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9 Download: 0

지리 수업에 활용 가능한 시뮬레이션 게임의 적용과 효과

Title
지리 수업에 활용 가능한 시뮬레이션 게임의 적용과 효과
Other Titles
Effects of Developing and Applying a Teaching Simulation Games
Authors
박현경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종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ffects of developing and applying a teaching simulation game which can be utilized in a geography instruction. The expected effects of applying the simulation game are as follows. First, while students perform or experience other person's duties, the student's comprehension capability about the situation will be enhanced. Second, when the simulation game is utilized in a geography instruction, the student's interest in and devotion to the lesson are shown to be high.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we analyze results produced from the ex-ant· ex-post evaluations, interview and surve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rrange the definition and type of games, of which utilization can be made in a lesson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Additionally, we prepare cases of simulation game, which can be utilized in a geography instruction, and its educational effect. Two teaching simulation games,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Chapter V. Regional Development & Environmental Conservation of a revised textbook for 10th grade, are developed with reference to literature studies so that they may be utilized in the group activities. In this study, some experiments are carried out with 72 students of 2 classes in the 1st grade of S high school, which are resided in Suwon. We analyze both the enhancement of the student's comprehension capability about the situation and the raise of the student's interest and devotion. Ex-ant· ex-post evaluations on the teaching simulation game are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student's comprehension capability about the situation. After reviewing the evaluation results prepared by the students, we select two groups which are consisted of 1 group ranked the top and 1 group ranked top 6 in the teaching simulation game and carry out additional interview. The interview result is utilized as a data to help to understand some parts for which some supplementary explanations are considered to be necessary during the analysis of the ex-ant· ex-post evaluations. It is carried out in the view of variety and appropriateness to analyze result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whether the student's comprehension capability about the situation is enhanced with the teaching simulation game. The variety is divided according to its level by the application of Byran(2003)'s complexity level and the appropriateness is divided by whether or not the student's evaluation results are coincidental to the teaching objective.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whether the students are participated in the teaching simulation game with their interest and devotion, the survey questions deemed to be suitable for this study are selected among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1985)'s examination sheet for student's attitude and the devotion sheet of Im Bok Suk and Yi Cheol Kang(2007) and then the survey is carried out.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for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seems that the teaching simulation game helps to enhance the student's comprehension capability about the situation presented in the game. Since the students are devoted to the situation by experiencing the situation, which they think simply at ordinary times and don't try to understand, through the teaching simulation game, it is seemed through this experiment that their comprehension capability about the situation is changed. In this study, it is understood that the student's viewing angle about the situation is deeper and more various after performing the game than before carrying out the simulation game. Second, the teaching simulation game may be a method to make the students induced their interest in the lesson and devoted to the lesson. Even the students, which assume an indifferent attitude toward a lesson, are entirely participated in the teaching simulation game, and it is known through th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lesson that most of the students are interested in the lesson. It may be grasped through the results of the survey sheet that the students are interested in the teaching simulation game. This study proves through the experiment Douglas(2010)' assertion, in which the student's intuitional comprehension capability will be enhanced because the teaching simulation game is organized so as to make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situation, and Walford(1997)'s opinion, in which the student's comprehension capability to grasp and understand other person's situation and environment may be enhanced through the teaching simulation game and then it is concluded that the simulation game make the student's comprehension capability about the situation enhanced. Further, it can support through the experiment Yeon Ok Kim(2003)'s assertion, in which, through the simulation game, the students are interested in the lesson subject and are active and a large number of students ar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lesson.;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 수업을 개발하여 적용하였을 때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시뮬레이션 게임을 적용하였을 때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게임을 통해 타인의 임무를 수행하거나 체험하는 과정에서 상황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된다. 둘째, 지리 수업에 시뮬레이션 게임을 활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흥미와 몰입의 정도가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 사후 평가, 인터뷰 그리고 설문을 통해 나온 결과를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선행 연구를 참고로 수업에 활용 가능한 게임의 정의와, 게임 의 종류를 정리하였고, 본 연구에서 사용할 시뮬레이션 게임의 정의, 교육적 활용, 지리 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의 사례와 교육적 효과도 정리하였다. 문헌 연구를 참고로 10학년 개정 교과서의 Ⅴ. 지역 개발과 환경 보전 단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 수업을 2가지를 조별 활동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수원에 거주하는 S고 1학년 2개 학급 72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상황의 이해도 향상과 흥미도, 몰입도의 제고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상황에 대한 이해도 향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게임 수업에 대해 사전 평가와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이 작성한 평가 결과를 분석한 후 시뮬레이션 게임 수업에서 1등을 한 1개 조와 6등을 한 1개 조를 선정하여 추가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결과는 사전, 사후 평가 결과를 분석하면서 보충 설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였다. 학생들이 시뮬레이션 게임 수업으로 인해 상황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되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결과 분석은 다양성과 타당성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다양성은 Bryan(2003)의 복합성 수준을 응용하여 다양성의 수준(새로운 의견, 표면적 의견)으로 나누었고, 타당성은 학생들의 평가 결과가 수업 목표에 부합한 의견이었는지 여부로 구분하였다. 학생들이 시뮬레이션 게임 수업에 흥미를 갖고 몰입하여 참여하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한국교육개발원(1985)의 학습자 태도 검사지와 석임복, 강이철(2007)의 몰입도 검사지 중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을 설문 문항으로 선정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뮬레이션 게임 수업은 게임에 제시된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본 실험을 통해 학생들이 평소에 단순하게 생각했고, 미처 이해하려 하지 않았던 상황들을 시뮬레이션 게임 수업을 통해 경험하면서 그 상황에 몰입하였기 때문에 상황을 이해하려는 태도에 변화가 생긴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시뮬레이션 게임을 하기 전보다 상황을 보는 시각이 심층적이고 다양해졌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시뮬레이션 게임 수업은 학생들에게 수업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고 수업에 몰입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평소 수업에 방관적인 태도를 보이던 학생들도 모두 시뮬레이션 게임 수업에 참여하였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통해 수업에 흥미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이 시뮬레이션 게임 수업에 대해 흥미를 갖고 있음은 설문지의 결과를 통해서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게임 수업은 학생들이 상황을 체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황에 대해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될 것이라는 Douglas(2010)의 주장과 시뮬레이션 게임 수업을 통해 다른 사람의 상황과 환경을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Walford(1997)의 의견을 실험을 통해 입증하여 시뮬레이션 게임은 학생들의 상황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킨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학생들이 시뮬레이션 게임을 통해 학습 주제에 흥미를 갖고, 주체적으로 활동하게 되며, 다수의 학습자들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방법이라는 김연옥(2003)의 주장을 실험을 통해 뒷받침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지리 수업에 활용 가능한 시뮬레이션 게임 중 2가지를 선정하여, 수원에 있는 남자 고등학교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연구자 본인이 직접 수업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다른 교사의 수업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올 것이라는 일반화가 어려우며, 실험 대상은 남학생만 72명이었는데, 남학생들이 평소 게임이라는 소재에 높은 흥미를 보인다는 점이 시뮬레이션 게임 수업의 흥미와 몰입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과 결과를 바탕으로 지리 시뮬레이션 게임의 개발과 적용 시 유의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에게 지식만 전달하는 수업만 하는 것 보다는 학생들이 지리 수업에 대한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게임을 수업에 적용해 볼 것을 권한다. 처음부터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니,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을 수업에 적용해보면서 방법과 요령을 익힐 필요가 있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게임을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 개발 할 경우엔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 우연의 요소, 즉 주사위나 복불복, 벌칙 카드 등의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둘째, 시뮬레이션 게임 수업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수업이 소란스러워지는 것은 당연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감안하고 옆 반 수업 담당 교사에게 사전에 양해를 구할 필요가 있다. 시뮬레이션 게임을 수업에 적용할 경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란스러운 것인지, 잡담을 하는 것인지 관찰하며 잡담을 줄이고 과제에 집중할 수 있도록 교실을 통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