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3 Download: 0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을 위한 음악 활용 연구

Title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을 위한 음악 활용 연구
Other Titles
Use of Music For Music Therapist for Self-care: Qualitative Research using Grounded Theory Analysis
Authors
권은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music therapist care for themselves through music experience. To explore the music therapist's self-car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used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 Eleven Korean music therapists who were under the internship program in graduate school or obtained master's degree courses participated. Eleven music therapists who were 26-38 years old with 1-10 years of professional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in depth interview and they were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Data were categorized into 75 concepts, 27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through open coding. Next, axial coding led the paradigm model with causal condition, contextual condition, central phenomenon,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intervening condition, and consequence. First, causal condition was 'the state of internal conflict'. And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showed inner needs on musical behavior' and 'external factors'. Central phenomenon was 'taking pleasure in musicing' with the following qualities: commitment to music, free from other's evaluation, nonverbal communication with others or self, and enjoyment in music making.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o deal with 'taking pleasure in musicing' were 'musical practice form', 'actional aspect', and 'situational condition'. These strategies were facilitated by intervening conditions with 'personal factors', 'circumstance variables', and 'relationship with music'. Finally, 'reinforce empowerment as a therapist' and 'getting vitality in life' were induced as the consequences. On the other hand, process of music therapist's self-care in music experience has 3 stages: 'awareness stage', 'attunement stage', and 'recovery stage'. In awareness stage music therapists perceived their internal conflicts like stress, negative emotions and psychological and physical burn out. To get over the internal conflict state some attempts occurred in the attunement stage. Especially, in this stage music therapists adjusted their mood and energy through commitment in their music experience. The last, in recovery stage included emotional support and recharge energy affected well-being as a human as well as a therapist. And the core category which integrate all concepts and categories and explain the relations was 'to adjust emotion and energy by immersed in musical behavior'.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understanding one's self-car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therapist. Results also showed that their needs occurred at the various levels of one's emotional, psychological, physiological, spiritual and interpersonal domain. The analyses showed that for one's self -care use of music, they had specific needs for reaching our for the music.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at other music therapists reflect music application for self-care and experience the power of music in their life.;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사의 음악을 활용한 자기 돌봄의 과정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이라는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이자 현상에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서 자료 수집과 분석에 체계적인 절차를 제공하는 근거이론 접근 방식을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소재 대학원 인턴쉽 과정에 재학 중이거나 석사 과정 수료 이상의 학력을 갖춘 음악치료사 11명으로 평균 나이 31세, 평균 임상경력은 3년이었다. 자료 수집은 참여자를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지에 따라 약 60분간 인터뷰를 진행하여 이루어졌다. 근거이론의 기본적인 분석과정에 따라 개방 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을 실시한 결과, 75개의 개념과 27개의 하위 범주, 그리고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각 범주는 패러다임 모형에 의해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심현상, 작용/상호작용 전략, 결과로 연결 지어졌고, 과정 분석을 통해 상태 지각 단계, 조율 단계, 회복 단계로 나뉘었다. 또한 모든 범주들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핵심범주는 '음악적 행위에 몰입하여 감정과 에너지를 조절하기'로 밝혀졌다. 연구 결과, 음악치료사는 내적 갈등상태에 놓였을 때 자기 돌봄에 대한 필요를 인식하였고, 이를 회복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음악 경험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음악적 행위에 몰입하여 감정과 에너지를 조절하기'로 정의된 음악치료사가 음악으로 자신을 돌보는 과정에는 몰입과 자유, 소통, 그리고 즐거움이라는 특징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자기 돌봄을 위한 음악 경험은 한 개인으로서 정서적 지지를 얻고, 에너지를 충전하여 더 나은 삶을 살아가도록 하였고, 음악의 치유적인 힘에 대한 경험을 통해 치료사로서 역량을 강화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음악치료사가 인식하는 내적 필요는 정서적, 정신적, 신체적, 영적인 차원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며, 이를 음악으로 돌봄으로써 부정적 정서를 배출하고, 주의를 환기시키며, 위로와 공감의 경험을 통해 내면의 욕구를 충족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음악치료사의 경험에 심층적으로 접근하여 자기 돌봄이라는 현상을 이해할 수 있었고, 음악을 활용한 자기 돌봄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결과를 이론적인 틀 안에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