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0 Download: 0

상호작용촉진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취학전 뇌성마비아동의 말명료도 및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itle
상호작용촉진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취학전 뇌성마비아동의 말명료도 및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arent training program on speech intelligibility and communicative abilities of the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their mother
Authors
정필연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심현섭

임동선
Abstrac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rent training program that helps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their mother on speech intelligibility and communicative abilities. Four preschool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is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s; Child/mother interaction during the play was videotap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percentage of mother and children's communicative function, interaction and mother's optimal response were analyzed. And mother's utterances and MLU were analyzed. And children's speech intelligibility was examined via perceptual analysis of word and sentence stimulus. A total of 10 sessions, including group and individual sessions, were carried out. The group education session was taken 45 minutes, which included the lecture of strategies and practice. The individual session was taken for 20 minutes; a 10-minute video recording of a mother's play with her child, and a video feedback for another 10 minutes. In this study, the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performances of all the subjects were analyzed by repeated Wilcoxon signed rank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and their mother's communication function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interaction and the mother's optimal response. Children were more initiative, mothers are more responsive. (3) The mother's utterances and MLU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test. (4) Children's speech intelligibility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ord level.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parent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facilitati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communicative functions and mother's optimal response. Additionally the parent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to increase the children's speech intelligibility.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parent training program is effective and helpful both children and their mother in increasing their interaction, communicative skills and speech ability. Thus, parent training should be actively implemented in the field of speech-language clinics for better communicative outcome.;아동의 의사소통능력의 발달은 생애초기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시작된다. 어머니가 아동의 의사소통의도에 민감하게 반응해 주고 아동은 자신의 행동이 대화상대자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됨으로써 점점 더 능동적으로 상호작용을 하게 되면서 의사소통능력을 발달시켜 나가게 된다. 의사소통을 통해 또래와의 상호작용, 학습 및 사회적 적응능력들을 발달시켜 나가게 되는데 의사소통에서 어려움이 있게 되면 상호작용을 통한 여러 가지 기회가 제한을 받게 되기 때문에 상호작용능력을 촉진시켜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뇌성마비로 인한 말 산출기관의 운동성과 협응에서의 결함은 말명료도(speech intelligibility)에 영향을 주어 정확한 의사표현의 전달에 제한을 주게 된다. 또한 표정이나 다양한 제스처를 사용함에 있어서도 제약을 받게 되므로 대화상대자가 의사소통의도를 정확하게 해석하지 못하게 되어 원활한 의사소통을 방해하게 된다. 이러한 말과 의사소통에서의 어려움으로 인해 뇌성마비 아동은 부모와의 상호작용에서 정상아동과 차이를 나타낸다. 아동은 매우 수동적인 의사소통자 역할을 하는 반면 어머니는 주도적이고 지시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즉, 아동은 의사소통을 개시(initiation)하는 빈도가 어머니에 비해 매우 적고, 대화상대자의 요구에 따라 소극적으로 의사소통을 이어가는 반응을 주로 보인다. 이와는 반대로 어머니는 상호작용에서의 빈 공간을 질문과 요구하기로 채우면서 상호작용을 조절하고 통제하여 의사소통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뇌성마비아동과 어머니가 상호작용과정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대화상대자인 어머니를 중재과정에 포함시키는 부모교육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부모교육을 통해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을 변화시켜줌으로써 자연스러운 발화상황에서 의사소통을 촉진할 수 있고, 중재효과의 일반화를 도울 수 있기 때문에 중재과정에 부모교육을 도입하자는 제안이 자주 언급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비해 체계적인 부모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다른 장애군에 비해 뇌성마비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은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부모교육의 내용에 있어서도 뇌성마비아동의 신체적 특성과 말명료도 요인을 고려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취학전 뇌성마비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선행연구(Pennington et al., 2009)에서 사용한 부모교육프로그램과 함께 뇌성마비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전략을 함께 포함하여 부모교육을 실시한 후 아동과 어머니의 의사소통행동 및 상호작용과 아동의 말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수용언어연령이 생활연령범주에 해당하고, 단단어 이상의 표현언어를 산출하며 감각장애를 동반하지 않는 취학전 뇌성마비 아동 4명과 상호작용촉진과 관련된 부모교육을 받지 않은 아동의 어머니 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부모교육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집단프로그램 7회기와 비디오 피드백 3회기로 구성하였다. 집단프로그램은 강의, 연습 및 발표로 이루어졌고 소요시간은 약 45분정도였다. 부모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은 부모교육의 필요성, 뇌성마비의 특성 이해하기, 아이가 주도하게 하기, 아이의 주도를 따르기, 상호작용에서 주고받기, 상호작용에 언어 덧붙이기, 자세 바로 하기 등의 전략으로 구성하였다. 비디오 피드백은 아동과 어머니의 놀이상황을 10분간 녹화한 후 이전 시간에 배운 전략을 잘 적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해 주었다. 비디오피드백의 실시시간은 약 20분 정도였다. 부모교육이 끝난 후 아동과 어머니의 사전사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repeated 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여 아동과 어머니의 의사소통형태, 상호작용, 어머니의 최적반응, 아동의 말명료도 등에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기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은 정보요구하기, 사물/행동 요구하기와 정보제공하기가 증가하였고, 어머니는 사물/행동 요구하기가 감소하였다. 또한, 요구적-반응적으로 의사소통의 형태를 나누어서 분석한 결과 아동은 요구적 의사소통형태가 증가하였고, 어머니는 요구적 형태는 감소하고, 반응적 의사소통형태는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와 아동의 상호작용에서 아동은 개시반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는 개시의 비율은 감소하고, 반응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최적반응은 언어학적 연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본 연구에서도 부모교육을 통해 최적반응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 지지되었다. 넷째, 어머니의 발화량과 평균발화길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아동의 말명료도에서는 단어수준의 말명료도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부모교육 전에 비해 아동은 의사소통기능에서 요구하기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상호작용 개시의 비율이 높아졌으며 어머니는 보다 반응적으로 상호작용을 하여 부모교육을 통해 아동과 어머니의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교육을 통해 학습한 전략을 상호작용과정에 적용해 감으로써 어머니가 아동에게 반응할 기회를 제공해 주게 되면서 아동이 보다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머니의 변화를 통해 아동에게도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어머니의 언어학적 연결이 증가되어 최적반응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어머니가 아동에게 보다 적절한 언어자극을 더 많이 제공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어머니의 발화량과 평균발화길이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의사소통 시 어머니는 아동의 수준에 맞추어 언어자극을 제공해 준다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넷째, 아동의 말명료도에서는 단어수준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뇌성마비아동이라 하더라도 상지기능에 손상이 적은 경우 생활연령을 따라 음운발달이 이루어져 가고, 자세바로하기와 같은 전략이 말명료도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연구결과는 상호작용촉진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의사소통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뇌성마비아동의 의사소통행동과 말명료도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보다 적극적으로 부모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고 볼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