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7 Download: 0

정신질환자의 억제대 체험

Title
정신질환자의 억제대 체험
Other Titles
The Restraint Experience of Psychiatric Patients
Authors
정춘화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광자
Abstract
Restraint application has long been practiced as one of indispensible treatments to control psychiatric patients’behavior.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psychiatric patients’restraint experience in order for psychiatric nurses to make use of therapeutic restraint application in the clinical environment. The study had been proceeded at a mental hospital and a mental health center located in 3 cities, Jeollabukdo from May, 2011 through September, 2011. 14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Colaizzi's method was applied to analyse the collected data. 1. 119 meaningful statements were confirmed from the interviews. 39 themes were drawn from those statements, then clustered into 16, and then categorized by 5. The 5 categories include‘anger from frustration,'‘wanting to escape from shame and physical pain caused by restraints,’ ‘feeling calmed down by being controlled,’ ‘reflect on him/herself upon the pain caused by restraints,’and ‘aftereffects of restraints.’ 2. The meaning and fundamental structure of restraint experience focusing on the pertaining 5 categories are as follows; Participants' reaction to restraints started from the anger caused by frustration. Restraints were not the best solution and he/she felt withdrawn because nothing else could have been done in isolation and they wanted to get away from the physical pain and shame caused by restraints. Moreover, staff's indifferent attitude roused them. However, they felt calmed down and comfortable when they were respected and treated in humane ways by nurses even in difficult situations. Particularly, relating themselves with someone else who are under restraints, empathizing with them and reflecting on themselves are linked to the ability to control themselves. Participants claimed alternatives are necessary to replace difficult and inhumane restraints because after having been restrained the aftereffects lasted for a long time and they became sensitive and withdrawn in relations. As a result, this research shows the new perspective from which to understand psychiatric patients who are under restraint application. Based on this understandings, if healthcare providers repeat giving their psychiatric patients sufficient explanations to convince them and consider their feelings, applying restraints can bring out positive effects.;억제대는 정신질환자의 행동조절을 위해 필수불가결하게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처치방법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정신 간호사가 임상현장에서 억제대를 사용할 때 치료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정신질환자가 억제대 적용시 어떤 체험을 하는지 억제대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5월부터 2011년 9월까지였으며 J도 3개의 시에 있는 정신병원 두 곳과 정신보건센터 한 곳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총 14명이었으며, 일대일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119개의 의미 있는 진술이 확인되었고, 39개의 주제와 16개의 주제묶음, 5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5개의 범주는 ‘욕구좌절에 대한 분노가 생김,’ ‘신체적 아픔과 수치심에서 벗어나고 싶음,’ ‘조절이 되어 편안해짐,’ ‘억제의 아픔과 함께 자신을 돌아봄,’ ‘억제가 남긴 후유증’으로 나타났다. 2. 5개의 관련범주를 중심으로 억제대 체험의 의미와 본질적 구조는 다음과 같다. 참여자들의 억제에 대한 반응은 먼저 욕구좌절에 대한 분노로부터 시작하였다. 억제 상황은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지만 격리된 공간에서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기에 위축이 되었고 신체적 아픔과 수치심으로 벗어나고 싶은 마음으로 가득하였다. 직원들의 냉담한 태도는 반감을 갖게 하였으나 고통스럽고 힘든 상황에서도 간호사가 인간적 대우를 하고, 존중하며, 배려를 해주면 자신의 행동이 조절이 되어 편안함을 느낄 수 있었다. 특히 다른 사람의 억제된 모습을 통해 아픔을 느끼면서도 자신의 모습을 반추할 수 있었던 것은 스스로 조절 할 수 있는 힘으로 연계되었다. 참여자들은 억제대 체험 후에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예민해지고 이후에 위축이 되어 억제의 후유증으로 오래 기억되기 때문에 억제는 비인간적이고 힘들어서 대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억제 체험을 한 정신질환자를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신과 병동에서 억제대를 적용할 때 정신질환자가 납득할 수 있도록 억제대를 적용하는 이유에 대해 반복해서 설명하고, 배려를 한다면 억제대의 순기능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의미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