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6 Download: 0

다문화정책 인식에 작용하는 영향요인

Title
다문화정책 인식에 작용하는 영향요인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Preference in Multicultural Policy : Focusing on foreigner in Capital area
Authors
김보라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숙연
Abstract
한국에서 외국인의 증가는 인종적·민족적 다양성이 나타나고 있으며 사회적 갈등 문제의 해소와 통합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다문화사회에 대한 문제와 관심에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외국인들을 위한 다문화정책이 필요함을 제기한다. 새로운 소수자인 외국인들을 위해 정부의 정책을 통해 사회적 문제 해결의 측면에서 행정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다문화정책의 방향이나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 정책의 일차적 대상자인 외국인들이 어떤 인식과 필요가 있는지 영향요인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본 연구는 수도권 거주 외국인 근로자, 결혼이주여성, 외국인 학생을 중심으로 다문화정책 인식에 작용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고자한다. 본 연구는 외국인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또 하나의 탐색적인 의의를 더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정책 인식에 작용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다. 한국에 대한 거리감, 문화적응 스트레스,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다문화정책 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이 요인들이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다문화정책 연구를 종합하여 다문화정책 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되는 영향 요인을 도출하였고, 연구의 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의 모형을 수도권 거주 외국인 21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은 컴퓨터 통계프로그램인 SPSS 19.0 for Windows를 이용하였다.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와 요인분석을 사용하였고, T-test와 ANOVA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자녀의 유무에 따른 차이에서 다문화정책 유형 중 성별은 다문화주의 정책의 인식에서 나타났다. 다문화정책 인식의 영향요인 중 문화적 충격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의 평균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자녀의 유무에 따른 차이는 차별정책의 인식에서 확인되었다. 둘째, 연령, 직업, 거주기간, 혼인상태에 따른 차이 중 연령은 다문화정책 중 차별정책과 동화정책에, 직업은 차별정책과 다문화주의정책에, 거주기간은 동화정책과 다문화주의정책에, 혼인상태는 차별정책과 동화정책, 다문화주의정책의 인식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세 가지 유형의 다문화정책 인식의 영향요인은 각각 차이가 있었으며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각된 차별감 요인이 차별정책과 동화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가지 정책에서 지각된 차별감은 모두 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정책 인식의 영향요인은 차별 정책, 다문화주의 정책, 동화정책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정책에 대한 영향요인은 지각된 차별감, 지각된 적대감, 거주기간이 영향을 미치며, 다문화주의 정책은 한국에 대한 거리감과 문화적 충격이 영향을 미치고, 동화주의 정책은 지각된 차별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요인들은 다문화정책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요인의 차이는 다문화정책의 유형의 성격의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다문화정책 인식의 영향요인에 사회적 거리감, 문화적응 스트레스,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다문화정책 인식에 부분적으로나마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다문화정책에 대한 연구는 실태조사와 학술적 연구가 대부분으로 사회학, 사회복지학, 여성학, 교육학 등에서 연구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져왔고 행정학 분야에서는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러있다. 더욱이 그 연구는 대상과 연구는 일반 국민이나 공무원이 대부분이고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이것은 정책의 또 다른 주체인 외국인을 연구할 필요성을 시사하는데 본 연구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다문화정책 선호 유형을 파악하고 실증적 연구방법을 통해 외국인 집단 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increase of foreigners in Korea shows the ethnic and national diversity so that it expects the necessity of the policy to resolve the conflict and cooperation in society. Also, it brought the necessity of the multicultural policy of for foreigners. Thus, for the new minorities in Korea, the study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in aspect of resolve the problem in society is necessary through the government policy. Also, it is important to research why the policy influences to find the details or the ways of multiculturalism for foreigner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effects of the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policy to foreigners who live in capital city, female marriage migration and foreign students. Also, there is the meaning of exploration of foreig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of the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policy. hypothesis is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distance of South Korea, the stress of cultural adaptation, and sociology of population affect the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policy, and I found how these causes influence each other. This study analyzes to put together with the existing multicultural policy and the expectation of the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policy, also compose the model of the study. The circle model was used by 213 foreigners who live in capital city, and statistical program of SPSS 19.0 for Windows was used for analysis. Cronbach’s α and factor analysis was used for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Also, T-test, analysis of ANOVA, 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first, the case of the multicultural policy on whether families have children or not are from the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policy. One of the causes of the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policy is that exception of cultural shock, the cause was women were more than men. The awareness of discrimination policy is according to families have children or not. Second, age was from awareness of the discrimination policy and the assimilation policy, job was from awareness of the discrimination policy and the multicultural policy, the length of residence was from the awareness of the assimilation policy and the multicultural policy, and the marriage condition was from the awareness of the discrimination policy, the assimilation policy, and the multicultural policy. Finally, three different types of the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policy have difference each other, and there was no common cause of influence. However, the cause of the awareness of discrimination influence on the discrimination policy and the assimilation policy. Also, according to these two policies, awareness of discrimination influences to all cases. The causes of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policy affect on the discrimination policy, the multicultural policy, and the assimilation policy. The main causes of the discrimination policy influenced on awareness of discrimination, hostility and distance of residence. The multicultural policy influences on distinction and cultural shock about South Korea, and the assimilation policy influenced on awareness of discrimination. These differences of the cause of influence are from the characteristic of the multicultural policy. These results show that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policy influences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distance about South Korea, the stress of cultural adaptat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sociology of population. There was the study about the multicultural policy of the case study and the academic work such as sociology, social welfare, the women’s studies, and the education. However there was basic-level study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Moreover, there was the study of the multicultural policy only for the public and official but there was no for foreigners. Thus, this paper analyzes the type of preference of the multicultural policy from a case study on foreigners,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study on other foreign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