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한선경-
dc.creator한선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0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4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017-
dc.description.abstractLanguage and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using it are important skills we utilize in our daily life. Howeve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have many problems in their communication due to their limited ability. Those students also rely on prelinguistic behavior(e.g., gesture, vocalization) to communicate. In addition,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have more breakdowns in communication and fewer strategies to repair it. Therefore, to facilitate much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for these students, a technique call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needs to be performed and trained among them. Three participants with nonverbal severe autism spectrum disorders involved in this study were students attending either a school for the disabled or a general high school for normal students. All of the three students recommended by a speech-language pathologist as meeting criteria were selected for participation. Once selected, the autism diagnosis for each student was confirmed by the investigator through the use of the CARS. They was also observed their communication for one hour and conducted on evaluation using the CSBS. This study used a single subject multiple-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to evaluated of effects of AAC intervention using tablet PC on aspects of communication of non-verbal students with severe autism spectrum disorders. For this study, baseline, intervention and generalization phases were included. The study was done using AAC intervention using a tablet PC at each participant’s home. To facilitate AAC intervention, a program called, ‘My Talkie’ developed in Korea was installed on the tablet PC. The activities that the participants performed were kitchen playing and making an ice cream cone using Play-Doh. AAC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20 times: 10 minutes of play time before each intervention was observed for comparison purposes. In generalization the activity was performed with each participant’s family members (the student’s mother, older sister, and younger sister), and each play was repeated three times. Generalization was performed for a total of three times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baseline for generalization. To find out whether any variation in participants’ communication aspects occurred, recorded videos were transcribed. Videotapes were analyzed and coded for communication initiations, breakdowns and repairs using 'Coding Interaction Cycle(Keen & Farrant, 2003). Initiations were further analyzed according to the type of communication mode(gesture, vocalization, AAC) u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AC intervention using the tablet PC which are widely used in home settings actually increased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initiations by students with nonverbal severe autism spectrum disorders. Secondly, AAC intervention using the tablet PC in home settings actually increased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reakdowns and repairs by students with nonverbal severe autism spectrum disorders. Thirdly, the changed aspects of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with autism could also be applied to their family members. Finally, AAC intervention also influenced communication modes among students with severe autism. The results show that in home settings, not only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initiations increased, but also did the frequency of repairs among students with severe autism. Furthermore, as time goes by, more frequent access to AAC and use of colloquial languages were also observed. Therefore, the fact that use of AAC intervention using tablet PC at home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among students with severe autism is of great significance.;언어 및 의사소통은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데 중요한 기술이지만, 자폐범주성장애학생들은 그들의 독특한 의사소통 특성상 다른 사람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많다.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들은 구어보다는 명확성이 떨어지는 제스처나 음성 같은 비언어적 수단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의사소통 상대방과 의사소통 단절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의사소통을 지속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들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 체계를 사용하여 아동의 말을 보완하거나 대체하여 의사소통 할 수 있는 방법을 훈련시켜야 한다. 많은 연구들을 통해 자폐 AAC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들에게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은 명백하기 때문에 더 나아가 AAC 중재를 통해 학생들이 더욱 가정이나 사회에 통합될 수 있고,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AAC 연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AAC 사용자들의 가정이나 지역사회 내에서의 AAC 중재와 장애인들만 사용하는 AAC 전용 기기가 아닌, 보편적 설계기반의 기기들을 이용한 AAC 중재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가장 자연스러운 환경인 가정환경에서 비장애인과 장애인들이 모두 쓸 수 있는 Tablet PC를 이용한 AAC 중재를 실시하여, 이러한 AAC 중재가 무발화 중도 자폐범주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 시도(initiation)와 의사소통 단절(breakdown)시 복구(repair) 빈도, 그리고 의사소통 시도 양식 체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 참여자는 모두 서울시에 있는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에 다니고 있는 학령기 무발화 중도 자폐범주성장애학생 3명이며, 연구 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로 예비관찰, 기초선, 중재, 일반화로 진행되었다. AAC 환경과 도구로는 참여 학생의 가정에서 Tablet PC를 이용하여 AAC 중재를 실시하였다. Tablet PC를 이용한 AAC 중재는 손가락으로 터치가 가능한 Tablet PC에 지식경제부 산하 ‘국민편익증진 기술개발사업(Quality of Life Technology: QoLT)’사업과제인 한국형 의사소통 콘텐츠 및 프로토콜로서 음성합성 기능을 가진 AAC 프로그램 ‘마이토키(가칭)’를 탑재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을 위한 활동은 참여 학생의 선호도 조사 후, 주방 놀이와 플레이도우로 아이스크림 만들기 활동이 선정되었다. 기초선은 총 3회기 동안 이루어졌고, 일반화 기초선을 위해 각 참여 학생의 가족 구성원(학생의 어머니, 누나, 여동생)과 이루어졌다. AAC 중재는 총 20회기 동안 실시되었고 각 중재 회기 전 10분 동안은 평가 시간으로 지난 중재 회기 때 실시하였던 놀이를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의사소통 양상 빈도를 측정하고 각 의사소통 시도 양식 체계 빈도를 측정하였다. 참여 학생의 의사소통 양상 및 시도 양식 체계 변화가 가족 구성원들과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에서도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대상 일반화를 실시하였다. 대상 일반화는 총 3회기 동안 이루어졌고 일반화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이루어졌다. 모든 회기의 평가과정은 녹화되었고 녹화된 자료를 보며 전사하였다. 전사 후, 비디오를 다시 보며 Keen 과 Farrant(2003)가 제시한 ‘상호작용 주기에서의 의사소통 코딩 절차’와 Golinkoff(1986)의 의사소통 양상코드를 사용하여 의사소통 시도와 복구 빈도를 측정하였고 의사소통 시도 양식 체계는 제스처, 발성과 AAC로 나누어 각 빈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환경에서 Tablet PC를 이용한 AAC중재는 무발화 중도 자폐범주성장애학생 중 두 학생의 의사소통 시도하기 빈도를 뚜렷한 추세로 증가시켰으나 한 학생의 의사소통 시도하기 빈도는 약간 완만한 추세로 증가시켰다. 둘째, 가정환경에서 Tablet PC를 이용한 AAC중재는 3명의 무발화 중도 자폐범주성장애학생 중 두 학생의 의사소통 복구 빈도를 증가시켰다. 셋째, 가정환경에서 Tablet PC를 이용한 AAC 중재는 자폐범주성학생의 의사소통 시도 양식 체계를 변화시켰는데, 세 학생의 변화된 의사소통 시도 양식 체계가 각각 달랐다. 중재 후 학생1은 주로 AAC 사용이 증가하였고, 제스처는 유지 되었으며, 학생2는 주로 발성 빈도가 증가하였고 AAC, 제스처, 발성등 다양한 양식 체계를 사용하였다. 학생 3은 중재 회기 후반에 AAC 체계 사용이 시작되는 추세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가정환경에서 Tablet PC를 이용한 AAC중재는 세 명의 무발화 중도 자폐범주성학생의 의사소통 시도를 증가시켰고, 두 학생의 의사소통 복구 빈도를 증가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 시도 양식 체계에서 AAC 사용과 발성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정환경에서 Tablet PC를 사용한 AAC 중재를 실시하여 무발화 중도 자폐범주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 시도와 복구 빈도에 긍정적 효과를 입증했다는 점, AAC 중재를 통해 가족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을 촉진하는데 효과가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6 C. 용어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A. 자폐 범주성 학생의 의사소통 9 B. 가정환경에서의 AAC 중재 17 C. 기술 발달과 AAC 20 Ⅲ. 연구 방법 23 A. 연구 참여자 23 B. 실험 환경 25 C. 실험 설계 및 절차 31 D. 자료 분석 방법 35 E. 자료의 처리 38 F. 신뢰도 40 G. 중재 충실도 42 H. 사회적 타당도 43 Ⅳ. 연구 결과 44 A. 의사소통 양상의 변화 44 B. 의사소통 시도와 복구 빈도의 일반화 51 C. 의사소통 시도 양식 체계의 변화 52 Ⅴ. 결론 및 논의 56 A. 의사소통 양상 56 B. 의사소통 시도 양식 체계 변화 64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6 참고문헌 67 부 록 84 Abstract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150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가정환경에서의 Tablet PC를 이용한 AAC 중재가 비구어 중도 자폐범주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 양상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AAC Intervention Using Tablet PC on Aspects of Communication of Non-Verbal Students with Severe Autism Spectrum Disorders-
dc.creator.othernameHan, Seon Kyoung-
dc.format.pagex,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