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1 Download: 0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체언+용언 형태의 연어 사용 양상 연구

Title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체언+용언 형태의 연어 사용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Research on the Use of Collocations for Japanese-Speaking Korean Learners
Authors
심은경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연어를 다른 어휘와의 결합에 제약을 보이며 통계적으로 빈번하게 나타나는 두 어휘 이상의 긴밀한 관계로 정의하여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연어 사용의 양상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에 따른 첫 번째 연구 문제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연어 사용 능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전체 학습자를 대상으로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숙달도에 따라 나눈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이 각각 연어 사용 능력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확인한 후, 연어 사용과 숙달도가 상관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해 알아본 결과를 통해 연어 학습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일본어와 직역구조로 대응하는 연어와 의역구조로 대응하는 연어를 사용하는 데 각각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으로, 이를 통해 연어 구조에 따른 연어 사용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밝힌 후 일본인 학습자들에게 더욱 학습이 필요한 연어의 구조에 대해 논한다. 세 번째 연구 문제는 개별 어휘의 이해와 연어 사용의 상관관계에 알아보는 것으로, 이를 통해 개별 어휘 학습과 더불어 연어의 학습이 필요함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연구 문제는 연어 사용을 측정하는 두 시험에서 나타난 오류들을 살펴봄으로써 일본인 학습자들이 연어 사용에서 범하는 오류의 유형이 무엇이며, 어떠한 원인에서 발생하게 되는 것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숙달도와 연어 사용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중·고급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TOPIK 시험을 활용한 숙달도 시험, 번역 시험 및 CONTRIX 시험을 통해 연어 사용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CONTRIX 시험의 결과는 SPSS를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고, 번역 시험에 대해서는 오류의 원인을 모국어의 영향, 목표어의 영향 및 학습과정상의 오류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위 집단과 상위 집단은 연어 사용에 차이를 보였으며, 숙달도와 연어 사용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하위 집단과 상위 집단을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하위 집단에 비해 상위 집단의 연어 사용과 숙달도의 상관관계가 적었다. 이를 통해 숙달도가 높은 고급 학습자들이 연어 사용에 한계를 가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중 특히 고급 학습자들은 자연스러운 한국어를 구사하기 위해 연어 학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일본어와 한국어의 연어가 일본어와 직역구조를 가질 때, 의역구조보다 연어 사용이 잘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연어의 사용이 모국어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나타낸다. 하지만 상위 집단에서는 의역구조와 직역구조의 연어 사용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아, 상위 집단의 연어 사용은 직역구조나 의역구조에 따른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어에 포함된 개별 어휘와 연어 사용은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연어는 개별 어휘를 안다고 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연어의 학습은 덩어리로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CONTRIX 시험은 문항별로 오류를 분석하였고, 번역 시험에서 나타난 오류를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 목표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 및 학습과정상 나타나는 오류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모국어의 영향에서 나타나는 오류는 종류가 적은 반면 가장 빈도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학습자가 범할 수 있는 오류를 예측하여 이를 교육에 활용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연어 학습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말해주며 숙달도 및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응 관계에 따라 학습이 중점적으로 필요한 연어는 무엇인지를 시사한다. 또한 교수 학습 방법에서도 개별 어휘보다 덩어리에 초점을 둔 학습이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습자 수준에 알맞은 연어 교수와 학습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collocation use for the Japanese learners by defining the close relationships of phrases that occur frequently and also are limited in combination with other words. The first study question is the relationship of collocation use abilities based on the proficiency of the Japanese learners. The correlation is examined in all subjects and the upper level and the lower level are examined for their collocation use based on proficiency and also discuss the necessity of the collocation us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ollocation use and proficiency.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investigating how the Japanese learners differ in using the Korean collocations that are directly translated to Japanese words and the collocations that are indirectly translated to Japanese, which elucidates how the collocation use is different based on the collocation structures to discuss the collocation structures that need to be studied further for the Japanese learners. The third research question is the correlation of the individual word understanding and the collocation use to explain the necessity of the collocation use along with the individual vocabulary use. Lastly, the fourth researchquestion examines the errors in the two tests to measure the collocations and discusses the types of errors that Japanese learners make in collocation use and what their causes may 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iciency and the collocation use was measured with the collocation use frequency using the proficiency test of TOPIK, translations test, and the CONTRIX test for the intermediate to high Japanese learners. The results of the CONTRIX test was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PSS and the translation test classified the errors into effect of native tongue, effect of the attempted word, and the error in the learning proces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lower and higher groups showed a difference in collocation use and the proficiency and the collocation use also showed a correlation. However, the lower groups and the higher groups showed that the higher groups had a weaker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und use and proficiency. Therefore, the learners of higher proficiency were limited in collocation use. This result showed that the higher Japanese learners needed to practice their collocations to speak more natural Korean. Second, the Japanese learners showed a more frequent collocation use when the collocations in Korean had a direct translation in Japanese, rather than an indirect translation. This shows that the collocation use is affected by the native tongue. However, the higher groups showed that the collocation use in indirect or direct translations showed non-significant differences, which showed that the collocation use in higher levels were not affected by the direct or indirect translation structures. Third, the individual words in the collocations and the collocation use was not related. Through this, the collocation is not always used when the individual words are known and the collocation learning needs to occur in whole. Fourth, the CONTRIX test analyzed the errors by questions into the effect of native tongue, effect of attempted word, and the error in the learning process in translations. Through the analysis result, the errors from the native tongue havethe fewer types but most frequent, which suggests that the errors for the learners need to be predicted to use in the education. The above results show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collocation training and also imply the collocations that need to be focused on from the proficiency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ords. In addition, the training needs to occur in whol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individual words. Therefore, the collocation training and studying are required for the appropriate learner leve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