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현의-
dc.contributor.author이나빈-
dc.creator이나빈-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2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8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4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881-
dc.description.abstract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 of cognitive emotional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symptom (depression and anxiety), and tested the hypothesis that these relations would be mediated by resilience. A sample of 237 outpatient at Seoul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Beck depress inventory-second edition (BDI-II) and Trait Anxiety Inventory (TAI). This study adopted a two-dimensional conceptualization for CER(maladaptive and adaptive CER). Maladaptive CERs are included self-blame, blame others, rumination, catastrophizing, while adaptive CERs are includes acceptance , putting into perspective, positive refocusing, refocus on planning, positive reappraisal. The data was analyzed with Person's correlation, Path Analysis by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aladaptive CE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ymptom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but adaptive CERs was opposed it. Secondly, Results from mediate analyses supported the hypothesis showing that resili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CER and symptoms. Especially, resilience wa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maladaptive CER and symptoms, but it wa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adaptive CER and symptom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esilience's mediating effec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base mechan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ER and depressive & anxious symptom. And maladaptive CERs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 depression and anxiety, so treatment goal is to decrease using maladaptive CERs for a short period. On the other hand, adaptive CERs indirectly affect depression and anxiety through resilience level, so adaptive CERs intervention simultaneously performs with encouraging resilience intervention.;본 연구는 우울 및 불안장애 성인 환자의 심리증상에 영향을 주는 정서조절전략 개입의 치료 성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기능적 혹은 역기능적인 정서조절전략의 효과가 개인의 리질리언스 수준을 매개로 이루어지는지를 경험적으로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 대학병원 정신과 외래환자 250명을 대상으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척도, 리질리언스 척도, 우울 척도, 특성불안척도를 포함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총 250부의 설문자료 중에서 18세 이하의 어린이, 청소년 대상자와 결측치가 있는 자료를 제외한 237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고, 구조방정식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기능적 정서조절 전략을 사용하는 것은 높은 수준의 리질리언스, 낮은 수준의 심리증상과 관련 있었으며, 역으로 역기능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는 정도는 낮은 수준의 리질리언스와 높은 수준의 심리증상과 관련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 변인 간 상관 경향성을 보면 리질리언스는 역기능적 전략과의 부적 관계보다 기능적 전략들과의 정적 관계를 가지는 정도가 더욱 컸다. 두 번째 의미 있는 결과는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증상간의 관계에서 리질리언스가 유의하게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었다는 점이다. 특히 리질리언스는 역기능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증상 간 관계는 부분 매개한 반면, 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증상 간 관계를 완전매개하고 있었다. 이처럼 역기능적 정서조절전략이 우울 및 불안 증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이들 전략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으로도 충분히 심리증상이 야기될 수 있으며 간접적으로는 개인의 리질리언스 수준을 저하시켜 스트레스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고 견딜 수 있는 능력이 발휘되지 못하도록 방해하여 심리증상을 강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역으로 이들 전략들의 사용을 줄이는 것을 내담자의 치료목표로 정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말해준다. 한 편, 기능적 정서조절전략의 경우에는 정서조정전략과 심리증간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심리증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보다는 개인의 리질리언스 수준을 높임으로서 심리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고 여겨진다. 특히 예측변인보다는 매개변인에 초점을 두고 상담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보기 때문에 기능적 정서조절전략의 사용이 실제 증상 경감에 이르도록 하기 위해 리질리언스 증진 개입이 함께 요구된다는 점도 알 수 있다. 또한 치료자가 내담자에게 기능적 정서조절전략의 사용을 격려하기 위해서 반드시 내담자의 전반적인 강인성, 낙관성, 환경에 대한 통제감, 긍정적 대인관계 등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함께 강구해야 함을 말해준다. 치료자는 내담자에게 필요한 기술적인 대처전략을 습득시키는 것에만 초점을 두기보다는 강인한 내적 자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지지자의 역할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기능적이든 역기능적이든 정서조절전략과 우울 및 불안 증상간의 관계가 리질리언스를 매개로 성립한다는 점은 정서조절전략의 개입이 효과적인지 아닌지 여부를 가늠하기 위해 개인의 리질리언스 수준의 변화를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개인의 정서조절 전략을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치료적 성과를 가늠하기보다는 변화된 정서조절 전략이 실제 리질리언스를 강화하는지 혹은 충분히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치료과정 중에 점검하고 탐색하는 단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처럼 기능적, 역기능적 정서조절전략과 리질리언스 수준이 가지는 이중 경로에 따라 우울 및 불안 증상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다는 결과는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우울과 불안 증상과 맺는 관계의 기저 심리과정에 대한 이론을 세우고 검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상담개입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가설 4 II. 이론적 배경 5 A. 성인기 우울과 불안장애 5 B.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6 1. 정서조절 6 2.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7 3. 성인기 우울 및 불안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9 C. 리질리언스(Resilience) 11 1. 리질리언스 개념 11 2.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리질리언스 13 3. 우울 및 불안과 리질리언스의 관계 14 D.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에서 리질리언스의 매개효과 16 III. 연구방법 18 A. 연구 대상 18 B. 연구 도구 19 1. 리질리언스 19 2. 불안 20 3. 우울 21 4.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21 C. 연구 절차 22 D. 자료 분석 23 IV. 연구결과 24 A. 주요변인들의 평균 및 상관관계 24 1.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24 2.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26 B.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리질리언스의 매개효과 검증 28 1. 모형의 적합도 검증 28 2. 모형의 모수추정치 분석 30 V. 결론 및 제언 33 A. 결과 요약 및 논의 33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37 참고문헌 40 부록 47 Abstract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385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정신과 외래 성인 우울 및 불안 환자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증상 간 관계에서 리질리언스의 매개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al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symptom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psychiatric out-patients-
dc.creator.othernameLee, Na Bin-
dc.format.pageviii, 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