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민지-
dc.contributor.author이루리-
dc.creator이루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8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0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6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09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나이타이 와이어와 역만곡호선 나이타이 와이어를 주 호선으로 사용 시, 이들 와이어의 단면형태와 만곡형태의 변화에 따른 교합력의 변화를 측정하여, 주 호선의 형태가 구치부 교합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치조골과 치주인대를 재현한 타이포돈트 상에서 제 1 소구치를 제거하고 .018˝메탈 브라켓을 간접 부착술을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접착하였다. 모형의 상악 좌측 제 2 소구치, 제 1 대구치, 제 2 대구치 기능 교두의 설측 임상 치관의 중앙에 스트레인게이지를 부착하고, 주 호선 장착 전, 016″ 나이타이 와이어, 016×022″ 나이타이 와이어, 016″ 역만곡호선 나이타이 와이어, 016×022″ 역만곡호선 나이타이 와이어를 주 호선으로 장착 후 만능물성시험기를 이용하여 압축력을 200N으로 가하였고, 측정된 값은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저장하였다. 각 실험을 10 회씩 반복하였다. 각각의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주호선 장착 시, 주호선 장착 전보다 제 2 소구치에서는 교합력이 증가하 였고 제 1 대구치, 제 2 대구치에서는 교합력이 감소하였다. (p<0.001) 2. 역만곡호선 나이타이 와이어를 주호선으로 장착 시 plain 나이타이 와이어 와 비교하여 제 2 소구치의 교합력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제 1 대구치, 제 2 대구치의 교합력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p<0.001) 그 양은 미미했다. 3. 주호선 장착 시 구치부 교합력의 총량은 유의하게 감소한다.(p<0.001) 4. 역만곡호선 나이타이 와이어 장착 시 plain 나이타이 와이어 장착 시 보다구치부 교합력의 총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p<0.001) 그 양은 미미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주호선 장착으로 교합력의 재분배가 일어나고 역만곡호선 와이어는 plain 와이어와 비교하여 교합력은 감소하였지만 그 양은 미미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험 모델에서 시행하였으므로 향후 임상실험을 통해 임상적 검증이 필요하고, 또한 교합 시 접촉면적과 교합력의 전달방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hape of main archwire on the molar occlusal force by measuring the changes in the occlusal force depending on the shape of cross section and the shape of the curvature when the NiTi wire and NiTi wire with reverse curve of Spee were used as the main archwire. The first premolar was removed from Typodont which reproduced the alveolar bone and periodontal ligament, and the indirect bonding technique was used to manually bond the .018˝ metal bracket. The strain gauge was attached at the center of the lingual crown of the maxillary left second premolar,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and 016″ NiTi wire, 016×022″ NiTi wire, 016″ reverse NiTi wire, and 016×022″ reverse NiTi wire were engaged as the main archwire, Universal Testing Machine was used to apply a compressive force of 200N. The measurement values were saved by dedicated software. Each experiment was repeated 10 tim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rom the experiments: 1. When the main archwire was engaged, the occlusal force increased on the second molar as compared prior to the engagement of the main archwire(control), and decreased on the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p<0.001) 2. When reverse NiTi wire was engaged as the main archwire, the occlusal force on the second premola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as compared to when plain NiTi wire was engaged, whereas the occlusal force on the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0.001), but the difference was clinically insignificant. 3. When the main archwire was engaged, the total molar occlusal force decreased significantly. (p<0.001) 4. When reverse NiTi wire was engage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total molar occlusal force as compared to when plain NiTi wire was engaged (p<0.001), but the difference was clinically in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engagement of main archwire caused the redistribution of occlusal force, and reverse wire reduced the occlusal force more than plain wire, but the amount of difference was clinically insignificant. Clinical verification, evaluation on occlusal contact area, and on direction of occlusal force need to be further studi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Ⅱ. 연구 재료 및 방법 4 A. 연구 재료 4 B. 연구 방법 8 C. 통계 분석 10 Ⅲ. 연구 결과 11 Ⅳ. 고 찰 17 Ⅴ. 결 론 21 참고문헌 22 ABSTRACT 2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828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title교정용 호선의 형태에 따른 구치부 교합력의 변화-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n occlusal force of the archwire with reverse curve of Spee on arch-
dc.format.pageviii, 2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교정치의학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교정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