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자형-
dc.contributor.author김예영-
dc.creator김예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5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1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6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134-
dc.description.abstract북한이탈주민의 수가 크게 증가하여 국내 총 입국자의 수가 2만 명을 넘어섰다. 특히 북한이탈주민의 가족단위 입국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아동의 수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 아동들의 건강에 관심을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아동기 중에서도 영유아기는 일생 중 성장발달이 가장 빠른 시기이면서 자기 관리를 스스로 할 수 없고 어머니의 돌봄이 필수적인 시기이므로 이 시기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들의 양육경험은 아동의 건강 유지 및 증진에 매우 중요한 초석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 어머니의 영유아 자녀 양육 경험이 무엇이고, 양육 과정을 통해 심리사회적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가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자료는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및 참여자의 의무기록 등을 사용하여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 과정에서 62개의 개념과 23개의 하위범주, 1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북한이탈 어머니의 영유아 자녀 양육 과정의 핵심범주는 ‘희망을 가지고 키워가기’로 밝혀졌다. 연구참여자들의 중심현상은 ‘기대와 걱정이 공존함’이었고, 이러한 중심현상의 인과적 조건은‘양육 환경의 변화 추구’와 ‘자식을 잘 키우고 싶은 욕구’였으며, 이는‘양육 관련 경험’과 ‘어머니로서의 책임감’이라는 맥락적 조건에 영향을 받았다. 참여자들은 ‘사회적 지지’라는 중재적 조건에 영향을 받으면서 ‘기존 방법 유지하기’, ‘새로운 방법 시도하기’, ‘자기 강화하기’의 전략을 사용하며 그 결과 긍정적 태도를 갖게 되거나 위축을 보였다. 시간 흐름에 따른 양육 과정은 ‘양육 환경 변화 인식기’, ‘양육 방법 조정기’, ‘자신감 획득기’의 3단계로 나타났으며 ‘희망을 가지고 키워가기’의 유형은 기대하기형, 지켜보기형, 걱정하기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북한이탈 어머니의 영유아 자녀 양육 경험 과정의 단계와 유형 등에 근거하여 북한이탈 어머니의 영유아 자녀 양육 경험 과정을 이해하고 개별적인 간호를 제공하는데 기초가 될 이론적 기틀로서 이는 북한이탈 어머니의 양육 경험 과정에 대한 어머니 입장에서의 전반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지역사회와 임상 간호현장에서 북한이탈 어머니와 영유아 자녀를 위한 간호에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우리 사회에서 특별한 관심의 대상인 북한이탈 어머니와 아동을 위한 대상자의 경험에 근거한 중재를 유도할 수 있도록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통하여 다가올 통일 시대를 준비하는 데 일조하게 되기를 기대한다.;The number of North Korean refugees seeking asylum has increased to more than 20,000 people.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refugee families is on the increase and the health of their children is a growing concern. Childhood, especially early childhood is critical to a child's development since the development. During this time of rapid growth the child is not capable of self-care and essentially relies on the mother's care. Therefore the mother's experience of raising and caring for her child is of great importance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child's health.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heory on the early childhood caring experience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and how such caring affects how they deal with the socio-psychological problems they face as North Korean refugees. Data were gathered by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medical records, and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methods of Strauss and Corbin (1998). In summary, 62 concepts, 23 subcategories and 11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open coding, and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caring experience was revealed to be ‘hopeful upbringing’. A central theme common to the participants was ‘coexistence of expectations and worries’ with causal conditions of ‘pursuit of change in child upbringing environment’, and ‘desire to provide proper upbringing’ which were affected by contextual conditions of ‘child upbringing experience’ and ‘motherly responsibility’. The participants were affected by interventional conditions such as ‘social support’ and used strategies such as ‘sticking with old ways’, ‘trying new ways’ and ‘self-improvement’ and subsequently showed positive attitudes or withdrawal. Chronologically speaking, the process was divided into 3 stages; ‘recognition of change of child upbringing environment’, ‘adjustment of child upbringing methods’ and ‘forming confidence’. In addition, ‘hopeful upbringing’ consisted of 3 subtypes: expecting, onlooking and worrying. Above results provides theoretical grounds to understand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child care experiences and offer personalized nursing and deeper understanding of their needs by looking at their experience. Findings may also be useful in helping nurses caring for North Korean refugee mother-child dyads in the community and clinical settings gain insight on this special needs group, and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based on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experi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Ⅱ. 문헌고찰 4 A. 북한이탈주민 현황 4 B. 양육 경험 관련 선행연구 7 III. 연구방법 10 A. 연구설계 10 B. 연구자 준비 10 C. 연구참여자 선정 및 윤리적 고려 12 D. 이론적 표본추출 과정 13 E. 자료수집방법 15 F. 자료분석방법 16 G. 연구의 엄격성 19 H. 연구의 제한점 21 IV. 연구결과 22 A. 연구참여자의 특성 22 B. 개방코딩 24 C. 축 코딩 79 1. 패러다임모형에 의한 구조 분석 79 2. 과정 분석 82 D. 선택코딩 86 1. 핵심범주: 희망을 가지고 키워가기 86 2. 이야기 윤곽 전개 89 3. 가설적 정형화 및 관계진술 92 4. 유형분석 97 E. 상황모형 105 V. 논 의 109 A. 희망을 가지고 키워가기이론에 대한 논의 109 B. 희망을 가지고 키워가기이론의 평가 113 C. 간호학적 의의 117 VI. 결론 및 제언 119 A. 결 론 119 B. 제 언 120 참 고 문 헌 121 부 록 130 부록 1 연구참여자 설명문 130 부록 2 연구참여자 동의서 131 부록 3 IRB 심의 결과 통보서 132 Abstract 1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677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북한이탈 어머니의 영유아 자녀 양육 경험-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arly Childhood Caring Experience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dc.creator.othernameKim, Yae Young-
dc.format.pageviii, 13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