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샛별-
dc.contributor.author한주연-
dc.creator한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0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2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4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265-
dc.description.abstractThis article perceiv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of art and society; therefore, it examines how occurring changes of Korean society for several decades affects the world of western classical music. Especially, this article observes that women majored in western classical music in the past were from the upper classes mostly and had images as good prospective brides. Also, it notices that the fact the women reproduced their classes by marriage has highly changed recently. As a result, this article researches that what social changes were around the world of western classical music firstly, and then it looks over how these changes affect the world of western classical music specially, social images, satisfaction of their majors, their classes and their professionalism for twenty years lately. The world of western classical music have changed by being affected with social changes such as increase of participation of women in public affairs, popularization of the western classical music, and changes of educational system of university. The increase of participation of women in public affairs changed a view of women hood from good wives and wise mothers to career women. This point lets women majored in western classical music desire of reproduction of their classes by success of their careers not by marriage. Consequently, the usefulness the western classical music provided women with image of good prospective bride lost its value, and this result caused decrease of satisfaction with the people majored in western classical music. Popularization of the western classical music extended an opportunity could learn that, so this point influenced diversity of classes of people majored in the western classical music. After comparing between possession of capitals of economy culture, society and classes, there are the results. Actually, the number of respondents from upper classes decreased the number of half of respondents in the past;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respondents from middle or even lower classes increased the number greatly. Therefore, this article noticed that the member of the western classical music varied from classes.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people majored in the western classical music from middle and lower classes changed not only their view of desires of participation in public affairs but also their professional consciousness. People’s responds of the motive of employment at work during the research period show that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people majored in the western classical music have changed intent to mone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article. However, the professionalism of the people majored in western classical music could not be realized because of the specificity of Korean western classical music field’s situation. The changes of educational system such as joint honors and minor opened the world of system can search a route to find other career for people majored in western classical music. The results of this article show that actually the people majored in the western classical music try to find other career fields through these educational systems. In this article, there are three significances. First, especially this article focused on the part of producer neglected even though it is special in the world of the western classical music not focused on educationally and socially. Second, this article did not study only one part among cultural subjects, society, produce, consumption. This article studied whole parts constitute of the world of western classical music by using cultural diamond model of Griswold. Finally, this article performed complementary study methodologically both quantitative study by using questionnaires and qualitative study by using in-depth interview.;본 논문은 예술세계가 사회와 맺고 있는 긴밀한 관계성에 착안하여, 지난 몇 십년간 한국 사회에서 일어난 사회적 변화들이 서양고전음악세계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본 논문은 과거 서양고전음악을 전공한 여성들이 대부분 상층계급 출신이었고, 좋은 신붓감으로서의 이미지를 가졌으며, 또 이를 바탕으로 결혼을 통해 그들의 계급을 재생산했다는 사실이 최근으로 오면서 크게 변화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서양고전음악세계를 둘러싼 사회적 변화들에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확인해 보고, 다음으로 이 같은 변화들이 서양고전음악세계, 특히 최근 20년 사이 대학에서 서양고전음악을 전공한 여성들의 사회적 이미지와 전공 만족도, 출신계급, 그리고 직업관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서양고전음악세계는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와 ‘서양고전음악의 대중화’, 그리고 ‘대학 학제의 변화’와 같은 사회적 변화들에 큰 영향을 받아 변화하였다.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는 성공적인 여성상을 현모양처에서 커리어우먼으로 바꾸어 놓았고, 이는 서양고전음악을 전공한 여성들로 하여금 더 이상 결혼을 통해서가 아닌 직업세계에서의 성공을 통해 그들의 계급을 재생산하려는 욕구를 갖게 하였다. 이에 따라 그 동안 서양고전음악 전공이 여성 전공자들에게 제공했던 ‘좋은 신붓감으로서의 이미지’라는 효용은 그 가치를 상실하였고, 이는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의 전공에 대한 낮은 만족도로 이어졌다. 한편, 서양고전음악의 대중화는 서양고전음악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다양한 계급 구성원들에게까지 확장시켜,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의 출신계급이 다양해지는데 영향을 주었다.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의 경제자본, 문화자본, 사회자본 보유 정도를 비교하여 그들의 출신 배경을 비교한 결과, 실제로 상층계급 출신 배경을 가진 응답자는 과거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반면, 중간계급 이하의 출신 배경을 가진 응답자는 과거에 비해 대폭 증가하여 서양고전음악세계의 구성원이 계급적인 측면에서 다양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간 및 하층계급 출신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의 이 같은 증가는, 앞서 살펴본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의 사회진출에 대한 전반적인 욕구 증가와 함께 이들의 직업관에 변화를 가져왔다. 조사 진행 당시 취업 상태에 있던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취업 동기에 대해 물어본 결과, ‘돈이 필요해서’와 같은 금전적인 이유가 과거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의 직업관이 보다 금전 지향적으로 바뀌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의 이러한 직업관은 음악가로 성공하기가 어려운 한국 서양고전음악계의 상황적 요건 및 음악전공이 갖는 특이성으로 인해 실현되기가 매우 어려운데, 복수전공 및 부전공 제도의 도입과 같은 대학 학제의 변화가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에게 다른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제도적 통로를 열어 주었고, 본 논문의 조사 결과, 실제로 많은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이 이 제도를 활용하여 서양고전음악세계가 아닌 다른 분야의 직업세계로 나아가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먼저, 그 동안 그 중요성과 특이성에도 불구하고 학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주목받지 못한 서양고전음악세계, 그 중에서도 특히 소외된 영역이었던 생산자의 영역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첫 번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논문은 예술세계를 구성하는 문화적 대상물, 사회, 생산, 소비 영역 중 어느 한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지 않고, 그리스올드(1986)에 의해 고안된 문화의 다이아몬드(cultural diamond) 모형을 사용하여 서양고전음악세계를 구성하는 전체 영역을 모두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두 번째 연구 의의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질문지법을 활용한 양적 연구와 심층 면접법을 통한 질적 연구를 모두 수행하여 방법론적으로 상호보완적인 연구를 수행했다는 세 번째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예술세계에 대한 이론적 접근 4 A. 예술세계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4 B. 문화의 다이아몬드 5 C. 한국 사회의 특이성 - 왜 서양고전음악분야인가 8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4 A. 연구문제와 연구내용 14 B. 연구방법 15 1. 연구절차 및 연구대상 15 2. 설문지 및 심층면접 내용 24 Ⅳ. 서양고전음악세계의 변화 26 A. 서양고전음악세계의 과거와 현재 26 B. 서양고전음악세계를 둘러싼 사회적 변화 28 1.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성공한 여성상의 변화 28 2. 서양고전음악의 대중화: 감상 및 교육기회의 확대 29 3. 대학 학제의 변화: 복수전공 및 부전공 제도의 도입 31 Ⅴ.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의 사회적 이미지와 전공 만족도의 변화 33 A.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 33 1.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 내부자 평가 35 2.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 외부자 평가 40 B.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의 전공 만족도 43 1. 자녀의 음악전공 희망여부 44 2. 삶에 대한 만족도 45 3. 연령별 전공 만족도 46 Ⅵ.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의 출신 배경 및 직업관의 변화 48 A.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의 출신 배경 48 1.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의 경제자본 50 2.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의 문화자본 58 3.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의 사회자본 62 B.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의 직업관 68 1. 취업 및 진로 변경 현황 68 2. 취업의 동기와 목적 74 Ⅶ. 결론 및 한계 80 A. 결론 80 B. 연구의 의의 및 한계 82 참고문헌 84 <부록 - 1> 설문지 88 ABSTRACT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426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문화생산의 관점에서 바라본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들의 변화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Changes of People Majored in Western Classical Music with the View of Culture Production-
dc.creator.othernameHan, Ju yeon-
dc.format.pageviii,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