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규-
dc.contributor.author이주희-
dc.creator이주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6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8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6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887-
dc.description.abstract한국교육개발원에 따르면, 국내 외국인 유학생 수가 2010년 83,842명을 거쳐 2011년 말 9만여 명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하였고 매년 한국으로 유학을 오는 학위과정 유학생의 수는 6만 명에 달하고 있으며 대학이나 대학원에 진학하고자 어학연수를 하고 있는 학습자들까지 추가한다면 실제적인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규모는 엄청나다고 보았다. 그 중에서도 주로 영어로 논문을 쓰는 이공계를 제외한 인문·사회계열의 학습자들이 전체 학위과정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인문·사회계열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학위논문 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한국어 학위논문 장르 분석을 통한 쓰기 교육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한국어 학위논문의 서론을 장르 분석한 박은선(2006)의 후속연구로서 한국어 학위논문의 결론 부분을 분석하였다. 이때, 장르 분석이란 1980년대 이후로 특수 목적을 위한 외국어 교육에서 텍스트 분석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어 왔는데 이는 텍스트의 유형 간 및 장르 간의 차이점을 밝혀내고 각 장르의 언어적 특징을 찾는 것에 초점을 둔 분석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 학위논문 결론에 대한 장르 분석을 통해 장르적 특징을 발견하고 이를 쓰기 교육에 반영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학위논문 결론 부분에서 자주 등장하는 장 또는 절의 제목이 무엇인가? 둘째, Bitchener의 D+C모형이 한국어 학위논문 결론에 어떻게 적용되는가? 셋째, 한국어 모어화자가 쓴 학위논문의 결론과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위논문의 결론에 나타나는 차이점은 무엇인가? 넷째, 한국어 학위논문의 결론에서 볼 수 있는 정형화된 표현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그리고 다섯째, 새롭게 제시될 수 있는 한국어 학위논문의 일반화된 결론 모형은 무엇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풀기 위해서 먼저 국내에 출판된 논문 작성법 서적에서 제안하는 한국어 학위논문 결론에 나타나는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았고 한국어 학위논문 결론의 텍스트 분석 시에는 평정자 훈련 및 교섭 과정에서 Cohen의 Kappa 지수로 평정자 간 신뢰도를 측정하여 연구의 객관성을 높였다. 분석 자료는 2006년 2월부터 2011년 2월까지 수도권 8개 대학의 교육대학원, 일반대학원 및 국제대학원에서의 한국어교육 관련 석사논문 중 경험적 논문의 대표적인 구조로 볼 수 있는 IMRD 구조를 기준으로 1차 분류하였고 각 대학마다 비율에 기초하여 전체 한국어 모어화자 학위논문의 10%를 무선으로 선정하여 25편이 수집되었다. 그러나 기준에 부합하는 한국어 학습자 학위논문 수는 극히 소수인 것을 감안하여 수집된 18편 모두를 분석하는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학위논문 결론 장의 제목으로 ‘결론’뿐만 아니라 ‘결론 및 제언’, ‘요약 및 결론’, ‘결론 및 논의’, ‘맺음말’ 등의 다양한 장과 절의 제목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한국어 학위논문 결론 대부분은 Bitchener의 C모형에서 제시한 이동마디 1, 2, 3, 4 모두를 갖추고 있었고 Bitchener의 D모형의 이동마디도 일부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자료에서 Bitchener의 C모형과 같이 이동마디 1-2-3-4의 순서를 정확히 따르는 것은 극소수에 그쳐 본 연구에서는 분석 결과에 따른 한국어 학위논문 결론의 일반화된 모형을 따로 제시하였다. 셋째, 한국어 학위논문 결론의 길이는 평균적으로 KT 3.4쪽, FT 3.2쪽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결론의 절을 나누는 유형은 한국어 모어화자가 한국어 학습자보다 더 세분화되게 나누는 편이었다. 전체적으로 큰 차이점은 없었지만 이동마디-단계의 순환구조에 있어서 다소 KT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위논문 결론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정형화된 표현과 한국어 학위논문의 결론 모형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위논문을 작성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론 부분은 한국어 학위논문에서 필수적으로 등장하고 독자가 논문의 전체 텍스트를 읽을 시간이 없을 경우, 초록과 같이 결론을 가장 많이 읽는 부분이라는 점(Bitchener, 2010)에서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한국어 학위논문의 결론을 장르 분석한 연구물이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앞으로 이와 같은 실제 언어사용에 대한 보다 더 다양한 장르 분석이 시행되어 특수 목적 한국어교육에서 요구되는 교재제작 등의 기초 자료들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등의 후속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KEDI estimates that there were 83,842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in 2010 and it will reach up to 90,000 by the end of 2011. Foreign students who come to Korea to acquire a degree reach 60,000 annually. If we add learners studying in a language course to enter a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in Korea to it, the number of learners for actual academic purpose is absolutely enormous. Among them, foreign students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s other than those o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who mostly write a thesis in English take up 70% or more of the whole students for a degree. This shows the necessity of education to write a thesis in Korean for students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foundational data for writing education through genre analysis on theses written in Korean. Especially as a follow-up research for Park Eun Sun (2006)’s which analyzes introduction of theses written in Korean through genre analysis, this paper analyzed conclusion of theses written in Korean. Here, genre analysis has been used after the 1980’s as a useful tool to analyze text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for special purpose. This analysis focuses on figuring out differences of text by types and genres and discovering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genres. Thereupon,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conclusion in theses written in Korean through genre analysis and reflect it to writing education. This paper’s research questions are as below. First, what are the subjects of chapters or sections that often appear in conclusion of theses written in Korean? Second, how is Bitchener’s D+C model applied to conclusion in theses written in Korean? Third,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conclusion in theses written by speakers of Korean as their mother tongue and conclusion of theses written by Korean learners? Fourth, what are the formulaic expressions shown in conclusion of theses written in Korean? Fifth, what are the generalized conclusion models for theses written in Korean that can be suggested newly?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shown in theses written in Korean through the books about thesis writing published in Korea. And in analyzing the conclusion text in theses written in Korean, this paper measured inter-rater reliability with Cohen’s Kappa Index in the process of rater training or negotiation to enhance research objectivity. For analysis data, from Korean education-related master’s theses written in 8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graduate schools of Arts and Sciences, and graduate schools of International Studie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from February, 2006 till February, 2011, the primary selection was performed by the criterion of IMRD structure seen as the most typical structure of an empirical research thesis. Based on the ratio of each school, this study collected 25 theses by screening 10% of the whole master’s theses written in Korean by speakers of Korean as their mother tongue randomly. However, the number of theses written by Korean learners corresponding to the criteria is very rare, so all of the 18 theses collected were adopted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s subjects for the conclusion chapter of a thesis, not only ‘conclusions’ but ‘conclusion and suggestions’, ‘summary and conclusion’, ‘conclusion and discussion’, and ‘epilogue’ are used, so it had various subjects of chapters and sections. Second, most of the conclusion parts in theses written in Korean were equipped with all of the move, 1, 2, 3, and 4 suggested in Bitchener’s model C, and the move in Bitchener’s model D could also be found in some. However, only a few among most materials did follow the exact order of move, 1, 2, 3, and 4 as in Bitchener’s model C; thu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is research separately suggests a generalized model for a conclusion of a thesis written in Korean . Third, the length of conclusion in a thesis written in Korean was averagely KT 3.4 and FT 3.2 pages, and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About the types of dividing sections for conclusion, speakers using Korean as their mother tongue tended to subdivide it more precisely than the learners of Korean. In general, KT and FT showed no noticeable differences. But regarding the circulation structure of move-steps, KT tended to exhibit it more distinctly. Based on this analysis result, this study suggests formulaic expressions and conclusion models of theses frequently used in the conclusion of theses written in Korean, and this will be utilized very usefully when learners study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 write a research thesis. Although a conclusion part is very crucial since it is the essential part in theses written in Korean and also the most frequently read part along with the abstract when a reader does not have enough time to read the whole text (Bitchener, 2010),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research on the conclusion of theses written in Korean through genre analysis. At this point, this research’s findings can be regarded to be significant. Therefore, it is needed to conduct more various genre analysis on actual language use like this as follow-up research so a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demanded in Korean education and also basic materials to develop textbooks for Korean learners to provide substantial support for th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논문의 구성 6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7 A. 장르 7 1. 장르의 개념 7 2. 장르 중심 접근법 9 3. 장르 분석 14 4. 분석의 단위 16 B. 선행연구 고찰 19 1. EAP에서의 장르 분석 연구 19 2. KAP에서의 장르 분석 연구 24 C. 학위논문에서의 결론 27 1. 학위논문의 개념 27 2. 논의와 결론의 구별 문제 28 3. 결론의 기능 및 특징 31 4. Bitchener의 D+C모형 33 가. Bitchener의 모형을 선택한 이유 33 나. Bitchener의 D+C모형의 성립 34 다. Bitchener의 학위논문 결론 분석의 실제 38 D. 연구문제 46 Ⅲ. 연구 방법 47 A. 연구 자료 47 1. 한국어 모어화자의 학위논문(KT) 결론 부분 50 2. 한국어 학습자의 학위논문(FT) 결론 부분 51 3. 분석 자료: 결론의 경계 설정 52 B. 연구 절차 53 C. 자료 분석 방법 54 1. 평정자 54 2. 평정자 훈련 54 3. 평정자 교섭 58 가. KT 평정자 교섭 59 나. FT 평정자 교섭 65 Ⅳ. 결과 및 논의 68 A. 논문 작성법 서적에서 제시된 결론의 구성 요소 분석 68 B. 한국어 학위논문 결론의 제목 및 길이 분석 71 1. 결론 장 및 절의 제목 71 2. 결론의 길이 77 C. 한국어 모어화자의 학위논문 결론 분석 79 D. 한국어 학습자의 학위논문 결론 분석 96 E. 한국어 모어화자와 학습자의 학위논문 결론 총괄 비교 분석 101 F. 한국어교육 분야 논문 결론의 일반화된 모형 120 G. 한국어 학위논문 결론의 정형화된 표현 분석 123 Ⅴ. 결론 133 A.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33 B. 제한점 및 제언 135 참고문헌 137 부록 145 ABSTRACT 1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455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title유학생의 한국어 학위논문 쓰기 교육을 위한 학위논문 결론 부분의 장르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Genre-Analytic Study of the Conclusions Sections in MA Theses Written in Korean: Implications for KAP Thesis Writing Instruction-
dc.creator.othernameLee, Ju Hee-
dc.format.pagexiii, 15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