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숙자-
dc.contributor.author유정화-
dc.creator유정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1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0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6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04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ed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low back pain of home care nurses and factors related with for low back pain. Data had been collected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 102 home care nurse practitioner affiliated to 19 general hospitals in Seoul/Gyeonggi area from May 1 to July 10 in 2011. Statistical processing of collected data was performed by SPSS 18.0. General characteristics and low back pain­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whereas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analyze factors associated with low back pain. The summary of study results is as follows 1. A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mean age was 46.2 years old, BMI was 22.2kg/m2, mean frequency of delivery was 1.52 time. For the physical activity level, based on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IPAQ), the low, moderate and high intensities were 58.3%, 27.2% and 14.6% respectively. The mean total nursing career was 17 years and 6 months, the mean home care career was 6 years and 7 months, the mean weight of home visit kit was 7.8kg, the mean driving time per day was 2 hours and 30 minutes, the nursing time in twisted or bent posture was 2 hours and 27 minutes, and the nursing care time for lying patient was 1 hour and 35 minutes. 2. For experience of low back pain, the subjects with past experiences was 70.6%. The subjects with low back pain within 1 year was 66.7% and those currently experiencing was 65.7%, and the mean onset time of low back pain was 5 years and 8 months ago. Those diagnosed as low back pain was 51.5%, and among them, diagnosis as lumbosacral strain had the largest percentage as 35.9%. Also the subjects whose low back pain had incurred after starting home care nursing was 63.1%. For the severity of low back pain, "occasionally felt light pain" was the largest as 46.2%. The mild severity of low back pain was the largest as 80.3%. 3. For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ow back pain in this study subjects, the age less than 40 years old had shown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than those of 40s and ≥ 50 years old (p<.05). For the physical activity, low level group had shown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than high level group(p<.05), and the weight of home visit kit ≥ 13kg had shown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than those less than 13kg (p<.05). In conclusio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ow back pain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me care nurse practitioner were age, physical activity level and the weight of home visit kit. Therefore, it will require nursing intervention for home care nurses to prevent low back pain, in ways such as reinforcing the education on exercises to prevent low back pain in the home care nurse practitioner, and reducing the weight of home visit kit by simplifying its contents or by using light-weighted material goods.;간호사는 요통 유병률이 높은 직업 중 하나이며, 가정전문간호사는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간호활동 외에도 운 전, 가정방문 가방 들기, 바닥에 누운 대상자의 간호 등의 활동을 한다. 또한 상처치료, 수액요법 등의 치료를 위해 침상에 누워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불편한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많고, 수액을 들고 이동하여야 한다. 이런 활동은 요부에 진동을 주고 과도한 부담을 초래하여 요통 발생 가능성이 크지만, 가정전문간호사의 요통에 대한 연구는 희박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전문간호사의 요통과 요통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2011년 5월 1일부터 7월 10일 사이에 서울&#8901;경기지역에 위치한 19개 종합병원의 가정전문간호사 10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문헌고찰을 통해 의사 1인, 간호학전공 교수 1인, 가정전문간호사 2인의 자문을 받아 수정·보완 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16개 항목, 과거 요통 여부와 1년 이내 요통 경험 여부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건강설문 조사표(2007), 현재 요통 여부는 임현술 등(1998)이 제시한 요통에 관한 조사표를 이용하였다. 요통악화 활동은 가정간호 활동 13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요통의 중증도는 Mcdowell과 Newell(1987)이 개발한 Oswestry Low Back Pain Disability Index (ODI)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요통관련 특성은 서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요통 관련요인은 로지스틱 이항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가정전문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 연령이 46.2세, BMI는 22.2kg/m2, 분만횟수는 평균 1.52회였고, 신체활동정도는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기준으로 저강도 신체활동 그룹 58.3%, 중등도 신체활동 그룹 27.2%, 고강도 신체활동 그룹이 14.6%였다. 그리고, 총 간호경력은 평균 17년 6개월, 가정간호경력은 평균 6년 7개월, 방문가방무게는 평균 7.8kg이었으며, 1일 평균 운전시간은 2시간 30분, 몸을 비틀거나 구부려서 간호하는 시간은 2시간 27분, 바닥에 누운 환자 간호 수행시간은 1시간 35분이었다. 2. 본 연구에서 가정전문간호사의 요통여부는 과거 요통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경우가 70.6%였고, 1년이내 3개월이상 요통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경우가 66.7%, 현재 요통이 있는 경우가 65.7%로, 요통이 시작된 시기는 평균 5년 8개월 전이었다. 현재 요통이 있는 가정전문간호사 중 요통을 진단 받은 경우는 51.5%였고, 진단명은 요천추부 염좌가 35.9%로 가장 많았고, 현재 업무를 시작하고 요통이 발생된 경우가 63.1%였다. 요통정도는 가끔 가벼운 아픔을 느끼는 정도가 46.2%로 가장 많았고, 중증도는 경미한 장애를 느끼는 경우가 80.3%로 가장 많았다. 3. 본 연구에서 가정전문간호사의 요통관련 요인은 연령이 40세미만일 때 40대와 50세이상보다 요통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5). 신체활동은 저강도 신체활동 그룹이 고강도 신체활동 그룹보다 요통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고(p<.05), 가방무게가 13kg이상인 경우 13kg미만인 경우보다 요통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5). 하지만, 분만횟수, 총 간호경력, 가정간호경력, 운전시간, 몸을 비틀거나 구부리는 시간, 바닥에 누운 환자 간호시간 등은 유의하지 않았다(p>.05). 결론적으로 가정전문간호사는 연령이 적을수록, 신체활동정도가 많을수록, 가방무게가 무거울수록 요통과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가정전문간호사를 대상으로 요통 예방을 위한 운동의 교육을 강화하고, 방문가방의 내용을 간소화하거나 가벼운 재질의 물품을 사용 하도록 하여 가방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등 가정전문간호사의 요통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1 B.연구의 목적 4 C.용어의 정의 4 Ⅱ.문헌고찰 6 A.가정전문간호사 6 B.요통 10 Ⅲ.연구방법 16 A.연구 설계 16 B.연구 대상 16 C.연구 도구 16 D.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19 E.자료분석 20 F.연구의 제한점 20 Ⅳ.연구결과 및 논의 22 A.가정전문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22 B.요통 경험자의 요통과 요통관련 특성 25 C.가정전문간호사의 요통관련 인요인 29 Ⅴ.결론 및 제언 33 A.결론 33 B.연구의 의의 35 C.제언 36 참고문헌 38 부록 46 Abstract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37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가정전문간호사의 요통과 관련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Home care nurses' Low Back Pain and Its Related Factors-
dc.creator.othernameYoo, Jung Hwa-
dc.format.pageix,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