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선-
dc.contributor.author임은영-
dc.creator임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6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4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5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485-
dc.description.abstract트렌드는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 문화, 라이프스타일이 반영된 것으로 사람들의 욕구와 가치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포착하여 시장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설명해준다. 또한, 트렌드를 통해 소비자의 마음이 가리키는 방향을 알 수 있고 현재 시장에서의 요구뿐만 아니라 미래 시장에서의 소비자 선호까지도 예측 가능하게 해준다. 현재에 없는 새로운 제품을 제안해야 하는 디자이너에게 트렌드는 미래 사회의 소비자 기호를 예측 가능하게 해주는 방법으로서 활용된다. 미래의 소비자 행동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트렌드를 실질적으로 활용하고, 유용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접하는 수많은 정보와 일상의 평범한 현상들에서 주류 트렌드의 흐름을 구분해 내고 읽을 수 있는 안목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주류 트렌드는 비교적 긴 기간 소비자 기호에 영향력을 미쳐 미래 시장에까지 영향력을 작용하는 것으로, 디자이너가 예측 대상으로 삼는 정보가 여러 크고 작은 트렌드 중에서 주류 트렌드인 메가트랜드인 것이다. 일상의 평범한 현상 및 정보들 속에서 파급력이 약한 마이크로 트렌드와 긴 시간 영향력을 미치는 메가트랜드를 구분하는 일은 쉽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기업체들이 트렌드 예측을 전문으로 하는 트렌드 전문기관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활용하고 있다. 그들은 30년 이상 전 세계 기업에게 트렌드 예측의 축척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보다 능숙하게 수많은 정보들 속에서 지속가능한 수준의 메가트랜드를 추출하여 제공하고 있다. 또한 트렌드 정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이들의 역할 또한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트렌드 전문기관의 개념과 역할, 그에 따른 필요성을 명확히 이해하여 ‘왜 트렌드 예측 전문기관이 필요한가’ 에 대한 의구심을 해소하고자 했다. 이러한 명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트렌드 전문기관 중 디자인 & 칼라 트렌드를 전문으로 하는 업체들을 선정하여 각 업체별 주류 트렌드 예측을 위한 프로세스를 파악하고 메가트랜드를 읽어낼 수 있는 효과적인 관찰법을 습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디자인 & 칼라 트렌드 전문기관의 시즌별 제안된 키워드를 통해 각 업체별 트렌드를 관찰하는 차별화된 관점과 좀 더 세분화된 업체별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트렌드의 진행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트렌드 전문기관의 시즌별 제안 키워드를 이미지 스케일에서 추출한 상반된 키워드에 적용 후 이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미지 스케일의 영역을 6축으로 나눠 각 축에서 서로 반대되는 성향의 이미지 단어들을 추출하여 분석 툴을 만들었으며 이 분석 툴을 이용하여 디자인 & 칼라 트렌드 전문기관의 제안 키워드를 배열한 후, 눈에 띄게 집합되는 특정 이미지 워드의 영역을 발견하고자 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로 시즌별 제안되는 트렌드 키워드들은 몇몇 특정 영역 내에서 반복적으로 제안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품 개발에 있어서 꼭 필요한 트렌드 정보를 좀 더 효과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관찰법과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되는 트렌드의 진행 방향을 이해하여 디자이너가 직면한 복잡한 시장 환경의 변화 속에서 미래 소비자의 니즈를 발견해내는 안목과 통찰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기여하고자 하였다.;Trends explain and help to understand the market by capturing how human desire and value change in our society are reflecting its culture and lifestyle. Also, trends enable designers to predict the consumer preferences of future market as well as the demands of present market by informing directions of the consumer’s pursuance as an individual and as a group. Study on trends by utilized to designers who propose new products to predict the preferences of the consumers for the future. In order to utilize trends more practically to predict consumer behaviors. Designers are required to be able to read the big flow by distinguishing the experiences that can grow into major trends from the ordinaries that we face each day. The mega trend affects consumer preference for a long period is not easy to distinguish between the major and other minor trends which leave only negligible effects and phase out soon. For such reason, many companies use information provided by organizations that are specialized in trend prediction. They provide sustainable trends to companies worldwide that are extracted from a lot of information, by their experiences over 3 decades. Also, their role is standing out, as the importance of the trend being recognized increasingly. Thus, the study intended to resolve the doubtfulness on "why agencies of trend prediction are necessary" by providing clea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role of trend specialized agencies. By such base, this study anticipate to acquire effective observation method to read out major trend by identifying common elements to predict major trends by selecting agencies that are specialized in design & color trends. In addition, the research is expected to deduce the differentiated viewpoints and characteristics in each agency with the keywords that is proposed by seasons. Ultimately, this study purported to provide method to predicting the directions of trends by analyzing the seasonal keywords of trend agencies with the use of conflicting words extracted from the image scale. Analysis framework was established by using antithetical image words in image scale domain divided to 6 axes. By arranging the keywords in each agency, this study expects to find the image words that gather conspicuously. Result of such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ncept keywords by seasons are proposed by certain pattern within particular domain. This study intended to gain insight to read out the needs of future consumers in the complicated changes of market by giving observation methods and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the trend in certain pattern required for product development. Also this study purported to help designers propose differentiated design by creating unique mainstream through their own perspective to read out the future with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rend specialized agenc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서론 1 1.1.연구의 의의 및 목적 1 1.2.연구방법 및 내용 3 1.3.연구의 범위와 및 한계점 6 2.트렌드 전문기관의 현황 및 분류 7 2.1.트렌드 전문기관의 개념 7 2.2.트렌드 전문기관의 필요성과 역할 7 2.3.각 나라별 대표 트렌드 전문기관 9 2.3.1.국내 트렌드 전문기관 9 2.3.2.해외 트렌드 전문기관 10 2.4.트렌드 전문기관의 분류 13 2.4.1.사회 & 문화 트렌드 예측 전문기관 13 2.4.2.디자인 & 칼라 트렌드 예측 전문기관 16 3.디자인 & 칼라 트렌드 전문기관의 트렌드 예측 방법 19 3.1.기관별 트렌드 예측 방법 19 3.2.기관별 트렌드 예측의 공통 프로세스 파악 33 4.기관별 트렌드 제안 키워드의 특징 34 4.1.기관별 트렌드 제안 키워드 34 4.2.트렌드 제안 키워드 특징 파악을 위한 분석의 툴(Tool)도출 36 4.3.기관별 트렌드 제안 키워드의 분석 툴(Tool)적용 42 4.4.기관별 트렌드 제안 키워드의 분석 결과 47 5.트렌드 순환 구조 55 5.1.디자인 & 칼라 트렌드 전문기관의 공통 제안 키워드 도출 55 5.2.트렌드 순환 구조 58 6.사례 연구 :제품디자인의 메가트렌드 적용 사례 59 6.1.내츄럴 켄셉의 제품 디자인 59 6.1.1.연구 사례 59 6.1.2.제품 사례 61 6.2.감성적 컨셉의 제품 디자인 63 6.2.1.연구 사례 64 6.2.2.제품 사례 65 7.결론 및 제언 68 참고문헌 72 ABSTRACT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9064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디자인 & 칼라 트렌드 전문기관의 제안 키워드 분석을 통한 트렌드 순환 구조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tructure of Trend Circulation by Analyzing Keywords from Design & Color Specialized Agencies-
dc.creator.othernameLim, Eun-young-
dc.format.pagex,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