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선철-
dc.contributor.author류다혜-
dc.creator류다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9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0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6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07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문화관광부 정책사업인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이하 문전성시)을 중심으로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에 있어서 프로그램 유형화에 따른 전략적 기획요소의 도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2008년부터 2010년 까지 진행되었던 16개 시장의 문전성시 사업을 바탕으로 시장별 프로그램을 사업의 프로세스와 장르별,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특성에 따라 유형화 하고자 한다. 이 중 성공사례들을 뽑아내서 시기와 장르별 특성에 따른 성공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사업을 진행할 수 있는 전략적 기획요소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문화를 통해 전통시장을 활성화 하고자 하는 신규시장들이 프로젝트를 처음 진행하며 반복되는 시행착오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전성시 프로젝트에서 ‘성공적임’을 판가름하기 위해서는 사업 전반에 거친 다각화 된 기준들이 필요하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사업진행의 시기별 특성과 프로그램의 장르별 특성이 사업의 성패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고 가정하고, 문전성시 프로젝트 사후의 결과 및 행정에 관련된 것은 제외한 사업의 시기별 구분과 단위 프로그램으로만 범위를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기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시장 및 문화를 통한 활성화 연구에 대한 문헌연구-선행연구논문, 사업 운영 자료, 보고서 등-의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검토하고, 전통시장의 개념과 특성, 문화를 통한 활성화 정책의 필요성 및 가능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2010년 까지 문전성시에 참여한 시장들의 프로그램을 전수조사하여 시기별, 장르별로 분류하고 각 항목별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후 사업운영주체(PM단)와의 인터뷰를 통하여 문전성시 사업의 시장별 성공사례의 원인과 적절한 사업운영 모듈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고 그를 통한 이상적인 기획요소를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총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장은 서론부분으로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을 제기하고, 연구의 목적,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마지막으로 연구의 구성 및 절차를 서술하였다. 제 2장은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의 개념으로 ‘문화’, ‘전통시장’, ‘활성화’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였으며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흐름에서는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의 배경, 문전성시 이전의 추진 정책, 문전성시 사업의 필요성에 관하여 선행 연구를 통해 정리하였다. 제 3장은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시범사업을 분석하는 내용으로 문전성시의 개요를 살펴보고, 4개 시장의 사례를 토대로 문전성시 성공사례에 대한 요인을 분석하였다. 제 4장은 연구의 결과 부분으로서 조사된 자료를 사업의 시기별, 장르별,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대상에 따라 유형화하고 유형돠된 항목별 특성을 조사하여 전략적 기획요소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제 5장은 본 연구의 마지막 결론으로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한계점을 이야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전성시 사업의 시기와 장르, 대상, 효과성별 유형화에 따른 성공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문화예술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기획요소의 도출을 통하여 문화를 통해 전통시장을 활성화 하고자 하는 신규시장들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반복되는 시행착오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는데 의의가 있다.;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deduction of efficient program module through the cultural art focusing on traditional market revitalization project through the culture (it will be called by Munjeonseongsi), a political project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Munjeonseongsi project of 16 markets, progressed from 2008 to 2010, was examined and program by markets intends to be typicalized by process of project and characteristics of genre. Among them, successful examples were selected and successful factors by characteristics of periods and genres were analyzed. Based on them, module for efficient project intends to be found. Through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repeated errors while new markets progressed the project which intends to vitalize traditional market through the culture at first. For judging 'successful' in Munjeonseongsi project, multi-angled standards will be necessary for the whole industries. But, this study supposes that periodical characteristics of project progress and genre characteristics of program make the greatest effects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project. And, this study is conducted by restricting periodical division fo project and range of unit program except for the things related to results and administration after the Munjeonseongsi project. Through the analysis of documents-precedent theses, project operating materials, reports, etc.- for the study on 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 and culture, the necessity of this study was examined and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arket and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vitalization policy through the culture were investigated. For the next, this study investigated program of markets participating in Munjeonseongsi until 2010, divided them by periods and genres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each item. And then, through the interview of PM(Program manager), reasons of successful examples by markets of Munjeonseongsi project and module of proper project operation were investigated and ideal module by it was found. This study is organized by total 5 chapters. The first chapter suggested background and necessities of studying and described purposes of studying, methods and ranges of studying and structure and procedure of studying as an introduction. The second chapter arranged the concept of 'culture', 'traditional market' and 'vitalization' for the concept of traditional market vitalization project through the culture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nd, in the stream of traditional market vitalization policy through the culture, background of traditional market vitalization project, promotion policy before Munjeonseongsi and necessities of Munjeonseongsi project were arranged by precedent studies. The third chapter examined the outline of Munjeonseongsi and analyzed the factors of successful examples of Munjeonseongsi based on the examples of 4 markets as the content analyzing traditional market vitalization project through the culture. The forth chapter divided the investigated materials by periods and genres of project,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divided items and suggested the module considered to be efficient for the project as the results of this studying. The fifth chapter abstra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ing and talked about the limits of this studying as the final results of this study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analyzed successful factors by the characteristics of periods and genres of Munjeonseongsi project and drew the efficient program module for the 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 through the cultural art so that new markets who intend to vitalize traditional market through the culture can improve repeated errors during the projec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1. 연구의 범위 3 2. 연구의 방법 5 C. 연구의 구성 5 Ⅱ. 이론적 배경 8 A. 용어의 정의 8 1. 문전성시 용어의 정리 8 2.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의 개념 9 가. 문화 9 나. 전통시장 11 다. 활성화 17 B.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흐름 18 1.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의 배경 18 2. 문전성시 이전의 추진 정책 19 3. 문전성시 사업의 필요성 20 Ⅲ.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시범사업 분석 23 A. 개요 23 1. 사업배경 및 목적 23 2. 사업 방향 24 3. 사업추진 및 연혁 24 4. 시장 유형 및 현황 26 5. 추진체계 29 B. 사례 분석 32 1. 경기 수원시 수원 못골시장 33 2. 서울 강북구 수유마을시장 35 3. 강원 강릉시 주문진시장 39 4. 충북 청주시 가경터미널시장 41 C. 문전성시 성과 및 한계점 45 Ⅳ. 프로그램의 유형화 47 1. 시기에 따른 유형화 47 가. 준비기 47 나. 운영기 48 다. 지속기 51 2. 장르에 따른 유형화 52 가. 축제 및 행사 52 나. 전시 및 공연 54 다. 디자인 56 3. 대상과 따른 유형화 56 가. 상인 56 나. 사업관계자 62 다. 문화계 63 라. 고객 64 4. 효과성에 따른 유형화 65 가. 시각작업에 의한 이미지 개선 65 나. 마케팅의 강화 66 다. 홍보의 강화 67 5. 전략적 기획요소의 분석 및 제안 69 Ⅴ. 결론 76 참고문헌 78 Abstract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715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c.title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에 있어서 프로그램의 유형화에 따른 전략적 기획 요소의 도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문화체육관광부 문전성시 정책사업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duction of efficient program module for vitalizing traditional market through the cultural art : focusing on Munjeonseongsi project conduct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dc.creator.othernameRyu, Da hye-
dc.format.pageviii,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