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2 Download: 0

유학생의 한국어 학위논문 쓰기 교육을 위한 학위논문 결과 부분의 장르 분석 연구

Title
유학생의 한국어 학위논문 쓰기 교육을 위한 학위논문 결과 부분의 장르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Genre-Analytic study of the Results Sections in MA Theses Written in Korean : Implications for KAP Theses Writing Instruction
Authors
이수연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what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re in the rhetorical organization of result sections of Korean theses written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on the basis of Bitchener's(2010) result model with one additional move as 'commenting on results' and whether this Bitchener+1 model can be applied to a genre analysis of result section of Korean theses. Also, this study finds obligatory move-step, optional move-step and cyclical patterns formed by combinations of move-step in the result sections. Additionally, the formulaic languages of moves which show movement of each move and step of results were examined. 25 Korean master's theses written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18 Korean master theses written by Korean leaners were selected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e selected master's theses display IMRD structures. To validate reliability, 2 raters were trained Bitchener+1 model and discussed any disagreements, which resulted in a satisfactory level of inter-rater agreement of Cohen's Kappa 1. As the analysis results, first the Bitchener+1 model confirmed to the results sections in Korean theses. This result showe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the Bitchener+1 model to result sections in Korean theses. Second, move 1-step a, b, d and move 2 were classified as 'obligatory move-step' and the other move 1- step c and move 3 were classified as 'optional move-step'. Also two frequent patterns were founded in the result sections as move 2-step b→ move 2- step c(i)→ move 2- step c(ii) →move 2- step c(iii) and move 2- step c(i) →move 2- step c(iiii). Third, for the rhetorical organiz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native Koreans and Korean leaners were not found. But as for the Korean leaners, the frequency of move 1- step b and move 2- step a were lower than that of native Koreans.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presented a generalized model and formulaic language of result sections in Korean the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e and cyclical patterns in result sections of Korean theses. The differences between native Koreans and Korean learners would be pedagogically important for the academic purposes learners. This study provides the raw material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teaching of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는 점점 늘어나지만, 이들을 위한 교육 방안이 충분하지 않아 많은 학습자들이 중도 탈락하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학문 목적 텍스트 중에서 학위 논문은 텍스트의 구조적, 수사적 형식을 지켜야 하기 때문에 외국인 유학생 뿐 아니라 모국어 학생조차 어려워하는 부분이다. 만일 이러한 학위논문의 특징과 규범을 알려준다면 외국인 유학생들이 논문을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렇게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하여 학문적 텍스트의 장르적 특성을 교육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바로 장르 분석이지만, 아직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는 서론 이외에 논문의 다른 부분에서는 장르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한국어 교육에서 받아들여진 학위논문에서 결과 부분의 텍스트의 분석을 위해 영어 교육 분야에서 응용언어학 분야의 학위 논문 작성법을 연구한 Bitchener(2010)를 바탕으로 ‘결과의 논평’의 이동마디를 추가한 Bitchener+1의 모형을 설정하고, 이 모형이 한국어 교육 분야의 국내 석사학위논문의 결과에 어떻게 적용 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자료는 유학생이 급증한 시기인 2003년으로부터 2년이 지난 2005년부터 현재까지 발간된 석사학위논문 중 서론, 방법, 결과, 논의 및 결론(IMRD)의 구조를 가진 양적 연구의 성격을 지닌 논문 중에서 한국어 모어화자의 학위논문 25편과 한국어 학습자의 학위논문 18편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텍스트 분석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평정자간 신뢰도를 사용하였다. 평정자들은 설정한 Bitchener+1의 모형에 관해 훈련받고, 교섭을 통해 충분한 합의점을 찾아내어 Kappa지수 1의 결과를 얻어 충분한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Bitchener+1의 모형은 한국어 모어화자의 학위논문 결과에는 이동마디 1-단계 c의 ‘앞으로 나올 논의 부분의 세부 내용에 대한 참조 제공’을 제외하고 모든 이동마디-단계를 모두 포함하고 있었고, 학습자의 경우 이동마디 3-단계 d의 ‘후속 연구의 제안’을 제외하고는 모든 이동마디-단계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Bitchener+1의 모형은 한국어 학위논문 결과 부분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한국어 모어화자의 경우 이동마디 1-단계 a, 이동마디 1-단계 b, 이동마디 1-단계 d와 이동마디 2에 속하는 모든 단계인 a, b, c(i), c(ii) 및 c(iii)가 의무적인 이동마디로 나타났고, 그 외의 이동마디 1-단계c와 이동마디 3에 속하는 모든 단계는 선택적인 이동마디-단계로 나타나 논평의 이동마디는 선택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빈번하게 나타나는 2개의 순환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동마디 2-단계 b→이동마디 2-단계 c(i)→ 이동마디 2-단계 c(ii)→ 이동마디 2-단계 c(iii)의 패턴과 이동마디 2-단계 c(i)→ 이동마디 2-단계 c(iii)이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모어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결과 부분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는데, 한국어 모어화자나 학습자의 이동마디 및 단계의 출현 빈도에 있어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고, 한국어 모어화자나 학습자의 경우 Bitchener+1의 모형에서 크게 벗어나는 이동마디-단계의 모습은 보이지 않아 모두 Bitchener+1의 모형 내에서 설명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학습자에서는 구별 불능 이동마디가 나타나 차이점을 보였다. 그리고 두 집단 모두 이동마디 2-단계 c(i), (ii) 및 (iii)가 가장 많이 나타나, 논문의 결과 부분에서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표와 설명을 하는 단계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동마디 1-단계 b와 이동마디 2-단계 a가 한국어 모어화자보다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렇게 도출된 결과로부터 한국어 교육 분야의 학위논문 결과 부분의 일반화된 모형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분석 과정을 거치면서 각 이동마디 및 단계별 정형화된 표현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정형화된 표현을 교육에 활용한다면, 학습자들이 논문을 작성할 때 더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시한 이동마디별 단계에 따른 언어적 표지와 정형화된 표현은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논문을 직접 작성할 때 뿐 아니라 학문적 텍스트 읽기를 지도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아직 시도되지 않았던 한국어 석사학위논문의 결과 부분의 구조적인 모습과 함께 반드시 필요한 이동마디와 순환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모어화자와 학습자간의 비교를 통해 도출된 차이점은,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에게 있어 교육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 될 것이다. 또한 도출된 일반화된 모형은 한국어 학습자 뿐 아니라 학위논문을 준비하는 한국어 모어화자 예비 연구자들이 논문 작성을 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