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규-
dc.contributor.author조은영-
dc.creator조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7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6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71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분야의 석사 및 박사학위논문의 국문 초록을 분석하여 Bitchener(2010)가 제시한 초록 부분의 이동마디 구조를 한국어 학위논문 국문 초록에 적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여 유학생들의 학위논문 쓰기 교육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한국어 모어 화자가 작성한 학위논문 국문 초록과 한국어 학습자가 작성한 학위논문 국문 초록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을 분석하고 한국어 학위논문 국문 초록에 주로 나타나는 정형화된 표현을 제시하여 학위논문 쓰기 교육에 직접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한국어 모어 화자가 작성한 석사학위논문 국문 초록과 박사학위논문 국문 초록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여 한국어 학습자가 장차 박사학위논문을 작성할 때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국내 고등교육기관의 외국인 유학생의 수는 2000년 이후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석사 과정 이상에서 재적 학생 중 외국인 학생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학위논문을 작성해야 하는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교육 및 이에 근간이 되는 연구는 많지 않다. 반면에 영어 교육에서는 장르 중심 접근법을 필두로 학위논문 장르를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도 일부 장르 중심 쓰기 교육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으나 학위논문 국문 초록에 대한 연구는 없으므로 본 연구는 유학생들이 학위논문의 한 부분인 국문 초록 부분을 작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2005년에서 2011년 사이에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출간된 국내 석․박사학위논문 중 IMRD(Introduction-Method-Result-Discussion) 구조로 작성된 6개 학교의 학위논문 중 92편을 층화 무선 표집(stratified random sampling)하여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연구자가 92편 중 일부인 17편에 대해 표본 1차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 전공 박사학위 취득 예정자 2명을 평정자로 선정하여 평정자 훈련, 개별 분석, 재훈련, 평정자 교섭 등을 거쳐 Kappa 지수가 1.0에 이르도록 했다. 이와 같이 분석 결과에 대한 일치도를 높이고 평정자간 신뢰도를 획득한 다음 평정자 중 1인이 본 자료를 분석하도록 하였다. 분석 기준은 국문 초록의 길이, 이동마디 구조, 유형, 메타담화적 표현의 유무, 도입 문장의 유형 등이었다. 또한 분석 결과를 석사학위 국문 초록과 박사학위 국문 초록 상호간에 비교하고, 한국어 모어 화자가 작성한 국문 초록과 한국어 학습자가 작성한 국문 초록과 비교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 분야 학위논문 국문 초록의 일반화된 모형 및 정형화된 표현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Bitchener(2010) 수정 모형은 한국어 교육 분야 학위논문 국문 초록에 적용가능하였으나 이동마디 1과 이동마디 2의 제시 순서에는 차이가 있었다. 분석한 국문 초록은 이동마디 1부터 이동마디 5까지의 각 이동마디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있었는데, 이동마디 4의 포함 비율 및 빈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메타담화적 이동마디를 포함하는 자료가 59.15%로 상당수의 학위논문 국문 초록이 메타담화적 이동마디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어 모어 화자가 작성한 한국어 교육 분야 석사학위논문(native Korean speakers' theses, 이하 KT)과 한국어 교육 분야 박사학위논문(native Korean speakers' dissertations, 이하 KD)에서는 결과 보고형(Report, 이하 R유형) 국문 초록이 논문 요약형(Summary, 이하 S유형) 국문 초록보다 많이 발견되었으나 한국어 학습자가 작성한 한국어 교육 분야 석사학위논문(non-native Korean speakers' theses, 이하 FT) 국문 초록은 S유형의 국문 초록의 발견 빈도가 더 많았다. 또한 KT 및 KD 국문 초록 모두 연구의 목적이나 목표로 시작하는 도입 문장의 유형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FT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국문 초록의 평균 길이는 KD, KT 및 FT 국문 초록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FT 국문 초록의 경우 200자 가량의 매우 짧은 국문 초록도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KT 및 KD 국문 초록의 이동마디 구조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KD 국문 초록은 이동마디 4가 더 확장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었고, 구조가 다소 복잡한 것을 밝혀냈다. FT 국문 초록은 메타담화적 이동마디의 빈도가 KT 및 KD 국문 초록보다 높았고 연구 방법을 설명하는 이동마디 3의 비율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결과를 설명하는 이동마디 4도 간략하게 제시하거나 생략되는 경우가 있어 국문 초록의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한국어 교육 분야의 학위논문 국문 초록 부분의 일반화된 모형과 정형화된 표현은 앞으로 한국어 학습자가 학위논문을 작성할 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수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KD 국문 초록을 작성할 때 더욱 중점을 두어야 하는 부분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가 작성한 국문 초록간의 비교를 통해 발견된 차이점은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학위논문 국문 초록 쓰기 교육 시 참고할 수 있는 좋은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라 제시된 일반화된 모형 및 정형화된 표현은 한국어 학습자뿐만 아니라 학위논문을 작성하는 박사학위과정의 연구자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한국어 석사학위논문 국문 초록 부분의 장르 분석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분석 대상을 한국어 교육 분야에 한정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각기 다른 연구 분야에 다양한 국적의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수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학문간 변이의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개별 학습자에 적합한 개별화된 교수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초 자료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면 학문 목적 학습자의 학위논문 쓰기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is to build groundwork for educating foreign students studying abroad in writing academic thesis via confirming whether move structure in abstracts, proposed by Bitchener(2010), can be applied to Korean abstracts, which is done by analyzing Korean version of graduate level thesis abstracts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Current study can be helpful to education in writing thesis since it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bstracts written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non-native Korean speakers and proposes formulaic language appears often in Korean abstracts. It also draws common components and discrepancies between master abstract and PhD level thesis abstract written by native Korean speakers, in order to assist students whose non-native Korean speakers in writing their PhD thesis.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n the domestic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as been increasing since 2000 as well as the relativ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n graduate level programs. This indicates that there are more foreign students who need to write graduate level thesis in Korean. However, education in thesis writing is under studied in previous literature although it is very actively researched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headed by the genre approach. Although the genre approach centered writing education is somewhat availabl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ince there is none in Korean abstracts in thesis writing education, current paper suppose to facilitate writing thesis Korean abstracts for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n. This paper investigates 92 sample theses from all graduate level theses written in IMRD structure from 2005 to 2011 in 6 universities, sampled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Based on the result from the first round analysis of 17 theses out of 92 samples, the author set Kappa indicator at 1.0 with 2 raters who expect to receive master degree in Korean education via rater discipline, individual analysis, re-discipline and rater negotiation. After achieving the confidence in raters, one rater is asked to analyze the entire sample.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length of the abstract, move structure, types, the existence of metadicouse expression and the pattern of the first sentence. The paper finds that the modified model of Bichener's(2010) is applicable to Korean abstracts. However the order of proposing the move 1 and the move 2 was different. Investigated abstracts selectively included each move from the move 1 to the move 5 and the move 4 had the highest inclusion rate. And percentage of data with metadicouse move is 59.15%, which indicates the significant number of abstracts contain metadicouse moves. Although from KT and KD R were found more than S, among the theses written by non-native Korean speakers, S abracts in Korean were found more often. Also, for KT, KD and FT Korean abstracts, ones started with the objectives of the studies dominated others. For FT Korean abstracts, there were very short ones with less than 200 letters. Although,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ucture of the moves between KT and KD Korean abstract, the study finds that KD had more move 4 and has more complicated structure. FT Korean abstracts had higher portion of metadicouse moves than KT or KD Korean abstracts and it also had less of move 3, which explains the research methodologies. Also FT Korean abstract had shorter move 4, which state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or it was even omitted, hence was not able to take the advantage of the abstracts. The generalized model and the formulaic languages in Korean abstracts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investigated in this paper would provide help to non-native Koreans in writing their thesis. From this study, one can also understand where they should focus when writing KD Korean abstracts. Furthermore, the comparison between abstracts written by native and non-native Korean speakers can be a guideline in thesis writing education. The generalized model and the formulaic languages found in the result of current study would not only help non-native Korean speakers but also native ones in writing thesis. The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investigated the genre approach, which has not been studied previously, but it has a limitation in that it bounded the scope of the study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s the number of academic purposes learners of Korean is increasing, studying interdisciplinary variation is needed.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individual learners would be needed as well.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finding of the current study would help academic purposes learners in thesis writ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논문의 구성 6 Ⅱ.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고찰 7 A.학문 목적 쓰기에서 장르 분석의 이론적 배경 및 발달 과정 7 B.장르 분석의 주요 개념 8 C.초록의 장르적 특징 12 1.초록의 구조 13 2.연구 논문 초록 작성 방법 16 D.정형화된 언어 20 E.선행 연구 고찰 22 F.연구 문제 27 Ⅲ.연구 방법 29 A.연구 자료 29 1.한국어 모어 화자의 학위논문(KT및 KD)국문 초록 31 2.한국어 학습자의 학위논문(FT)국문 초록 34 3.분석 자료의 특성 35 B.연구 절차 36 C.분석 방법 38 1.평정자 38 2.표본 1차 분석 39 3.평정자 훈련 46 4.평정자 교섭 48 Ⅳ.분석 결과 및 논의 68 A.Bitchener(2010)수정 모형의 적용 가능성 69 1.KT분석 결과 69 2.KD 분석 결과 83 3.FT분석 결과 87 B.한국어 교육 분야 학위논문 국문 초록의 일반화된 모형 및 정형화된 표현 93 1.일반화된 모형 93 2.정형화된 표현 96 C.KT국문 초록과 KD 국문 초록의 공통점과 차이점 101 1.KT및 KD 국문 초록의 이동마디-단계 구조 비교 101 D.KT및 KD 국문 초록과 FT국문 초록의 공통점과 차이점 104 1.KT및 FT국문 초록의 이동마디-단계 구조 비교 104 Ⅴ.결론 108 A.연구 결과 요약 109 B.연구의 의의 및 제언 110 참고문헌 113 부록 118 ABSTRACT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762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title유학생의 한국어 학위논문 쓰기 교육을 위한 학위논문 국문 초록 부분의 장르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Genre-Analytic Study of the Korean Abstract Sections in MA and PhD Theses Written in Korean: Implications for KAP Thesis Writing Instruction-
dc.creator.othernameCho, Eun Young-
dc.format.pagexii, 13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