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5 Download: 0

한국 다문화사회 언어교육 및 지역사회통역지원의 발전을 위한 제언

Title
한국 다문화사회 언어교육 및 지역사회통역지원의 발전을 위한 제언
Other Titles
韩国多元文化社会语言教育及 社区口译发展研究
Authors
노용선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통역번역대학원 통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손지봉
Abstract
在全球化发展的潮流中, 韩国社会正在以极快的步伐向多元文化社会迈进。随着国际交流的增加和世界经济结构的重组,跨国婚姻家庭迅猛增加,外籍务工人员和国籍归还者等外国人越来越多的加入到韩国社会中来。 这些出身外籍的韩国社会新成员们, 在融入学校生活及社会生活时,面临到了以语言交流为代表的种种问题,不管是对当事人,还是对韩国社会整体的建设性发展来说,这些问题都是挑战性课题。 本研究主要分析了多元文化社会中,与语言教育及社区口译这两种语言政策有关的韩国社会现状及政策方向。笔者以前人研究为理论依据,收集了最近多元文化社会语言教育的案例,并对此进行了研究分析。第一章介绍了研究背景、研究方法、研究目标、并对用语进行了整理。 第二章主要分析了韩国多元文化社会和多元文化语言教育现状。作为多元文化社会的新成员,应当通过韩国语教育和母语教育,积极适应韩国社会。并且认识到处于两种语言交汇点这件事本身就是一种财富,并以此作为机会,谋求发展。 同时,现有的韩国社会成员,也应当参与到多元文化语言教育中,扩大与社会新成员的交流。 创造学习外来语言和文化的机会,为此,笔者对加入韩国社会新成员的人口、国籍,学历水平等信息进行了统计整理,并对教育现场进行了考察,提出了改善意见。 本研究在第三章里对社区口译进行了研究分析。韩国政府为了促进社会融合,于2008年12月发布了 ”第一批外国人政策,在此政策中,首次提到了关于提供口译服务的内容,本研究意图通过此政策,摸索社区口译在多元文化社会移民过程中的真正含义,探寻政策发展方向。因此,笔者对当今政策施行初期阶段的有关教育案例进行了调查和分析,进而论述了多元文化社会成员活用为社区口译人才的可能性,以及引进教育和审查体系的必要性。 比韩国提早进入多元文化社会的欧洲、加拿大、澳大利亚、日本、台湾等国,通过孜孜不倦的努力,建立了以多元文化社会成员为对象的语言教育模型,并创造了能够让社会新老成员相互融合适应的环境。本研究对上述教育实例进行了研究,指出了韩国社会应当学习的部分。 最后,笔者以前文的调查及分析为基础,对研究结果进行了综合整理,并对韩国多元文化社会的语言教育及社区发展提出了建议。 在全球化发展的潮流中, 韩国社会正在以极快的步伐向多元文化社会迈进。随着国际交流的增加和世界经济结构的重组,跨国婚姻家庭迅猛增加,外籍务工人员和国籍归还者等外国人越来越多的加入到韩国社会中来。 这些出身外籍的韩国社会新成员们, 在融入学校生活及社会生活时,面临到了以语言交流为代表的种种问题,不管是对当事人,还是对韩国社会整体的建设性发展来说,这些问题都是挑战性课题。 本研究主要分析了多元文化社会中,与语言教育及社区口译这两种语言政策有关的韩国社会现状及政策方向。笔者以前人研究为理论依据,收集了最近多元文化社会语言教育的案例,并对此进行了研究分析。第一章介绍了研究背景、研究方法、研究目标、并对用语进行了整理。 第二章主要分析了韩国多元文化社会和多元文化语言教育现状。作为多元文化社会的新成员,应当通过韩国语教育和母语教育,积极适应韩国社会。并且认识到处于两种语言交汇点这件事本身就是一种财富,并以此作为机会,谋求发展。 同时,现有的韩国社会成员,也应当参与到多元文化语言教育中,扩大与社会新成员的交流。 创造学习外来语言和文化的机会,为此,笔者对加入韩国社会新成员的人口、国籍,学历水平等信息进行了统计整理,并对教育现场进行了考察,提出了改善意见。 本研究在第三章里对社区口译进行了研究分析。韩国政府为了促进社会融合,于2008年12月发布了 ”第一批外国人政策,在此政策中,首次提到了关于提供口译服务的内容,本研究意图通过此政策,摸索社区口译在多元文化社会移民过程中的真正含义,探寻政策发展方向。因此,笔者对当今政策施行初期阶段的有关教育案例进行了调查和分析,进而论述了多元文化社会成员活用为社区口译人才的可能性,以及引进教育和审查体系的必要性。 比韩国提早进入多元文化社会的欧洲、加拿大、澳大利亚、日本、台湾等国,通过孜孜不倦的努力,建立了以多元文化社会成员为对象的语言教育模型,并创造了能够让社会新老成员相互融合适应的环境。本研究对上述教育实例进行了研究,指出了韩国社会应当学习的部分。 最后,笔者以前文的调查及分析为基础,对研究结果进行了综合整理,并对韩国多元文化社会的语言教育及社区发展提出了建议。;최근 한국사회는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고 있다. 국제교류의 증가와 세계적인 경제구조 재편으로 국제결혼가정이 늘어나고 있으며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과 국적귀화자 등 외국인의 한국사회 유입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사회 유입된 외국출신의 새로운 구성원들은 학교생활과 사회생활 적응에 있어서 언어소통을 비롯한 많은 문제를 겪게 되고, 사회적응에 문제가 생길 경우 이는 비단 구성원 당사자 뿐 아니라 전체 사회의 건설적인 발전에 도전과제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를 위한 두 가지 언어정책, 즉 언어교육과 지역사회통역(community interpretation)에 관한 한국사회의 현황과 정책방향을 다루었다. 1장에서는 한국사회에 유입된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인구와, 국적분포, 학력수준 등의 정보를 통계를 통해 정리하였으며, 현재 진행 중인 다문화언어교육현장을 점검하여 개선점을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지역사회통역문제를 다루었다. 한국은 사회통합을 위하여 2008년 12월 ‘제1차 외국인 정책‘ 발표하였고 가운데 처음으로 통역서비스 제공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이를 통해 다문화사회 이주과정에서의 지역사회통역의 구체적 의미와 정책적 방향을 모색하고, 현재 시행초기단계인 관련 교육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한국보다 일찌감치 다문화사회를 경험한 유럽과 캐나다, 호주, 일본, 대만 등의 국가에서는 그동안 끊임없는 시도를 통해 다문화사회 구성원의 언어교육 모델을 마련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구성원과 새로운 구성원이 적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였다. 상술한 국가들의 언어교육사례를 점검하고 우리 사회가 배워가야 할 부분을 정리하였다. 마지막 장에서는 앞장의 조사와 분석을 토대로 하여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였으며 한국의 다문화사회 언어교육과 커뮤니티 사회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정리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통역번역대학원 > 통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