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4 Download: 0

현장체험학습을 통한 지역성 함양 교육 연구

Title
현장체험학습을 통한 지역성 함양 교육 연구
Other Titles
Educational Research for Fostering Locality through the Field Trip : the Case Study of Goyang Flower Exhibition
Authors
안자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민
Abstract
지역성 함양은 지리교육의 본질적인 목적 중의 하나이며 이는 특히 지역지리 교육을 통하여 도달할 수 있다. 하지만 교육과정의 개정으로 현행 중학교 1학년 사회과의 교과서 내용은 주제 중심의 계통지리 체계로 구성되어 있어 지역지리학습의 기회가 적다. 현행 중학교 1학년 사회과에서 ‘지역’, ‘지역성’과 가장 관련이 깊은 단원은 Ⅳ. 지역마다 다른 문화 단원의 지역 축제와 관련된 부분이다. 축제의 전통적인 기원은 종교의례와 관련된 것이 많았지만 현대의 지역 축제는 많은 사람들이 함께 즐기는 놀이로서의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지역 축제는 지역성을 반영하기 때문에 지리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며 ‘놀이’로서의 기능은 학습자에게 흥미와 호기심을 불러일으켜 학습동기를 유발하기 때문에 지리교육소재로서 매우 적합하고 교육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 지역축제는 일반적으로 지역성을 나타내는 소재를 축제의 주제로 구성하여 지역 경제의 활성화와 지역의 이미지 제고, 지역 주민의 공동체 의식의 강화 등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지역 축제는 1995년 지방자치제도의 실시 이후 개최되는 지역 축제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매년 700개 이상의 지역 축제가 장소마케팅의 일환으로 전국 각지에서 개최되고 있다. 따라서 지역 축제는 전 국민이 거주하는 지역의 인근 지역에서 1년 중에 한 번은 개최될 만큼 지리적으로 분산하여 분포하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지역의 특성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좋은 지리교육소재이다. 또한 현대의 세계화시대에 지역만의 고유한 특성이 가장 세계적인 특성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세계화시대에 적합한 지리교육소재이기도 하다. 이러한 지역 축제를 지리교육의 목적에 부합하게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지역 축제에 직접 참여하여 현장체험학습을 하는 것이다. 지역의 특성에 대한 교육은 교실의 수업에서도 가능하지만 지역 축제에 직접 참여하여 경험함으로써 얻는 지식은 교실에서 얻을 수 있는 지리적 지적 개념과는 다른 지식이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서 일상생활과 관련된 개인지리(private geography)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 축제의 현장체험학습을 통하여 학습자는 지역의 특성에 대한 학습뿐만 아니라 지역에 대한 장소감(sense of place)과 애향심을 고취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 하에 본 연구에서는 교실에서의 지역에 대한 강의식 수업과 지역 축제를 활용한 현장체험학습을 하였을 경우 두 실험학급 간에 지역성 함양과 장소감 형성 등의 측면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중학교 1학년 사회에서 지역성 함양과 관련된 단원인 Ⅳ. 지역마다 다른 문화 단원의 축제에 관련된 부분이 교육과정의 목표에 부합하게 지역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축제의 지역적 분포에는 어떤 경향이 있는지를 중심으로 교과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사례조사는 고양시 소재 J중학교 1학년 2개(A,B)의 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A학급은 지역의 특성에 대한 수업을 교사가 재구성하여 강의식 수업을 전개하였으며 B학급은 지역의 특성에 대한 강의식 수업 이후에 2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고양시의 지역 축제인 고양 꽃 전시회에 참여하는 현장체험학습을 실시하였다. 두 학급 모두 사전 설문조사를 통하여 고양시에 대한 인지정도, 고양시에 대한 호감도 등을 조사하였으며 다수의 학생에게 지역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교수하기 위하여 강의식 수업을 전개하였다. B학급은 강의식 수업 후에 현장체험학습을 실시하였으며 현장체험학습의 주된 활동은 화훼농민과 관람객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활동이었다. 인터뷰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는 고양시의 특성에 대해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인의 의견을 듣는 과정에서 자신만의 새로운 고양시에 대한 지역성과 장소감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양시의 지역성 함양에 대한 인지적 영역의 학습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험학급 모두 고양시에 대한 형성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사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고양시에 대한 인지도와 호감도에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장체험학습을 실시한 학생 중 5명을 선별하여 가설인 현장체험학습이 지역성 함양과 장소감, 애향심 고취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심층면접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분석결과 해외 축제를 국내 축제보다 비중있게 다루었으며 특히 해외 축제 중에서도 유럽의 축제가 집중 분포하였다. 축제의 내용 구성에 있어서도 백과사전식 나열구성으로 흥미를 떨어뜨리고 축제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사진으로 구성되어 지역성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 둘째, 지역에 대한 강의식 수업과 현장체험학습을 실시하여 비교한 결과 지역성의 함양 정도에 대한 인지적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장소감 형성, 애향심 고취와 같은 정의적 영역에서는 현장체험학습을 실시한 학습자에게서 높은 만족감과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는 지역축제를 활용한 현장체험학습 활동 중 인터뷰 과정을 통하여 기존에 지니고 있던 고양시에 대한 인식 위에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습자 개개인의 개인지리를 형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To foster the geographical locality is one of the essential purpose of geographical education, particularly through the education of regional geography, which can be reached. However, in consequence of the revision of the course, the current social studies textbooks of 1st grades in middle school consist of a systematic geographic area of subject-oriented system, which gives less chance of learning regional geography. In the current 1st grade social studies, the most relevant section to 'local' and 'locality' is the section, 'Ⅳ. The Different Culture of Each Region' which is related to local festival. The traditional origins of the festival is associated with a lot of religious rites, but the modern local festival has been highlighted as a play to enjoy fun with a lot of people. Because the local festival reflects locality of geographic area, it is in accord with the purposes of geographical education. Therefore, the function as a 'play' increases interest and curiosity of the learners and motivate their learning. For this reason, it has educational implications as a very suitable geographical educational material. The local festival typically is composed of the theme based on subject matters represented the locality and aims to enhance the activation of the local economy, improve the region's image, and strengthen a sense of community of local residents. In addition, the number of local festivals in Korea since the implementation of local government system in 1995 has have explosive growth and more than 700 local festivals have been held each year as a part of the place marketing across the country. Therefore, local festivals are good subject matters for learners to learn about the character of the area in geographical education because the local festivals are held once a year in the vicinity where the entire nation live. Also in the modern era of globalization, they are suitable for the age of globalization because the intrinsic feature of the local area may be the world. The best way to make the best use of purpose of these local festivals in geographical education is that you can participate directly in the local festival scene for the hands-on learning. Education for the character of the area can be obtained from not only the classroom but also participation directly in local festivals, and the knowledge gained by experience is different from geographic knowledge of the intellectual concepts because the private geography can be formed through this experience of daily life. Under the hypothesis that learners would inspire the sense of place and the local patriotism as well as learn about the character of the area throughout the field of experiential learning of local festivals,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 in terms of cultivating locality and shaping sense of place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classes, that is, classroom lessons of the instructor-led and on-site learning experience utilizing local festivals. In addition, the study analysed textbooks to find out if in 1st grade social studies, the section, 'Ⅳ. Each region of a different culture' relating to foster locality, especially the part of the local festival, reflects that locality to meet the goals of this course, and if the festival's regional distribution has any trend. In case studies for this research, 1st graders from J middle school in Goyang were targets and 2 classes of A and B were conducted in the classroom. In A class, classroom lessons of the instructor-led about the nature of the area were arranged by a teacher after reconstructing. And in B class, 28 students participated in field trip to the local festival in Goyang Flower Exhibition since classroom lessons of the instructor-led about the nature of the area Through the pre-survey of both, the study investigated the level of awareness of Goyang and a good feeling toward Goyang, and classroom lessons of the instructor-led were arranged with a large number of students to instruct the character of the area effectively. In B class after this lesson, on-site learning experience was conducted and the main activity of this field trip was an interview with flower farmers and visitors to the Flower Exhibition. Through the interview process, learners could lear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Goyang City, but also form their own locality and the sense of place in the process of listening to others' opinions. In order to determine learning effect about the cognitive areas of the locality of Goyang, both experimental classes took formative assessment about Goyang. After that, all post-survey helped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re were any favorabl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Goyang a good feeling toward Goyang. Final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five students among students who carried out on-site learning experience, the study examined if field trip had any effect on fostering locality, the sense of place, and the local patriotis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textbook analysis, international festivals are covered more heavily than national festival, especially in Europe among international festivals. The contents of festivals listed encyclopedically drop interest, and brief introduction and pictures bring difficulties for learners to identify the locality. Seco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ith the instructor-led classes and field experience in the area, ther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gnitive area of fostering locality. However, in the affective area such as the formation of sense of place and the local patriotism, the students accomplishing on-site learning experience showed a high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Third, it can be seen that learners formed the individual's private geography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s over awareness of Goyang which they already had, through the interview process in field trip experience utilizing the local festiv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