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헌민-
dc.contributor.author박윤경-
dc.creator박윤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8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9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4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93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innovation capacity in the regions of Korea and examine empirically how regional innovative capacity affects a region's industrial developments. Among many areas of industries, this study focuses particularly on knowledge-based industry,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the outcome of innovation. Knowledge-based industry, which has been highly expected to be a new engine for regional growth, is closely related with innovation because it produces higher value added through innovation by using knowledge as main input. In this thesis the regional innovative capacity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hich are regional economic base, regional service environment and regional R&D resources. The outcome of innovation is defined as the performance and achievement of the knowledge-based industry. Using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years of 2000-2009 from 16 regions in Korea, the theoretical model used in this paper is tested in order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the regional innovative capacity and its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the knowledge-based industry.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are employed, using SPSS 18.0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d up as the following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regional innovation capacity and growth of knowledge-based industry is relatively high. Thus, the higher the regional innovative capacity, the higher is the growth of knowledge-based industry. Second, regional economic base plays a positive role in knowledge-based industry's growth. Especially, GRDP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ar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knowledge-based manufacturing industry. Income tax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Third, among the variables of regional service environment it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rate of internet usage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knowledge-based industry, especially the service industry. On the other hand the capacity of local government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Fourth, the regression analysis shows consistently that regional R&D resources are significant variable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graduate students in the region plays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R&D expenditure is positively related to knowledge-based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draws policy implic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knowledge-based industry by regional groups.;도시의 경쟁력 향상과 관련하여 최근에 특히 강조되는 것은 바로 ‘혁신’이다. 이는 지식기반경제로 이행하면서 경제성장을 위한 요소들이 변하였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경제성장 모델에서는 노동과 자본이 주요 생산요소였던 반면, 현재는 아이디어, 정보, 지식 등 무형적 요소들의 투입을 통한 혁신의 창출이 지역성장의 원동력으로 강조되고 있다. 지역혁신(regional innovation)이 새로운 성장 동인으로 주목 받게 되면서 이에 관한 학문적 접근도 증가하고 있다. Cooke et, al.(1997)이 ‘지역혁신체제(regional innovation system, RIS)’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 이래 지역혁신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특히 ‘지역혁신역량’(regional innovative capacity)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혁신활동 자체에 주로 집중하고 있으며, 혁신의 성과 측면을 다루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혁신은 단순히 ‘새로운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이 활용되어 경제적 성과로까지 이어지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혁신의 성과적 측면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혁신활동은 지역의 산업발전에 기여하여 경제적 성과로 이어지므로 지역의 혁신역량과 산업성장을 연관시켜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으며, 지역의 혁신역량이 지역의 산업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 지역경제성장에서 혁신역량의 중요성을 밝히고 그 정책적 함의를 제공함에 있어 의미 있는 연구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지역들의 혁신역량 현황을 파악하고, 혁신역량이 혁신성과로서 지역의 산업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특히 지식기반산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식기반산업은 지식기반경제라는 흐름에 따라 지역의 신 성장 동력 산업으로 주목 받고 있을 뿐 아니라, 지식을 중요 투입요소로 하여 ‘혁신’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이기 때문에 혁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논의들을 바탕으로 지역혁신역량을 크게 지역경제여건, 지역서비스환경, 지역연구인프라의 세 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혁신성과는 지식기반산업의 성장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된 자료들의 시간적 범위는 2000-2009년이며, 공간적 범위는 우리나라 16개 시·도 지역이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지역들의 혁신역량을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파악하고, 지역혁신역량이 지식기반산업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실증분석에서는 SPSS18이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혁신역량의 순위를 살펴보면 서울 1위, 대전 2위, 울산 3위, 경기 4위로 높은 순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전남 16위, 전북 15위, 제주 14위로 낮은 순위를 나타내고 있었다. 지식기반산업의 분포를 살펴보면 서울 1위, 경기 2위, 충남 3위, 울산 4위, 대전 5위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남 16위, 제주 15위로 낮은 순위를 나타냈다. 즉 지역혁신역량이 높을수록 지식기반산업의 성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도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지역혁신역량 중 지역경제여건은 지식기반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지역 경제수준과 산업규모는 지식기반제조업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지역가계역량은 지식기반서비스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서비스 환경 중 정보통신 인프라는 지식기반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지식기반서비스업에 미치는 영향이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지역행정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경우도 있어 중요한 요인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연구 인프라는 지식기반산업에 매우 중요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연구 인프라 중 연구 인력은 지식기반서비스업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연구 자본은 지식기반제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역 별 지식기반산업의 성장을 위해 강화해야 할 혁신역량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3 II.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4 A. 지역혁신역량 관련 이론적 논의 4 1. 혁신의 개념 4 2. 지역혁신체제의 개념 6 3. 지역혁신역량의 개념 7 4. 지역혁신역량의 측정 8 B. 혁신성과 관련 이론적 논의 14 1. 혁신성과에 관한 논의 14 2. 혁신성과로서 지식기반산업 15 III. 연구 설계 22 A. 연구의 개념적 분석틀 22 B. 분석대상 및 분석범위 22 C. 변수설명 및 측정지표 23 1. 종속변수의 정의 및 측정지표 23 2. 독립변수의 정의 및 측정지표 24 IV. 지역혁신역량과 지식기반산업에 관한 현황분석 28 A. 지역별 혁신역량 비교 28 1. 지역혁신역량 종합순위 28 2. 지역혁신역량 요인별 비교 29 B. 지역별 지식기반산업 현황 37 C. 지역혁신역량과 혁신성과간의 상관관계 42 D. 지역혁신정책 추진 현황 44 V. 회귀분석 48 A. 회귀모형별 분석결과 48 1. 종속변수: 지식기반산업 50 2. 종속변수: 지식기반제조업 54 3. 종속변수: 지식기반서비스업 59 B. 지역혁신역량과 지식기반산업의 관계 분석결과 종합 63 VI. 결론 67 A. 연구결과 요약 67 B. 정책적 함의 68 C.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74 참고문헌 76 부록 82 <부록 1>독립변수 간 상관관계분석결과 82 <부록 2>지식기반제조업 세 분류 산업 별 LQ지수 (2009년도) 83 <부록 3>지식기반서비스업 세 분류 산업 별 LQ지수 (2009년도) 84 <부록 4>회귀분석결과 85 <부록 5>회귀분석결과 86 <부록 6>회귀분석결과 87 <부록 7>회귀분석결과 88 <부록 8>회귀분석결과 89 <부록 9>회귀분석결과 90 <부록 10>회귀분석결과 91 <부록 11>회귀분석결과 92 ABSTRACT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39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지역혁신역량과 혁신성과의 관계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지식기반산업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Regional Innovative Capacity and Outcome of Innovation : Focusing on Knowledge-based Industry-
dc.creator.othernamePark, Youn Kyung-
dc.format.pageix, 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