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희정-
dc.contributor.author양명재-
dc.creator양명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1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8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4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89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내재화 문제행동이 부적응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주요 소인이라는 임상적 관점에서 유아의 수줍음 기질, 인지능력,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위축 및 불안∙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의 인지능력을 통제한 뒤, 유아의 수줍음과 위축 및 불안∙우울의 관계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의하게 조절하는지 알아보았다.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만 2~3세 유아 104명(남: 50명, 여: 54명)을 대상으로 베일리 영유아발달평가(Korean-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Ⅱ)를 통해 인지능력을 측정하였고, 유아에 대한 기질, 문제행동,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로 구성된 어머니 보고형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아의 기질은 국내외의 관련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Caspi & Silva, 1995; Coplan, Prakash, O'Neil & Armer, 2004; Odehninkel, Hartman, Dewinter, Veenstra & Orml, 2004), Rothbart(2009)의 ECBQ-Short(Early Child Behavior Questionnaire-Short)의 하위요인들 중, 수줍음(shyness) 기질요인을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안지영(2001)의 어머니 양융행동 하위요인들 중, ‘적극적 참여’, ‘방임적 허용’ 2가지 요인을 통해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위축 및 불안∙우울은 오경자와 김영아(2008)의 K-CBCL 1.5-5의 내재화 문제행동 하위요인들 중, ‘위축’, ‘불안∙우울’ 척도를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및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수줍음, 인지능력, 어머니의 양육행동 하위변인, 유아의 위축 및 불안∙우울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유아의 수줍음은 위축 및 불안∙우울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유아의 인지능력과 위축 및 불안∙우울 간 관계는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한편, 어머니의 양육행동 하위변인 중, 적극적참여는 유아의 위축 및 불안∙우울과 부적으로, 방임적허용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위축과 불안∙우울과 기질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유아의 인지능력을 통제한 뒤, 유아의 수줍음과 어머니 양육행동의 상호작용 변인을 포함시켜 유아의 위축과 불안∙우울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양육행동 하위변인 중 적극적 참여는 위축과 우울∙불안에 대하여 수줍음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즉, 유아의 인지능력, 수줍음, 어머니의 적극적 참여 양육행동의 주효과 뿐 아니라, 수줍음과 적극적 참여 양육행동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이에 대해 도표와 단순주효과 분석을 통해 양육행동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어머니의 적극적 참여 양육행동이 낮을 경우에, 유아의 수줍음이 위축과 불안∙우울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만 2~3세 유아의 위축 및 불안∙우울 문제행동은 개인 특성인 수줍음 기질에 의해 유의하게 설명될 뿐 아니라,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의하여 그 관계가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위축 및 불안∙우울 문제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타고난 기질 뿐 아니라, 어머니 양육행동의 특성 및 양상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matters regarding the following; how a toddler’s shy temperament, cognitive ability and the way he/she was nurtured by their mothers affect the toddler’s level of withdrawal as well as anxiety and depression. The study was approached from a clinical point of view that a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a major predisposition of maladaptive behaviors.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the subject’s cognitive ability was controlled first. Then, any possibility of meaningful influence that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 would ha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ddler’s shyness, withdrawal as well as anxiety and depression was scrutinized. The subjects of this experiment consist of 104 children, 50 boys and 54 girls, at the age of 2~3 residing either Seoul or Kyungki province. Their cognitive ability was measured by Korean-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t-2. A survey was given out to mothers to gather information regarding the toddler’s temperament, problem behavior and the way they were nurtured. First, considering various works (Caspi & Silva, 1995; Coplan, Prakash, O’Neil & Armer, 2004; Odehninkel, Hartman, Dewinter, Veenstra & Orml, 2004), the toddler’s temperament was measured by ‘shyness’, one of the sub-factors of Rothbart(2009)’s ECBQ-Short(Early Child Behavior Questionnaire-Short). Then,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 were measured by ‘active involvement’ and ‘non-interventional allowance’, two sub-factors of parenting behaviors defined by Ahn jee young(2001). Lastly, the toddler’s level of withdrawal as well as anxiety and depression was measured by ‘withdrawal’ and ‘anxiety/depression’ which were the components of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defined by K-CBCL 1.5-5(Korea-Child Behavior Checklist 1.5-5). The results were evalua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nd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s such as a toddler’s shyness, cognitive ability, components of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the toddler’s level of withdrawal, anxiety and depression, the researcher found evidence of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oddler’s shyness and level of withdrawal, anxiety and depression whereas a negative correlation was witnessed between the toddler’s cognitive ability and the level of withdrawal, anxiety and depression. In addition, among the components of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 negative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active involvement and the level of withdrawal and anxiety/depression whereas a positive correlation was witnessed between non-interventional allowance and the level of withdrawal, anxiety and depression. Second, in order to figure out whether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 played a role in shaping the toddler’s level of withdrawal, anxiety and depression as well as temperam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which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level of withdrawal, anxiety and depression including the toddler’s shyness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s interactional variables was carried out after controlling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child. Active involvement, a component of parenting behaviors proved to have a similar interactional effect as shyness on the level of withdrawal, anxiety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not only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child, shyness and active involvement of the mother shared similar consequences of a parenting behavior but also did they have a similar effect. The moderation effect of a parenting behavior was further confirmed by follow-up analysis of graphs and simple main effect. As a result from this analysis, when the level of the mother’s active involvement was low, shyness of the child proved to be a meaningful indicator of the level of withdrawal, anxiety and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puts forward the following suggestion. Problem behavior derived from withdrawal, anxiety and depression of children aged between 2~3 can be explained by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shyness. Nevertheless, this correlation is influenced by the parenting behaviors of the mothers. Therefore, both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approaching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with withdrawal, anxiety and depre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5 A. 위축 및 불안우울의 개념과 특성 5 B. 유아의 수줍음과 위축 및 불안우울 간 관계 7 C. 유아의 인지능력과 위축 및 불안우울 간 관계 13 D.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위축 및 불안우울 간 관계 15 Ⅲ. 연구 방법 19 A. 연구 대상 19 B. 연구 도구 20 1. 유아의 수줍음 20 2. 유아의 위축 및 불안우울 21 3. 유아의 인지능력 22 4.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 23 C. 연구 절차 25 D. 자료 분석 25 Ⅳ. 연구 결과 27 A.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27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27 2. 주요 변인들 간 상관관계 분석 27 B. 유아의 수줍음, 위축 및 불안우울 간 관계에서 모 양육행동의 조절 효과 29 1. 유아의 수줍음, 위축 간 관계에서 모 양육행동의 조절효과 29 2. 유아의 수줍음, 불안우울 간 관계에서 모 양육행동의 조절효과 32 Ⅴ. 결론 및 제언 35 A. 결과 요약 및 논의 35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36 참고문헌 40 부록 51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567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아의 수줍음, 인지능력,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아의 위축 및 불안·우울 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양육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 among Shyness, Cognitive ability,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Withdrawal and Anxiety·Depression : Moderation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dc.creator.othernameYang, Myung Jae-
dc.format.pagex,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