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5 Download: 0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생략 유형과 성분에 따른 이해 연구

Title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생략 유형과 성분에 따른 이해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ai Learners' Understanding of Ellipsis in Korean
Authors
권미경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의 유형적 특징 중 하나인 생략 현상에 주목하였다. 한국어는 타 언어와 비교해서 생략이 많은 언어이다. 이러한 잦은 생략은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어의 생략 현상에 대해 한국어 교육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어 생략의 유형과 성분을 정리하여 학습자의 이해를 살폈다. 생략의 유형을 분류한 이유는 학습자의 언어 기저에 있는 생략 이해 원리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었고, 생략의 성분을 분류한 이유는 표층에 드러난 언어 성분의 생략 이해를 밝히기 위한 것이었다. 분류된 생략의 유형과 성분을 토대로 생략 이해 평가 문항을 개발하여 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하여 학습자가 한국어의 생략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기술한 후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찾아 정리하였다. 선행 연구는 한국어 생략에 관한 선행 연구와 생략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문제와 연구 가설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 1은 학습자의 생략 유형별 이해에 차이가 있는지, 연구 문제 2는 학습자의 생략 성분별 이해에 차이가 있는지, 연구 문제 3은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학습자가 생략 이해의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해 설계되었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먼저 생략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고, 본고의 연구 문제 1과 2에 관련한 생략 유형과 생략 성분에 대해 정리하였다. 그리고 연구 문제 3과 관련하여 제 2언어 학습에서의 생략 습득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 대상, 연구의 진행 흐름을 보여주는 연구 절차, 연구를 위한 실험에 사용된 한국어 숙달도 평가와 생략 이해 평가를 포함하는 연구 도구, 통계 프로그램 SPSS를 사용하여 시행한 자료 분석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결과는, 생략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이해에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습자는 문맥적 생략에 가장 높은 이해를 보였으며 추상적 언어 사고의 원리가 적용되는 상념적 생략에 가장 낮은 이해를 보였다. 생략 성분에 따른 학습자의 이해에서도 또한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습자는 주어와 목적어 생략의 이해를 가장 잘 했으며, 서술어 생략의 이해에 가장 미흡함을 보였다. 또한 한국어 숙달도에 따른 생략 이해는, 숙달도가 높은 집단이 모든 생략 유형과 생략 성분에서 높은 이해를 보였다. 특히 생략 유형 중에서는 상념적 생략에서, 생략 성분 중에서는 서술어 생략의 이해에서 한국어 숙달도에 따른 집단 간 평균 점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다시 정리하여 제시하고 본고의 의의와 한계점, 그리고 제안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거의 최초로 학습자의 한국어 생략 이해에 주목하여 그 이해를 살핀 데 그 의의가 있다. 하지만 첫 시도였던 만큼 연구에 많은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마지막으로, 연구를 통해 밝혀진 한계점을 바탕으로 보다 발전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거의 언급된 적 없었던 한국어의 생략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킬 수 있는 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Korean is considered as a discourse-oriented language which discourse contexts and speech situations play an important role. This study focused on ellipsis in Korean as one of the typological features of Korean. Ellipsis is commonly and widely used in Korean and this frequent use of the ellipsis can cause problems in understanding and using Korean for the learners. Therefore, considering ellipsis a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 study examining how learners understand ellipsis in Korean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he type of ellipsis in Korean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depending upon the place where ellipsis occurs(textual ellipsis, situational ellipsis, conceptual ellipsis), and the element of ellipsis in Korean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subject ellipsis, object ellipsis, complement ellipsis, verb ellipsis) depending upon its function in the sentence. The selected response questions were designed to assess understanding of ellipsis and Thai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 in Korean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In brief, the test subjects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conceptual ellipsis and verb ellipsis of each category. This paper is organized into the following chapters. Chapter I identifi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research followed by a discussion of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topic. The review of previous researches are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includes studies on ellipsis in Korean in general and the second part includes studies on ellipsis in educational field in specific. Then, research questions and research hypotheses for this study are posed at the end of the chapter.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inquires if there is a difference in understanding depending upon the type of ellipsis; Research question 2 inquires if there is a difference in understanding depending upon the element of ellipsis; Research question 3 inquires i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ffects the understanding of ellipsis in Korean. Chapter Ⅱ includ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cluding the concept, type, and element of ellipsis, which serves as the foundations of this study.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aquisition of ellipsis is also presented in this chapter. Chapter Ⅲ presents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study. It describes objects, procedures and instruments of this research. Lastly, data analysis methods using statistical software SPSS(version 19) are presented at the end of the chapter: One-way Anova and Games-Howell post hoc test were used to answer research question 1 and 2.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is presented in chapter Ⅳ. Key findings from this research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nderstanding among the three types of ellipsis. Textual ellipsis was well understood by Thai learners while the conceptual ellipsis which needs abstract thought process was poorly understood. Second,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nderstanding among the four elements of ellipsis. subject and object ellipsis were well understood by Thai learners while they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verb ellipsis. Third, high proficiency group performed better, notably on conceptual ellipsis and verb ellipsis, compared to low proficiency group in all types and elements of Korean ellipsis. Finally, Chapter Ⅴ briefly summarizes research findings and discuss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This study focused on ellipsis in Korean for foreign learners, which has rarely been discussed in this field before, and found out Thai learners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ellipsis in Korean. This kind of research related to ellipsis in Korean was firstly tried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field, and I should admit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this study. Therefore, I offered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t the end. I hope this study will draw attention to ellipsis in Korean for foreign learners and will also encourage other researchers with similar research interes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