessment is possible to get information about newly set-up goal according to student’s own interpretation and feedback of their performance result and this is not attainable from other performance assessments but it is still being made by only teacher’s evaluation in current school field. Self-assessment is a combine method between cognitive ability and affective capacity like motivation and attitude by becoming main agent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learning and learners evaluate their own learning process and result by themselves (O'malley and Pierce,1996). That is, a student penetrates into one‘s own study by assessment of oneself and begins to have curiosity or interest about Mathematics study, and then achievement motivation could be granted. Quite a number of students are presently uninteresting in Mathematics, and they are used to be in a passive position of learning. Especially, most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re terribly half-hearted in Mathematics because they have learned frustration and accumulated study deficit while studying Math since their middle school.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set up to conduct self-assessment lesson targeted these passive and half-hearted students and to analyze its chang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 1. Is there a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students group with self-assessment class and students group without it? 2. Are there some changes about Math learning attitude of students group after applying self-assessment lesson? 3. Are there some alternation in mathematical tendency of students group who applying self-assessment class? 4. How about students’problem solving progress and change of classroom behavior appeared in self-assessment home-study materials and math diary? 5. What about students’feeling about learning effect and preference with self-assessment class after conducting it? For this research, 59 students are selected and they are from 2 classes of S major, freshmen of K specialized high school located in Incheon where the researcher works. These students were consists of experimental group with 28 students and comparison group with 31 students and 20 lessons with‘The equation of a figure’unit had been implemented for total of 5 weeks.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had received the same lessons at this time and only experimental group students had accomplished self-assessment using math diary form at the completed stage for 5~7 minutes after class and using self-assessment home-study materials in the form of development evaluation. After self-assessment using both materials, self-assessment home-study materials were regraded by teachers and both math diary and self-assessment home-study materials have teacher’s feedback after self-assessment. The progress of achievement was analyzed by conducting final exam of first semester and midterm exam of second semester as pre-to-post test after self-assessment class. Changes in Math learning attitude and mathematical propensity were studied by using pre-to-post equal questions and these questions are from math learning attitude test paper and mathematical inclination test paper developed by Shin, Seong Kyoun(1992). Changes of problem solving process or math learning manner and the change of mathematical tendency were analyzed through observation during self-assessment class and answers appeared in self-assessment home-study materials and records on their math diary by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us research results through experiment class and test papers are as follows: First, to analyze the change of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result of pre-to-post test was put to SPSS 19.0 and had covariance analysis results that there was significant result with .05 significance level statistically. It showed that self-assessment class effect positively on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o know that whether self-appraisal class effects on changes of math learning attitude or not, the data was classified with three domains which were ‘self-conception’, ‘attitude’and ‘study habits’and all three results of two dependent samples t-tes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05 significant level. It could tell that self-assessment class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self-conception, attitude and learning behavior about math subject. Third, to analyze that whether self-assessment class effects on changes of mathematical tendency or not, the results of two dependent samples t-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05 significant level. Also, another result of total six subordinate facto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fidence, flexibility, volition and curiosity sub-factors and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elf-reflection and value sub-factors. To sum up, it could say that self-assessment class brings positive change into mathematical tendency generally. Therefore, self-reflection and value factors which are hard to change could be expected to bring affirmative alternation through constant self-assessment class. Actually, there had been some observable alternation during these classes in their self-assessment home-study materials and math diary sections. Forth, through the self-assessment home-study materials, students reviewed their own answer sheet one more time by grading with evaluation standard and it reduced their fault of solutions as a result, and naturally it became opportunity to prepare for write-out answer evaluation of midterm exam through observation and face-to-face talks. Also, we could observe that students looked back and reflect on their learning behavior or learning habits through math diary and became better in classroom behavior, and they realized necessity of review about own insufficiency part while they were doing summing-up and organization of what they have learned. Fifth,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 were positive about self-assessment lesson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students who wanted to fill their scarcity were increased and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was heightened. It matches with the statistical result shown in the test paper of attitude about math learning.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bove, self-assessment lesson was the way to have an active participation during a class for students who were passive and half-hearted since it made them evaluate of their own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process, and also it could make affirmative influence on scholastic achievement and math learning demeanor or mathematical inclination.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class using self-assessment method would be the teaching techniques to help passive backward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자기평가 7 B. 수학의 정의적 특성 21 C. 선행연구의 고찰 24 Ⅲ. 연구방법 27 A. 연구대상 27 B. 실험설계 및 방법 27 C. 측정도구 33 D. 질적 연구 자료 수집 방법 3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40 A. 수학 학업성취도 변화 분석 40 B. 수학 학습 태도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의 결과 비교 분석 41 C. 수학적 성향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의 결과 비교 분석 44 D. 자기평가학습지와 수학일기에 나타난 자기평가 결과 47 E. 자기평가수업 후 자기평가에 관한 설문 분석 57 Ⅴ. 결론 및 제언 66 A. 요약 및 결론 66 B. 제언 70 참고문헌 71 부록 74 ABSTRACT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791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수학교과에서 자기평가수업이 정의적 영역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특성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Effect of Self-Assessment Lesson on Affective Domain and Scholast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Subject : Focused on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Choi Soo Jin-
dc.format.pagexi,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