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재경-
dc.contributor.author김경미-
dc.creator김경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4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8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5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851-
dc.description.abstract환경 색채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좀 더 좋은 환경 색채의 유지 관리 문제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건축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재도장 시장의 가장 큰 문제점은 컬러구현과 탈변색 현상이다. 통상적으로 도심내의 건축물은 4∼5년을 주기로 재도장을 실시한다. 하지만 해안지역의 건축물은 자연적, 기후적 조건으로 빨리 부식되고 탈변색되어 2∼3년에 한 번씩 재 도장을 하여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컬러별 탈변색시 내구력의 차이로 탈변색의 시간차가 달라 문제시 되고 있다. 아직까지 기존의 컬러별 탈변색 차이에 따른 연구가 미흡하여 컬러별 도장의 지속력을 고려하지 않고 환경 색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곧 컬러별 탈변색의 시간차로 몇 년 후 보기 흉한 외장 색채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환경색채 제안시 컬러별 탈변색의 차이를 극소화 시켜 개선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안지역의 주거지역, 공업지역, 상업지역으로 나누어 대상지 주변의 환경조사와 컬러분포도를 분석하여 대표컬러를 선정하였다. 이 대표컬러들의 시편들을 제작하여 실험 장비를 통한 객관적 수치와 육안 검사를 병행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컬러별 시간차 탈변색의 정도 연구에 대한 결과는 보라(Purple)계열의 컬러가 가장 큰 탈변색차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안료의 영향이 큰 것으로 밝혀졌으며 무기안료의 조색제가 많을수록 탈변색의 정도가 낮았고 유기안료의 조색제 배합이 많을수록 탈변색의 정도가 심하였다. 빨강(RED)계열의 컬러와 파랑(Blue)계열의 컬러가 탈변색 현상이 심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로 빨강(RED)과 파랑(Blue)의 혼합색인 보라(Purple)계열의 컬러들이 가장 탈변색이 심한 컬러로 나타났다. 둘째. 염해성 실험은 백화현상에 의해서 컬러가 뿌옇게 변색되는 현상이 많이 보여졌다. 보라(Purple)계열의 컬러가 가장 탈변색차가 심하였으며 짙은 색 계열 일수록 탈변색차의 정도가 심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파랑(Blue)계열의 컬러들이 빨강(RED)계열의 컬러들 보다 탈변색 정도가 더 심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해안지역의 건축물의 도장색채가 지속성을 가지면서 미적으로도 주변 자연경관과 잘 어우러지는 배색 color guideline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2가지 제안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탈변색이 적게 일어나는 컬러톤으로 Color배색 guideline을 제안하였다. 대부분 유기안료는 적고 무기안료가 많이 배합된 컬러들로 주조색, 보조색은 8전후의 중명도, 2이하의 저채도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탈변색이 적은 주조색과 보조색의 사용을 권장하고 강조색은 주변환경과 어울리는 자유로운 컬러를 사용하되 그 범위를 전체면적의 10∼20%를 넘지 않도록 제안한다. 본 논문은 건물외장의 색채환경 개선에 기여하고자 보다 체계적인 탈변색 현상의 분석과 색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료는 국내 환경색채 발전에 기여하고 환경 색채 디자인의 가치를 한층 높여 주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본 연구 개발을 바탕으로 향후 지속적인 관심과 체계적인 리뉴얼 및 심도 있는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Maintaining good environmental color became an important issue with the emergence of the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color. The biggest problems in the repainting market, which takes up the biggest proportion in construction market, are color realization and decolorization. Normally, buildings in the city are repainted every 4 or 5 years. However, the buildings in costal areas are more quickly corroded and decolorized due to environmental and climatic conditions, so they have to be repainted every 2 to 3 years. In addition, the time difference in decolorization of each color varies as well because of the different durability.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on the decolorization of each color, and therefore, so far, the environmental color has been provided without considering the durability of the paint. This has resulted in the exterior colors that look bad after a few years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decolorization.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inimize and improve such difference when suggesting environmental color. For the research, main colors were selected by researching the environment of the selected residential, industrial, and commercial districts in the coastal area and analyzing the color distribution chart. The samples of these main colors were studied based on objective values using test equipment and naked-eye examin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tudy on the level of decolorization of each color according to the time, purple family colors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 This result was due to the pigment, and more mixed colors of inorganic pigments meant lower decolorization, whereas more mixed colors in organic pigment increased decolorization. Red and blue family colors showed severe decolorization. This shows that the purple family colors have the most severe decolorization as it is a mixture of red and blue. Secondly, in experiment on chloride-induced corrosion,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 color became frosty because of whitening phenomenon. Purple family colors showed the biggest decolorization, and darker colors showed more severe difference. In this experiment, blue family colors had more decolorization than red family colors. Based on these results, a color guideline was made to suggest colors that will last long and also sui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well for the buildings on coastal areas. The strategies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lor arrangement guideline was based on colors that have little decolorization. Most of these colors have little organic pigment and much inorganic ones, with the dominant colors and assort colors having mid-range brightness around 8 and low chroma of less than 2. Secondly, dominant and assort colors that have little decolorization are recommended, and for accent color, any color that suits the surroundings but its dimension should not exceed 10-20% of the whole dimension. This research focused on systematic analysis of decolorization and necessity of color measurement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nvironmental color of the building exteriors. Thu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the value of environmental color design in South Korea. It is deemed that there should be continuous attention to and research on systematic renewal of the research resul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연구의 배경과 목적 1 B.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C.연구의 한계성 5 II.이론적 배경 7 A.안료에 대한 이해 7 B.염해의 요인 및 메커니즘 13 1.염해의 정의 13 2.염해의 메커니즘 14 C.비래염분에 의한 외장도료 decolor의 일반적 현상 15 III.해안지역의 지역조건에 따른 decolor현상 조사 19 A.해안지역의 지역적,기후적 특성 19 B.해안지역의 대상지 선정 및 decolor현상 조사 21 1.주거지역 22 2.공단지역 23 3.상업지역 24 IV.컬러별 도료 색의 시간차 탈색도 실험 및 분석 결과 25 A.도료 색의 컬러별 색채샘플 제작 25 B.색상별 시간차 탈변색정도의 실험 27 C.색상별 도료의 탈변색도 분석 결과 30 1.현황분석1 31 2.현황분석2 38 V.탈변색에 따른 배색colorguideline 41 A.탈지수에 따른 배색colorguideline1 41 1.주거지역 42 2.공단지역 43 3.상업지역 45 B.탈지수에 따른 배색colorguideline2 46 1.주거지역 47 2.공단지역 48 3.상업지역 49 VI.결론 51 A.연구결과의 요약 및 제한점 51 참고문헌 54 부록 56 ABSTRACT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716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외장 색채의 탈변색(decolor)현상 경감을 위한 배색 guideline-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해안지역의 콘크리트 건축물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guideline for the color harmony to reduce decolorization of the exterior: Focused on concrete buildings on coastal areas-
dc.creator.othernameKim, Kyoung Mi-
dc.format.pageix,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