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72 Download: 0

병원 간호사의 갈등관리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Title
병원 간호사의 갈등관리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flict Management Styles, Communication skills,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Authors
박선하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변영순
Abstract
병원조직은 점차 대규모화되고 전문화되어 상호 협력해야 할 인력구조가 복잡해져 구성원들 간에 갈등이 야기될 소지가 크다. 특히 간호사들은 대상자와 의료인을 가장 많이 접촉하며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이나 갈등을 많이 경험하게 된다. 이런 갈등은 갈등관리 유형에 따라 의사소통능력이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갈등관리 유형을 알아보고, 갈등관리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검증하여 효과적인 갈등관리 유형을 밝힘으로써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1년 10월 25일부터 11월 9일까지 서울․경기 500병상 이상의 5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300명을 편의 표출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갈등관리 유형은 Kilmann와 Thomas(1975)가 개발하고 이건협(2007)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의사소통 능력은 Rubin(1990)이 개발하고 허경호(2003)가 수정한 GICC(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를 사용하였으며, 직무만족도는 박영배(1999)가 개발하고 윤종숙(2004)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와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1세였고 25~30세미만(38.7%)이 가장 많았다. 미혼(65.7%)이 기혼(33.7%)보다 많았고, 교육수준은 대졸(60.7%)이, 직위는 일반간호사(88.3%)가 가장 많았다. 근무부서는 일반병동(58.7%)이 특수부서(40.3%)보다 많았고, 현 병원 경력은 평균 6.6년이었으며, 순환 경험이 없는 군(42%)이 가장 많았다. 월 평균임금은 250~300만원 이하가 51.7%로 가장 많았고, 현 부서에 발령된 동기는 병원 발령(63.7%)에 의한 것이 본인의 의사(34.7%)보다 많았고, 갈등이 가장 많은 대상자는 의사(37%)로 나타났다. 2. 병원 간호사의 갈등관리 유형은 타협형 117명(39%), 혼합형 84명(28%), 문제해결 유형 48명(16%), 양보형 42명(14%), 강요형 5명(1.7%), 회피형 4명(1.3%) 순이었다. 대상자의 의사소통 능력 점수는 3.47±0.43점으로 그 중 반응력(3.94±0.63)이 가장 높았고, 상호작용관리 능력(3.06±0.75)이 가장 낮았다. 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2.91±0.38점이며, 직무만족도의 하위영역인 인간관계(3.42±0.45), 업무(3.04±0.53), 운영(2.62±0.63), 인사(2.49±0.59)의 순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 정도는 연령(F=2.75, p= .028), 교육수준(F=3.04, p= .049), 직위(t=-2.36, p= .020), 근무부서(t=1.99, p= .048), 현 병원에서 부서이동 횟수(F=3.16. p= .020)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근무부서(F=-3.54, p〈.001), 현 병원경력(F=2.99, p= .010), 월 평균임금(F=8.70,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갈등관리 유형에 따라 의사소통 능력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4.89, p〈.001). 문제해결 유형(3.59±0.46)의 의사소통 능력이 가장 높았고, 타협형(3.55±0.41), 혼합형(3.44±0.40), 회피형(3.24±0.30), 양보형(3.24± 0.45), 강요형(3.19±0.20)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 문제해결 유형과 타협형이 양보형 보다 의사소통 능력이 유의하게 높았다. 대상자의 갈등관리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있었다(F=2.65, p=.023). 회피형(3.17±0.17)의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문제해결 유형(2.98±0.44), 혼합형(2.98±0.39), 양보형(2.88±0.36), 타협형(2.87±0.39), 강요형(2.53±0.27)의 순으로 나타났다. 5. 의사소통 능력정도와 직무만족도와는 상관관계(r=0.283,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갈등관리 유형 중 문제해결 유형이 의사소통 능력과 직무만족도가 모두 높아 가장 효율적인 갈등관리 유형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능력과 직무만족도는 상관관계가 있어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의 마련이 필요하며, 강요형은 의사소통 능력과 직무만족도 모두 다른 유형에 비해 낮게 나타나 문제해결 유형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linical nurses' job satisfaction by analyzing conflict management styles, communication skills, job satisfaction and their relationship among nurses.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300 nurses from 5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500 bed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Data was collected from Oct 25 2011 to Nov 9 2011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SPSS 18.0 were used to analysis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were used to summarize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s, conflict management styles, communication skills, and job satisfaction. Student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1. Conflict management styles of nurses, in the order of highest to lowest, were compromise style 117(39%), mixed style 84(28%), problem solving style 48(16%), accommodation style 42(14%), enforcement style 5(1.7%), and avoiding style 4(1.3%). The average score for the communication skills was 3.47±0.43. The highest scoring communication skill was reactive power 3.94±0.63, and the lowest was the management of interaction 3.06±0.75. The average score for overall job satisfaction was 2.91±0.38. The average score for job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highest to lowest, were human relationship 3.42±0.45, duties 3.04±0.53, operation 2.62±0.63 and HR 2.49±0.59. 2. Level of communication skill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F=2.75, p= .028), educational level(F=3.04, p= .049), job title(t=-2.36, p= .020), working department(t=1.99, p= .048) and the frequency of the movement between the departments(F=3.16, p= .020). Level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working department(t=-3.54, p〈.001), the career at current hospital(F=2.99, p= .010), and average monthly wages (F=8.70, p〈.001). 3. Communication skil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F=4.89, p〈.001) according to the conflict management styles. As a result of Scheffe test, the average score for problem solving style and compromise styl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giving way style. Job satisfaction showed signigicant difference(F=2.65, p= .023) according to conflict management styles. However, Scheffe's te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yles. 4. The level of communication skil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ticipants' job satisfaction(r=0.283, p〈.001).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level of communication skil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 job title, working department, frequency of the movement between the departments, and conflict management styles. Level of job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working department, career at the current hospital, and the average monthly wages. As communication skill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ticipants' job satisfaction, there is a need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in order to improve nurses' job satisfaction. The training for communication skills are needed for nurses who showed insufficient communication skills, namely general nurses, nurses working in special departments, and nurses with low education level. Also, programs for diagnosing the types of conflicts and managing the conflicts in desired problem solving styles should be develop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